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 투덜대는 책읽기

 


 시골마을 조그마한 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는 분이 내놓은 교사일기가 책으로 나왔다. 적잖은 이들이 손꼽아 추켜세우는 책인데, 막상 이 교사일기를 읽는 나는 이 책을 조금도 추켜세울 수 없겠다고 느낀다. 말과 삶과 글과 넋이 너무 어지러이 흐트러지기 때문이다. 글로는 훌륭하며 꾸밈없으며 아름다이 보이려는 티가 나지만, 정작 이 글에서 드러나기로도 아이들한테 억지스레 가르침을 집어넣는 모습이 보일 뿐 아니라, 스스로 뉘우친다고 밝히지만 아이들한테 손찌검을 하는 모습이 너무 자주 나타난다. 차라리, ‘때렸다’ 하고 끝맺으면 한결 나을 텐데, ‘때리고 나서 미안하다고 느낀다’고까지 덧말을 붙인다. 이렇게 하자면 아예 글을 안 써야 맞지 않을까. 이렇게 쓰는 글을 왜 보여주어야 할까.

 

 왜 사랑을 자꾸 만들려고 하는지 슬프다. 만들려고 한대서 만들 수 있는 사랑은 아닐 텐데. 스스로 사랑스레 살아가면 시나브로 사랑을 곱게 지을 수 있을 텐데.

 

 흙을 사랑하면서 농사를 짓는다 하듯, 내 삶을 사랑하면서 아이들하고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삶을 짓는다. 농사는 곡식 만들기가 아니듯, 교육은 아이들 지식 만들기가 아니다.

 

 짝을 짓는다고 하지, 짝을 만든다고 하지 않는다. 짝짓기란 참 거룩하고 예쁘게 지은 좋은 말이다. 짝을 짓는다, 짝을 맺는다, 짝을 이룬다, 이 한겨레 말마디는 사람들이 어떠한 삶으로 사랑을 빛내야 즐거운가 하는 이야기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짝을 짓고, 사랑을 짓는다. 집을 짓고, 밥을 지으며, 옷을 짓는다. 가장 아름다운 나날은 짓는 삶이다. 짓는 꿈이요 짓는 말이며 짓는 이야기가 된다.

 

 사랑짓기, 배움짓기, 꿈짓기, 밥짓기, 이야기짓기가 된다. 일짓기, 흙짓기, 책짓기, 글짓기가 된다. 사람들이 스스로 옳게 짓지 못하고 제도권과 학벌과 권력과 이름값과 돈값이라는 가시울타리에 자꾸자꾸 걸거치니까, ‘글짓기’ 아닌 ‘글쓰기’를 해야 한다고 예부터 이오덕 님이 말했는데, 글짓기가 나쁜 일이 아니라 ‘제도권 독후감 만들기 숙제’가 나쁘다. 제도권학교에서 한 일은 ‘글짓기’가 아니라 ‘글만들기’였다.

 

 모든 ‘만들기’는 꾸미는 일이 되고 만다고 느낀다. 만드는 일이 마냥 나쁘다고는 느끼지 않으나, 사랑을 담으며 짓는 일이 아니라, 억지로 모양만 만들거나 시늉으로 만들거나 흉내내듯 만드니까 슬프며 못마땅하고 밉다.

 

 시골마을 조그마한 학교에서 일하는 어른으로서 아이들하고 무슨 사랑짓기 삶짓기 배움짓기 일짓기 꿈짓기를 하는가 돌아보고 싶어 교사일기를 책으로 읽는데, 정작 사랑짓기이든 삶짓기이든 배움짓기이든 일짓기이든 꿈짓기이든, 이러한 이야기를 찾아 읽기 어렵다. 그렇다고 교사일기 쓴 분이 착하지 않다거나 참답지 않다고 여기지 않는다. 더 사랑하지 못하는 삶이고, 더 아끼지 못하는 삶이며, 더 좋아하지 못하는 삶이로구나 싶다.

 

 교사는 바라보는 사람이 아니다. 교사는 내려다보는 사람이 아니다. 교사는 올려다보는 사람이 아니다.

