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 오디 하이 로우 게임에 관한 내용이 담긴 책이다. 이런 책이 좀 더 있었으면 좋겠다.
A, 2, 5로 출발하여 '로우 -7' 까지 잡을 확률
ㄱ. 로우-5를 잡을 확률: 7.5%
ㄴ. 로우-6을 잡을 확률: 20%
ㄷ. 로우-7을 잡을 확률 :35%
"사람 수가 많을수록 확실한 한쪽의 길을 택하라" 는 것이다. -p067
생각보다 로우 뜰 확률이 높다. 세븐 오디 하이로우는 로우가 유리하다.
만약 하프-베팅의 베팅 룰을 사용하는 게임이라면 어떠한 경우에라도 항상 낮은 카드를 처음에 오픈시켜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혀 둔다 -p106
로우에 강력한 모습을 보여야 압박 받지 않고 좀 더 편하게 게임을 운영할 수 있다.
A, 3, J 를 가지고 있을 때
로우-7이 메이드될 가능성 ->11%
로우-6이 메이드될 가능성 ->5%
로우-5가 메이드될 가능성 ->1%
-p108
로우 카드 2장만 가지고 있어도 7로우 될 확률이 11%로 꽤 높다. 플러시 2장을 가지고 있으면 기대 가능성은 3%이다.
"언제나 일정하게 A를 오픈시키지 않는 초이스 방법만을 주장하지는 말라"는 것이다. -p111
로우 카드를 들고 있을 때 항상 A를 숨기게 되면 다음에 A를 오픈했을 때 상대방은 내가 로우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대방이 예측할 수 있게 하면 안된다.
[2,3,4], [A.2.3], [J,Q,K],[Q,K,A] 등과 같이 스트레이트를 노리는 카드인데, 한쪽이 막혀 있을 때는 항상 막혀 있는 쪽에서 가장 가까운 카드를 오픈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p119
그래야 내 액면이 상대에게 스트레이트로 덜 의심받을 수 있다.
* 포커와 확률
트리플로 출발했을 때 풀-하우스를 잡을 확률 - 약 33% (앞으로 약은 생략)
같은 무늬 3장으로 출발했을 때 플러시를 잡을 확률 -18%
4구 투-페어에서 풀-하우스를 잡을 확률 -23%
4구 포-플러시에서 플러시를 잡을 확률 -47%
4구 양방 스트레이트에서 스트레이트를 잡을 확률 - 43%
투-페어에서 마지막에 풀-하우스를 잡을 확률 -9%
트리플에서 마지막에 풀-하우스(또는 포-카드)를 잡을 확률 -22%
포-플러시에서 마지막에 플러시를 잡을 확률 -20%
양방 스트레이트에서 마지막에 스트레이트를 잡을 확률 -17%
원-페어에서 마지막에 투-페어(또는 그 이상)를 잡을 확률 -30%
원-페어로 출발하여 투-페어(또는 그 이상)를 잡을 확률 -60%
원-페어로 출발하여 트리플(또는 그 이상)을 잡을 확률 -16%
처음 3장 중, 같은 무늬 2장으로 출발했을 때 플러시가 될 확률 -3%
5구까지 같은 무늬 3장에서 6, 7구를 연속으로 플러시 잡을 확률 -4%
A, 3, 5(5 이하 3장)로 출발하여 '로우 -5'를 잡을 확률 -7.5%
2, 3, 6(6 이하 3장)으로 출발하여 '로우 -6' 을 잡을 확률 -20%
2, 4, 7(7 이하 3장)로 출발하여 '로우=7'을 잡을 확률 -35%
A, 2, 4, 5(5 이하 4장)에서 마지막에 '로우 -5'를 잡을 확률 -9%
2, 3, 5, 7(7이하 4장)에서 마지막에 '로우 -7)을 잡을 확률 -26%
5구에서 3, 4, 7(7이하 3장)을 가지고 '로우-7'을 잡을 확률 -9%
5구에서 A, 3, 6(6 이하 3장)을 가지고 '로우-6'을 잡을 확률 -4.5% -p136
확률을 아는 것은 유용하다. 확률을 알고 전략을 세워야겠다.
하이-롱두 게임에서 공갈의 성패는 여러 가지 상황으로 판단하여 궁짝이 맞는 알맞은 파트너가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내가 로우 쪽의 액면을 깔아놓고 공갈을 시도할 때, 하이 쪽으로 확실한 패를 가지고 있어서 같이 레이즈를 주거니 받거니 할 파트너,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p145
확실할 때만 공갈을 시도해야 한다. 내가 로우 or 하이로 생각했던 파트너가 실은 반대일 수도 있다. 내가 액면이 하이, 로우 둘 다 좋으면 궁짝을 맞춰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공갈을 시도해서는 안된다. 어쩌면 모두 죽고 혼자 독식할 수도?
아울러서 아주 훌륭한 액면이 아니더라도 상대들이 볼 때 하이 쪽인지 로우 쪽인지 분명하지 않은 액면을 가지고 있을 때는 절대로 공갈을 시도해서는 안된다는 것도 알아두기 바란다 -p146
자주 하는 실수이다. 상대방이 헷갈리는 패로 공갈을 시도해서는 안된다.
포커게임을 하는 한, 천하에 둘도 없는 고수이든, 아니면 배운 지 며칠 안되는 초보자이든, 자신에게 돌아올 다음번 카드를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고수들은 언제나 무리한 가능성에 기대를 걸지 않으며, 또 자신이 아무리 좋은 카드를 가지고 있더라도, 진다고 판단될 때는 과감하게 포기할 줄 안다.
반면에 하수들은 아주 조그마한 가능성만 있어도 그 조그마한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서, 불리한 상황에서의 승부를 자초한다. 결국 이러한 선택이 계속해서 반복될 때, 엄청난 행운이 따라주지 않는 한 그 결과는 불을 보듯 뻔한 것이다. -p159
역시 안전하게 확실히 이길 수 있는 상황에서만 승부를 걸어야 한다. 불리한 상황은 피해야 한다. 승부를 운에 맡겨서는 안된다.
그렇기에 5구째는 언제 어느 때라도 항상, "내가 6구에 메이드가 되려면 x x 가 와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내 액면은 어떻게 되나-"라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고서, "부가가치가 많으므로 승부를 걸어볼 가치가 있어-"라든가, "(바라는 것이)오더라도, 배당이 안 좋은 상황이야-"라는 식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콜을 하고 승부를 시도할 것인지, 아니면 기권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p165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유용한 책이었다. 배운 것들을 잘 활용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