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30.


《제주신화》

 김순이 글, 여름언덕, 2016.9.14.첫/2020.10.10.고침



가을이 깊어가도 풀벌레하고 개구리는 몇 남아서 가늘게 노래한다. 볕날을 잇는다. 우리는 두런두런 집살림을 돌보고, 구름을 살피고, 바람을 마신다. 밥을 짓고, 함께 먹고, 그날그날 새로 헤아리고 배우는 길을 이야기한다. 어버이하고 아이란, 늘 이야기하며 마음을 잇는 사이라고 느낀다. 아이하고 어른은, 언제나 말을 주고받으면서 마음을 살찌우고 틔우는 보금자리를 일굴 노릇이지 싶다. 《제주신화》를 돌아본다. 곁님은 도무지 따분해서 못 읽겠다고 내려놓았다. 큰아이는 그래도 끝까지 억지로 읽고서 앞으로 다시 안 읽겠다고 한다. 나도 읽느라 끙끙거렸다. 제주에서 먼 옛날부터 흘러온 이야기는 따분하거나 어려울 까닭이 없다. 흙을 만지며 아이를 돌보고 살림을 지은 누구나 두런두런 일군 이야기인걸. 그러나 ‘학문’이라는 이름이 붙고서 ‘연구’라는 자리에 서고 ‘대학·강의’라는 길로 갈 적에는 그만 모두 일그러진다. 왜 일구지 않으면서 일그러져야 할까? 왜 할매할배가 아이를 품에 앉히고서 도란도란 들려주는 말씨를 살리지 못 하는가? 예부터 어른은 누구나 ‘이야기’만 했다. ‘신화·전설·민담·동화·구전·설화’가 아니라 그저 ‘이야기’이다. 잇는 길과 말과 삶이라서 이야기인데, 다들 잊어가는구나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0.29.


《미래 세대를 위한 동물권 이야기》

 이유미 글, 철수와영희, 2024.7.21.



요즈음 두 아이가 ‘빨간머리 앤’을 새롭게 들여다본다. 예전에는 무슨 줄거리인지 잘 몰랐고, 앤이 왜 멋대로 구는지 바보 같았다고만 느꼈다는데, 이제는 좀 다르게 바라볼 수 있겠다고 얘기한다. 예전에 보고 듣고 읽은 모든 이야기를 처음부터 차근차근 새롭게 짚으면서 스스로 눈뜰 수 있다. 처음 보고서 다 알 수도 있겠지. 그러나 두벌 보고 세벌 마주하고 넉벌 되새기는 동안 눈썰미뿐 아니라 마음이 자란다. 어른도 매한가지이다. 익숙한 대로 하면 굳고 놓치고 잊는다. 《미래 세대를 위한 동물권 이야기》를 읽었다. 이유미 님이 쓴 책을 모두 읽었는데, 자꾸 쳇바퀴 같다. ‘동물권’이라는 일본말씨에 스스로 글결을 가두기보다는 ‘숨빛’을 헤아려 보시기를 빈다. ‘식물권’을 생각할 수 있을까? ‘바위권·모래권·빗물권·바다권’처럼 바라볼 수 있을까? 풀벌레나 지렁이나 벌나비가 아파하는 줄 알아차릴 수 있을까? ‘동물권·인권’을 짓밟거나 깔아뭉개는 얼거리는 바로 ‘서울’이다. 여기에 ‘정부·학교·문화예술·과학·군대·종교·의학’도 나란하다. 싹 갈아엎을 줄 알아야 하나하나 보듬고 돌보면서 어린이한테 이야기꽃을 씨앗으로 들려주겠지. 볕날은 눈부시다. 오늘도 노랑나비하고 풀벌레 끝노래를 맞아들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21 : 계략 꾸미고



무슨 계략을 꾸미고 있지?

→ 무슨 짓을 꾸미지?

→ 뭘 꾸미지?


