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일 내가 차리는 책읽기

 


 두 아이를 함께 낳은 옆지기랑 살아오고 난 다음부터 내 생일을 챙긴다. 나는 예전에 내 생일을 챙기며 살지 않았다. 오랜 술동무들하고 날마다 만나 술을 마시던 퍽 먼 옛날이나, 이 술동무하고 한 주에 한두 차례 만나 술을 마시던 모두들 짝꿍 없이 혼자 살던 조금 먼 옛날이나, 내가 서울과 충청도를 오가며 일하던 살짝 가까운 옛날이나, 내 생일이라 해서 딱히 슬프게 보낸다든지 외롭게 지낸 적은 없다. 언제나처럼 내 할 일을 하면서 바쁘게 지내며 한 해 마무리를 했다.

 

 좋은 살림을 이루어 옆지기하고 지낸 다음, 비로소 서로서로 어머니와 아버지 생일을 챙겨야 하는구나 하고 깨달았다. 돌이키면, 나는 내 어머니와 아버지 태어나신 날 제대로 전화라도 한 적이 많지 않았다. 내 어머니와 아버지는 속으로 얼마나 서운하셨을까. 나중에 옆지기와 아이하고 아버지 생일 때에 찾아가며 ‘아버지가 그동안 얼마나 마음으로 섭섭해 했는가’를 아주 잘 느꼈다. 겉으로 드러내어 말씀하지는 않으셨으나, 마음으로는 오래도록 기다리며 바라신 줄을 느즈막하게 깨우쳤다.

 

 나도 내 아버지 나이쯤 된다면, 내 아이들이 이 시골마을에서 함께 살아가지 않고 모두 제금나서 살아간다면, 그때에 나는 내가 태어난 날 아이들이 “아버지, 귀빠진 날 축하해요, 사랑해요.” 하고 전화라도 걸어 주기를 바라려나. 미리 못박으면 안 될 노릇이지만, 나는 굳이 내 생일이라서 전화로 이야기꽃 건네주기를 바라지 않는다. 애써 전화하지 않더라도 마음으로 따사로운 넋을 건네는 줄 잘 느끼며 살아가니까. 다만, 아이들 태어난 날이나 옆지기 태어난 날에 내가 미역국부터 밥상을 새삼스레 차렸듯(나는 날마다 식구들 밥상을 차리니까, 생일날에는 조금 새삼스레 차리는 밥상이 된다), 우리 아이들이 한창 큰 나이가 되어 제금나서 살더라도 아이들 태어난 날 기쁘게 찾아가서 미역국 끓여 주고 싶다.

 

 내 생일이라고 내 손으로 미역국을 끓이지는 않는다. 다만, 내 생일을 기리는 뜻이 아니라, 집에서 밥을 하며 미역국을 퍽 자주 끓이니까, 옆지기랑 아이들 몸을 살찌우는 밥으로 미역국을 끓인다. 오늘 내 생일 12월 7일, 모처럼 서울 볼일을 마치고 고흥읍을 거쳐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라 ‘음, 그럼 오늘은 케익을 한번 사 볼까?’ 하고 생각한다. 옆지기는 요즈음 마음껏 푸른 멧골을 밟으면서 몸을 북돋우지 못하는 터라, 몸이 힘들고 처져서 케익을 굽지 못한다. 나는 빵집 케익보다 옆지기 케익이 아주 맛나다. 옆지기가 집에서 스텐냄비로 굽는 케익을 먹으면, 바깥에서 사먹는 빵집 케익을 먹을 수 없다. 맛이 얼마나 크게 다른데. 만화책 《맛있는 빵을 드세요!》에 나오는 아줌마가 집에서 ‘제빵기’로 빵을 처음 구워 먹을 때에 ‘참말 이토록 빵이 맛있던가!’ 하고 놀라듯, 오븐 없어 스텐냄비에 불 작게 넣어 굽는 케익을 먹으면, 냄새부터 다르고 맛이 참으로 좋다. 오븐으로 굽는다면 집빵 맛은 얼마나 훌륭할까. 더구나, 케익에 쓰는 설탕은 ‘오키나와 사탕수수 졸인 물’이 아닌가. 케익 반죽을 하며 쓰는 물은 맑고 정갈한 시골물이잖은가.

 

 옆지기 어머님은 당신 생일날 누가 미역국을 끓이거나 밥을 차려 줄까. 옆지기 어머님하고 일산에서 아직 함께 사는 둘째 딸이 끓여 줄까. 아직 퍽 어린 중학생 아들이 끓여 줄까. 장인 어른이 끓여 줄까.

