-
-
시골 장터 이야기 - 세상과 만나는 작은 이야기
정영신 지음, 유성호 그림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2년 3월
평점 :
책읽기 삶읽기 134
고무신 꿰는 시골아이
― 시골 장터 이야기
정영신 글,유성호 그림
진선출판사 펴냄,2002.3.15./8000원
나는 운동신이나 구두를 못 신습니다. 서른 살까지 어찌저찌 이런 신 저런 구두를 신으며 이럭저럭 버티었는데, 서른 살 때부터 고무신을 만나, 이때부터 언제나 고무신만 신습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늘 고무신을 신으며 즐겁습니다.
도시에서 태어나 자랐기에 고무신 신을 일이 없었을는지 모릅니다. 내 둘레 아이나 어른 모두 운동신이나 구두를 발에 꿰니 나도 이런 신만 익숙하게 신었을는지 모릅니다.
그런데, 도시라 하더라도 저잣거리로 마실을 가면 고무신 만날 수 있어요. 서울이든 인천이든 부산이든, 큰길에 있는 신집 말고 저잣거리에 있는 그리 크지 않은 신집으로 찾아가면 어김없이 고무신을 다룹니다.
.. 농사에 필요한 연장을 파는 곳은 언제나 사람들로 북적거립지다. 호미와 낫을 비롯하여 이토록 많은 연장이 시골 농사에 필요하다는 것을 장에 와서야 알았습니다. 도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물건들입니다 .. (36쪽)
요사이에는 ‘고무’로 만든 고무신 말고 플라스틱을 눌러 만든 ‘이름만 고무신’인 ‘플신(플라스틱신)’이 아주 많습니다. 고무로 만든 고무신은 딱딱해서 뒷굽과 앞꿈치 자꾸 까진다며 사람들이 꺼리면서 이제는 예전 고무신은 더는 나오지 않아요. 그나마 고무신 공장이 모두 중국에 있는데, 딱딱한 고무신은 중국에서만 사고팔리는 듯해요.
서른 살부터 서른아홉 살 오늘까지 줄곧 고무신만 신으며 둘레를 돌아보면, 내 또래 가운데 고무신 발에 꿴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아예 없다고 할 수 있는지 모릅니다. 도시에서도 시골에서도 엇비슷합니다. 고무신 발에 꿰는 사람은 시골 할매와 할배 빼고는 없습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는 아저씨나 아주머니조차 내 고무신을 바라보며 “그 고무신 어디서 사요?” 하고 묻기까지 합니다. 읍내 신집이든 면내 신집에 가면 다 있는 고무신인데, 나한테 묻는 사람이 참 알쏭달쏭합니다. 아니, 요즈음 같은 이 나라에서 저잣거리 신집 찾아가는 젊은 사람 없을 테니, 고무신 어디에서 살 수 있는지 모두들 모른다고 할 만하겠지요.
시골 아닌 도시에서 지낼 적에도 그래요. 도시에서도 오래된 도심 저잣거리 찾아가면 그곳 신집에 고무신 있는걸요. 어른 고무신도 있고 아이 고무신도 있어요. 아이 고무신은 130미리부터 있어요. 우리 아이들 신는 고무신은 도시에서도 사고 시골에서도 사요. 어디에든 다 있어요.
.. 몇 십 년 동안 뻥튀기 장사를 해 온 아저씨의 꿈은 시골마을에 뻥튀기 기계를 마련해서, 장날이 아니라도 아이들이 뻥튀기를 먹고 싶을 때면 언제라도 동구 밖에서 아이들의 함성과 함께 기계를 돌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 (45쪽)
전남 순천에는 아랫장이라는 이름으로 아주 큰 저잣거리 있어요. 이곳에서는 저자가 날마다 열려요. 시외버스 타고 순천에 갈 적에 으레 아랫장을 스치는데, 아랫장에는 사람 아주 많아요. 시외버스 타고 고흥에서 순천으로 나오는 길에 벌교를 지나고 보면, 벌교 저잣거리에도 사람이 매우 많아요. 구경하는 사람도 장사하는 사람도 무척 많아요. 고흥하고 고작 한 시간 거리인데, 순천도 벌교도 사람 참 많구나 싶어 놀라요. 왜냐하면, 고흥에서는 오일장이라 하는 장날에도 장터 장사꾼 얼마 없고, 장터 구경꾼 얼마 없거든요. 장날에 볼일 보러 읍내로 나가면 군내버스에 할매와 할배 바글바글 넘쳐 때로는 버스를 못 타기까지 해요. 그렇지만 군내버스에만 사람 가득할 뿐, 저잣거리에도 마을에도 읍내에도 사람은 얼마 없어요.
도시로 마실을 가서 커다란 가게, 이른바 마트라 하는 데에 들어가면 사람 아주 많아요. 숨이 막히도록 사람이 많아요. 도시에서는 시내라는 데에도 사람 참 많아요. 버스에도 전철에도 온통 사람물결이에요. 그러고 보면, 도시에서는 스무 층이건 마흔 층이건 높다라니 층집 세우지 않고서는 사람들 지낼 보금자리 마련하지 못하지요. 너무 많은 사람을 너무 좁은 곳에 몰아놓는 바람에, 도시에서는 사람들 스스로 서로를 알뜰히 여기거나 보살피려는 마음 옅어요. 사람 많아 장사하기 좋다 하기도 하고, 사람 많으니 일거리 많다 여기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외려 사람내음 맡기 어렵기 일쑤예요.