 

 곧, 교사는 보는 사람이 아니다.

 

 교사는 스스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교사는 아이들과 살아가는 사람이다. 교사는 어른들과 살아가는 사람이다.

 

 바야흐로, 교사는 살아가는 사람이다.

 

 교사일기란, ‘보는’ 이야기가 아닌 ‘살아가는’ 이야기를 적바림하는 꿈짓기요 사랑짓기요 배움짓기가 되어야 아름답다고 느낀다. 교사일기를 애써 만들지 않으면 좋겠다. 교사일기를 기쁘게 쓰고 예쁘게 지으며 사랑스레 빚으면 고맙겠다. 나는 아무래도 나 혼자 투덜대며 마지막 쪽까지 골을 부리는 책읽기를 할 듯하다. (4345.1.24.불.ㅎㄲㅅ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2-01-24 19:44   좋아요 0 | URL
이분, 나름대로 시도 쓰시고 글도 재미있게 많이 쓰시는 분인데, 이 책은 영 아니었나보네요. 더 호기심이 생깁니다. 어떤 글을 쓰셨길래 하고요 ^^

숲노래 2012-01-24 21:39   좋아요 0 | URL
영 아닌 책이 아니라,
교사로 아이들과 살아가는 나날 가운데
'공부'가 가장 중요한 대목이 아닌데,
자꾸 아이들하고 '무슨 공부를 하느냐' 하는 데에 얽매이면서
자유롭고 사랑스러우며 즐거운 나날을 누리는 길하고
어긋나는 모습이 자주 보여요.

'좋은 공부'를 하려는 뜻은 나쁘지 않지만,
좋든 안 좋든
공부를 꼭 해야 한다는 틀에 빠지고 만다고 하겠어요.

곧, 아이들 스스로 상상과 창조를 빚고 빛내는 길을
가기보다는
아이들한테 '좋은 길'을 보여주려고 애쓰는 몸짓을
교사 스스로 얽매이면서
한결 아름다우면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하겠지요.

그래도, 책 평점은 100점 만점에 84점을 줄 만하다고 느껴요.

기억의집 2012-01-24 21:47   좋아요 0 | URL
어떤 책일까 궁금한데요.

저 또한 굳은 철학이라도 해도 아이를 때리는(체벌)만은 반대해요. 교사가 아무리 체벌이 아이를 올바르게 인도할 것이라는 결의를 가지고 있다 해도 말입니다. 체벌 받은 아이의 상처는 평생 가는 것이니깐요. 저는 아직도 30년도 넘은, 초등2학년 담임한테 맞은 따귀를 기억하고 있거든요. 체벌은 자신의 감정을 폭력으로 드러내는, 감정적 핑계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 교사는 사랑을 만든다는 구실로 자신의 손찌검을 정당화 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숲노래 2012-01-24 22:16   좋아요 0 | URL
책에서는
스스로 체벌이 좋지 않다는 생각이지만
스스로 자제심을 누르지 못하고 체벌을 하면서
자꾸자꾸 뉘우치는 일이 되풀이돼요.

저는 이러한 슬픈 되풀이가
체벌로만 이루어진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다른 데에서도 교사일기에는 드러나지 않는
안타깝거나 아쉬운 대목이 엿보이지 않겠느냐 싶어요.

아이들이 반기지 않는 급식을
굳이 해 보려고 밀어붙이려 하던 일도 안타깝고,
"이럴 때 말 한번 들어주면 얼마나 좋을까. 말 꺼낸 나도 체면이 서고(98쪽)." 같은 대목이라든지 "공부 시간에 왜 이런 문제도 모르냐고 나는 딱딱한 얼굴로 사랑없이 말했고 아이는 한숨을 쉬었다(84쪽)." 같은 대목은, 솔직한 고백이라기보다, 너무 안타깝고 슬픈 모습이구나 싶어요.

이러한 대목을 스스럼없이 밝히니 좋다고도 할 테지만,
이러한 대목마저 밝힐 뿐
아름다이 살아갈 길을 스스로 밝히거나 찾거나 보여주지 못해요.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안타까운 나머지
이렇게 투덜댄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