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하루 (2021.7.9.)

― 인천 〈시와 예술〉



  날마다 나무를 바라보노라면, 이렇게 춤을 잘 추면서 아름답구나 하고 새삼스레 느낍니다. 인천을 떠나던 2010년 가을에 곁님하고 “우리는 나무로 우리 집을 빙 두를 수 있고, 마당에서 노래하고 춤출 수 있는 보금자리를 누리자”고 생각했습니다. 곁님은 ‘시골 아닌 멧골’로 가기를 바랐기에, 아직 머무는 시골은 작은 보금자리요, 앞으로는 너른 보금터인 멧숲을 누리려는 꿈을 그려요.


  인천에서 태어나서 자라는 동안에도, 큰아이를 2008년에 낳고서 같이 골목마실을 하는 사이에도, 큰고장이며 서울에서 자라나는 나무는 늘 ‘춤스승’이었습니다. 작은 골목집에서 지붕을 덮는 나무도, 길거리에서 매캐한 기운을 걸러내는 나무도, 바닷물결 소리를 내면서 춤추기에 누구나 숨쉴 수 있다고 느꼈어요.


  칠월 한복판은 한여름이기에 한 해 가운데 햇볕을 가장 신나게 듬뿍 누리는 철입니다. 둘레에서는 이맘때가 가장 덥다고 여기거나 놀이철(휴가시즌)로 치는 듯싶으나, 실컷 햇볕을 머금으면서 몸을 살찌우고, 신나게 땀을 쏟으면서 찌꺼기를 내놓는 나날로 맞아들입니다.


  어제 〈시와 예술〉을 들렀으나 아무래도 어제 잊은 책이 있어 다시 들릅니다. 고흥으로 그냥 돌아갔다가는 내내 서운하게 여길 테니, 책 한 자락 값을 즐겁게 쓰려고 살며시 깃듭니다. 책집을 지키는 분이 바라볼 적에도 늘 새로운 책터일 테고, 책손으로 걸음하는 눈으로 마주할 적에도 어제오늘은 참으로 새로운 책칸입니다.


  지난해하고 올해가 다르고, 올해랑 열 해 뒤가 달라요. 모든 하루는 즐겁게 피어나는 꽃입니다. 배다리 한켠 하늘집(옥탑방)에서 살며 큰아이를 낳을 적에, 이 하늘집은 해바라기를 하고 빨래를 너는 즐거운 터였습니다. 마당집으로 옮긴 시골에서는 집 둘레로 나무가 무럭무럭 크기를 바라면서 해바라기·바람바라기·비바라기로 보내며 풀꽃바라기로 하루를 살아가고요. 인천에서 살던 무렵에는 큰아이를 안거나 업거나 걸리면서 골목꽃을 만나고 골목놀이를 했다면, 넷이서 고흥 시골에서 지내는 오늘은 아이들이랑 틈틈이 자전거를 달려 바닷가 모래밭으로 마실하면, 맨발에 맨손으로 모래밭을 밟고서 햇볕을 골고루 먹다가 바닷물에 몸을 맡깁니다.


  땀을 식히려고 나무 곁 풀밭에 앉아서 글 한 줄을 남깁니다. 손등으로 땀을 훔치고, 손가락으로 붓을 쥡니다. 발걸음도 손길도 마음입니다. 글자락도 책도 마음입니다. 마을도 책집도 마음이요, 비바람이랑 해랑 별도 마음이에요.


  서로서로 마음이기에 만나서 말을 나눕니다. 다 다르면서 나란한 마음이기에 맑게 퍼지는 눈길을 누리는 이곳에서 느긋합니다.


ㅅㄴㄹ


《Ways of Seeing》(John Berger, British Broadcasting Corp, 1972/2008.)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