그러면, 시골에서는 사람내음 구수할까요. 시골이기에 사람내음 따사로울까요.
잘 모르겠어요. 시골이라서 더 구수하거나 따사롭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어디에서건 사람들 스스로 구수한 마음 되려 애쓸 때에 구수한 내음 흐르고, 어디에서라도 사람들 스스로 따사로운 사랑을 가꿀 때에 따사로운 사랑 감돌아요.
도시에 있는 마트라서 나쁠 수 없고, 시골에 있는 저잣거리라서 좋을 수 없어요. 일하는 사람 마음이 좋을 때에 좋고, 장사하는 사람 마음이 나쁠 때에 나쁠 뿐이라고 느껴요.
.. 이름이 다른 씨앗들끼리 속삭이는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한 톨의 씨앗이 훗날엔 나무가 되고, 많은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어떤 마술사도 하지 못할 일을 자연만은 말없이 해내고 있습니다. 땅을 지키며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시골사람들의 정직함을 본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 (65쪽)
오늘날 시골에서 고무신 꿰는 어린이나 푸름이는 아예 없다고 해도 좋아요. 군내버스 타고 읍내에 나갈 적이든, 자전거 타고 면내에 나갈 때이든, 고무신 꿴 어린이나 어른은 거의 못 봐요. 마을에서 흙 만지는 할매와 할배는 으레 고무신이거나 맨발이지만, 읍내나 면내를 돌아다니는 분들은 모두 운동신이거나 구두예요. 군내버스 타는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이나 고등학생도 상표 있는 운동신이거나 구두예요. 때때로 시골 초·중·고등학교에 들어가서 아이들 바라보아도 하나같이 상표 있는 운동신이거나 구두예요. 아마, 이 시골 아이들 낳아 키우는 시골 어버이도 모두 상표 있는 운동신이거나 구두일 테지요. 흙을 만져도, 시골 젊은 어른들은 고무신하고 사귀지 않아요.
그리고, 시골 젊은 어른들은 저잣거리를 돌아다니지 않아요. 시골 젊은 어른들은 자가용 몰아 ‘시골 마트’를 다녀요. 또는 자가용 몰아 가까운 도시 ‘큰 마트’를 찾아가요. 도시와 가까운 시골이든 두멧자락 시골이든, 젊은 어른들은 자가용하고 사귀어요. 시골마을 젊은 어른들은 시골일 그닥 좋아하거나 즐기지 않아요. 텔레비전을 좋아하고 손전화(요새는 스마트폰)를 즐기지요. 도시나 시골이나 거의 같아요. 도시나 시골이나 흙하고는 멀어져요. 도시나 시골이나 학교에서는 흙을 보여주지 않고 말하지 않으며 가르치지 않아요. 도시 학교나 시골 학교나 흙운동장 그대로 두지 않고, 인조잔디나 아스콘을 깔려고 해요.
.. 산을 끼고 있는 마을이 많아서 아주머니들은 철따라 나는 산나물을 가지고 나와서 팝니다. 주변 마을의 소식이 궁금한 아주머니들은 빙 둘러앉아서 그간의 이야기를 주고받습니다. 옹기종기 모여 앉는 모습이 다정해 보입니다 .. (87쪽)
정영신 님 글과 유성호 님 그림으로 이루어진 《시골 장터 이야기》(진선출판사,2002)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이 책에 깃든 유성호 님 그림은 아무래도 ‘정영신 님이 찍은 사진’을 고스란히 옮겼구나 싶습니다. 정영신 님은 2012년 8월에 《한국의 장터》(눈빛)라는 사진책 내놓았어요. 그러니까, 《시골 장터 이야기》라는 책은 정영신 님이 스스로 쓴 글이랑 손수 찍은 사진으로 엮을 수 있었어요. 굳이 ‘사진을 베낀 그림’을 넣지 않아도 돼요.
아이들 보는 책이라서 사진 아닌 그림을 넣었을까요. 아이들 보는 책에는 사진을 넣으면 안 될까요. 시골 저잣거리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라 한다면, 그림보다는 오히려 사진이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게다가 정영신 님은 사진을 구수하니 곱게 찍어요. 구수하니 곱게 담은 시골 저잣거리 사진하고 수수하니 투박하게 빚은 글을 잘 엮으면, 어른도 아이도 즐겁게 읽을 《시골 장터 이야기》 되리라 느껴요.
시골 저잣거리 누리는 어린이도 푸름이도 젊은이도 사라지는 오늘날로서는 《시골 장터 이야기》와 《한국의 장터》처럼 ‘바로 오늘 이곳에서 사람들 어울리는 이야기’ 보여주는 책은 더 없으리라 느껴요. 지나간 옛 모습이나 사라진 지난 모습 아닌, 바로 오늘 시골사람 누리는 시골 저잣거리 이야기로는 정영신 님 책 두 가지만 있구나 싶어요. 이 이야기책 곱게 아끼는 손길로 시골마을 또한 곱게 돌보는 사람들 하나둘 태어나면 좋겠어요. 4346.5.2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