 

 내 어머니는 당신 생일날 누가 미역국을 끓이거나 밥을 차려 줄까. 내 아버지가 끓여 줄까. 그러고 보면, 내 어머니와 아버지 태어나신 날에 내가 기쁘게 찾아가 미역국 끓여서 차린 일이 떠오르지 않는다. 나는 언제쯤 내 어머니와 아버지 태어나신 날에 미역국을 끓여서 밥 한 그릇 모실 수 있을까. 둘째가 무럭무럭 자라 네 식구 함께 마실을 할 수 있는 때가 되면, 고흥 바다에서 건진 미역을 챙겨 찾아가서 미역국 끓여 올리고 싶다. 내가 이렇게 네 식구 살림을 이루어 시골마을에서 좋은 꿈을 꾸며 살아갈 수 있도록 사랑씨앗 베푼 어머니와 아버지가 참으로 고맙다고 새삼스레 마음글월을 띄운다. 따뜻한 남녘 시골 밤이다. (4344.12.7.물.ㅎㄲㅅㄱ)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1-12-08 00:30   좋아요 0 | URL
자정이 지났으니 어제가 생일이었군요. 뒷북이지만 축하합니다!^^
부모님 생신에 미역국 끓여 올리는 밥상, 저도 언제 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다만 제 생일에 낳아주시고 키워주셔서 감사하다는 전화를 드리지요.
남편 생일엔 어머님께 전화드렸는데 이젠 안 계시고, 아버님께는 그런 전화가 안되고...

숲노래 2011-12-08 09:35   좋아요 0 | URL
아, 이 글도 쓰다 보니까 하루가 넘어가더라고요 @.@
고속버스와 기차에 시달리던 몸으로
겨우 버티며 썼어요.
하루 지나면 이 느낌이 사라질 테니까요. 에고고

나중에 아이들하고 좋은 생일상 나누셔요. 고맙습니다~~

마녀고양이 2011-12-08 01:27   좋아요 0 | URL
잠시 다녀갑니다, 제가 요즘 정신을 어디다 놓고 다니는 듯 해요. ^^
된장님, 생일 축하드려요..

그래요, 맞아요. 저도 제 어머님들의 미역국을 끓여드린 적이 없군요.
주말에 모여 식사하거나, 돈 보내드리고 전화드리거나. 하지만
미역국을 끓여드린 적이 없어요. 요즘 무척이나 고생하는 제 옆지기의 생일도 곧 오는데,
좋은 미역을 구해봐야겠어요.... 이번엔 꼭 따스한 국 한그릇 먹여 출근보내야겠어요.

숲노래 2011-12-08 09:36   좋아요 0 | URL
저희한테는 돈이 얼마 없어
돈으로 해 드리는 일이 없어요 ㅋㅋ -_-;;
그래서 늘 이렇게 집안일 하면서
어떻게 사랑을 나눌 수 있을까 하고 돌아보곤 해요.

고마워요~~

hnine 2011-12-08 07:19   좋아요 0 | URL
생일 축하드립니다.
겨울에 태어나셨군요. 멋진 계절이지요.
아이를 낳은 후엔 저도 제 생일에 어머니 생각이 나더라고요.
아이 생일 되면, 자식 생일은 부모에게도 특별한 날이라는 걸 알게 되고요.
그러고보니 좀 티격태격한 후에라도 제 생일을 잊지 않고 챙겨주는 남편에게 고마운 마음도 들어요.
매일이 생일이듯이, 새로운 마음으로 하루를 맞고 싶습니다. 된장님도 그러시길 바래요.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숲노래 2011-12-08 09:36   좋아요 0 | URL
네, 사랑이 차근차근 이어진다는 길을 잘 헤아리면서
이 길을 우리 아이들이 앞으로 곱게 아끼도록
잘 살아야 한다고 느껴요.

고맙습니다~~ :)

조선인 2011-12-08 08:38   좋아요 0 | URL
생일 축하드립니다. 자식을 낳고 나니 부모님 생각이 더 밀려들죠... 저도 오늘 그리운 마음 담아 미역국을 끓일까 합니다. ^^

숲노래 2011-12-08 09:37   좋아요 0 | URL
저희는 한 해에 1/4은 미역국을 끓여 먹어요 ㅋㅋ
거의 날마다 생일이라는 느낌이랄까요 ^^;;;

고마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