계략(計略) :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한 꾀나 수단 ≒ 계모

꾸미다 : 1. 모양이 나게 매만져 차리거나 손질하다 2. 거짓이나 없는 것을 사실인 것처럼 지어내다 3. 바느질을 하여 만들다 4. 글 따위를 지어서 만들다 5. 살림 따위를 차리고 갖추거나 마련하다 6. 어떤 일을 짜고 만들다 7. [언어] 구나 문장에서 다른 성분의 상태·성질·정도 따위를 자세하게 하거나 분명하게 하다



  앞에서 환하게 하는 일이 아닌, 뭔가 뒤에서 벌이려고 하는 일이라고 할 적에 ‘꾸미다’라는 낱말을 씁니다. 한자말로는 ‘계략’이라 하지요. “계략을 꾸미다”는 겹말이니 “꾸미다” 한 마디만 쓰면 됩니다. “무슨 짓을 꾸미지?”나 “뭘 꾸미지?”라 하면 돼요. “무슨 꿍꿍이지?”나 “뒤에서 뭘 하지?”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무슨 계략을 꾸미고 있지?

→ 무슨 짓을 꾸미지?

→ 뭘 꾸미지?

《마오 1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 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20 : 이상(理想)의 꿈



이상(理想)의 꿈은

→ 꿈은

→ 뜻은


이상(理想) : 1. 생각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가장 완전하다고 여겨지는 상태 2. [철학]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완전한 상태. 절대적인 지성이나 감정의 최고 형태로 실현 가능한 상대적 이상과 도달 불가능한 절대적 이상으로 구별할 수 있다

꿈 : 1. 잠자는 동안에 깨어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사물을 보고 듣는 정신 현상 2.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 3. 실현될 가능성이 아주 적거나 전혀 없는 헛된 기대나 생각



  우리말 ‘꿈’을 ‘이상’으로도 풀이합니다. 이런 뜻풀이를 제대로 아는 분이 뜻밖에 드문 듯합니다. “이상(理想)의 꿈”은 엉뚱하구나 싶은 겹말입니다. “이상과 꿈”처럼 겹말을 쓰는 분도 많은데, 그저 ‘꿈’이라 하면 되어요. ‘뜻’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이상(理想)의 꿈은 그것을 실현시키려 애쓰지 않는 한은

→ 꿈은 이를 이루려 애쓰지 않는다면

→ 우리가 뜻을 이루려 애쓰지 않으면

《孤獨한 당신을 위하여》(루이제 린저/곽복록 옮김, 범우사, 1974) 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19 : 이별은 헤어지는



이별은 헤어지는 사람들로 하여금

→ 눈물은 헤어지는 사람들한테

→ 헤어지는 사람들은


이별(離別) : 서로 갈리어 떨어짐

헤어지다 : 1. 모여 있던 사람들이 따로따로 흩어지다 2. 사귐이나 맺은 정을 끊고 갈라서다 3. 뭉치거나 붙어 있는 물체가 따로따로 흩어지거나 떨어지다 4. 살갗이 터져 갈라지다



  우리말 ‘헤어지다’를 한자말로 옮기면 ‘이별’입니다. “이별은 헤어지는 사람들로”라 하면 알쏭달쏭합니다. 헤어지니 헤어진다고 하면 됩니다. 갈라서니 갈라선다고 합니다. 헤어지거나 갈라서면서 마음이 아프거나 쓰리다면, 이때에는 ‘눈물’이라는 낱말을 넣어서 “눈물은 헤어지는 사람들한테”쯤으로 추스를 만합니다. ㅅㄴㄹ



헤어짐이 밥 먹는 일보다 잦은 사람들에게 무엇이 어려울까 싶지만, 이별이란 늘

→ 자주 헤어지면 무엇이 어려울까 싶지만, 헤어지면 늘

→ 자주 헤어진 사람이 무엇이 어려울까 싶지만, 헤어지면 늘

《그림에 스미다》(민봄내, 아트북스, 2010) 288쪽


이별은 헤어지는 사람들로 하여금 오래 살게 되는 병에 걸리게 한다

→ 눈물은 헤어지는 사람들이 오래살며 앓으라 한다

→ 헤어지는 사람들은 오래살며 앓는다

《인간이 버린 사랑》(이이체, 문학과지성사, 2016) 5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