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과학잡지 <스텝틱>을 봤습니다. 표제는 '성격이란 무엇인가' 입니다.
개인의 빅파이브가 형성되는 데 유전적 특성이 기여하는 정도는 대략 40-50퍼센트에 이른다. 그 다섯 요인인 외향성, 신경성, 성실성, 친화성, 개방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p80
현대 심리학에서는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빅파이브 모델을 주로 사용합니다. MBTI는 과학적으로 연구하기가 어렵습니다. MBTI는 유형화로 인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져 과학적 연구가 어렵습니다.
어둠의 성격 3요소인 사이코패스, 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은 분리되는 특질이기는 하지만 '악' 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p84
사이코패스는 교묘한 거짓말과 행동, 범죄 및 폭력 행위를 이용하고 냉담한 모습을 보이는 1차 사이코패스와 지극히 충동적이며 감정적인 2차 사이코패스로 나뉩니다. 1차 사이코패스는 유전적 소인과 더불어 정서적 지지의 박탈로 발달되고 2차 사이코패스는 유전적 영향보다는 어린 시절의 경험의 영향이 큽니다. 두 유형 모두 갖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맥아담스는 다른 사람에 대한 앎은 크게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첫 번째 영역은 '특질'이다. 특질이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정서적, 행동적 경향성을 말한다. (중략)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성격'이라는 단어를 생각할 때 떠오르는 특성들이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p96
개인성의 두 번째 영역은 특징적 적응이다. (중략) 맥아담스는 이렇게 사람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믿음과 어떤 태도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누군가에 대해 알 수 있는 두 번째 영역이라고 주장했고, 이를 '특징적 적응'이라고 불렀다. -p98
개인성의 세 번째 영역은 서사정체성이다. (중략) 인간 존재의 유일성은 인생 이야기의 유일성을 통해 확보된다. 결국 어떤 사람을 그 사람으로 만드는 가장 중요한 개인성은 그 사람의 인생 이야기라는 것이고, 그래서 심리학에서는 인생 이야기를 '서사정체성'이라고 부른다. -p101
저는 개인의 정체성을 어떻게 정의하면 좋을지 생각했는데 맥아담스의 세 가지 영역이 좋은 거 같습니다. 첫 번째 영역은 '특질' 로 성격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두 번째 영역은 '특징적 적응' 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가치관, 태도와 비슷하지 않나 싶습니다. 세 번째 영역은 서사정체성으로 그 사람의 인생이야기, 즉 경험을 말하는 거 같습니다.
심리학자들이 유형론적 성격 이론을 선호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과학적 접근이 어렵다는 점이다.
우선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p114
반면에 MBTI로 행동을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p116
MBTI는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서 유행하고 있습니다. MBTI보다 그 이론이 우리나라에서 각광받는 이유을 연구하는 것이 더 나을 거 같습니다. 이 책도 주제가 성격이다 보니 MBTI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MBTI가 유행이다보니 맹신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혈액형별 성격이론을 믿는 것보다는 낫지만 너무 맹신하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좀 걱정이 됩니다.
수컷이 암컷보다 더 위계적이란 속설도 사실이 아니다. "거의 대부분의 사회적 동물은 양성이 각각 자체적인 수직적 위계 구조를 가진다. -p134
침팬지, 보노보의 암컷, 암탉을 관찰해보면 즉기 깨닫게 됩니다. 저는 남자라 여초집단에 대해 잘 모르지만 주위에서 들은 바로는 남초집단 못지 않게 위계가 엄격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할 때(곤충이 공격할 때) 즉각적으로 반응해서 방어 물질을 만들어내는 식물의 유도 방어 기술은 매우 효율적인 전략이다. -p202
식물의 방어체계가 동물의 면역체계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식물들도 다양한 곤충에 맞춰서 즉각적으로 방어 물질을 생성해냅니다. '식물의 반격'은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은 챕터 중 하나였습니다.
작동하는 것은 점성술이 아니라 점성술사다.
"상징적 언어로서의 점성술은 진실을 발견하는 수단이 아니라 진실을 발명하는 수단이 된다." -p257
우리는 고민이 있을 때 사주, 타로, 점성술 등을 찾습니다. 점성술사의 말을 들으면 위안이 되기도 합니다. 근데 주위에서 잘 맞는 이야기를 들으면 참 신기하긴 합니다.
이렇게 글을 쓰고 보니 너무 과학만 강조하면 인생이 재미없어지는 거 같습니다. 적당한 환상과 신비는 삶, 대화의 윤활유가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