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19 : 이별은 헤어지는



이별은 헤어지는 사람들로 하여금

→ 눈물은 헤어지는 사람들한테

→ 헤어지는 사람들은


이별(離別) : 서로 갈리어 떨어짐

헤어지다 : 1. 모여 있던 사람들이 따로따로 흩어지다 2. 사귐이나 맺은 정을 끊고 갈라서다 3. 뭉치거나 붙어 있는 물체가 따로따로 흩어지거나 떨어지다 4. 살갗이 터져 갈라지다



  우리말 ‘헤어지다’를 한자말로 옮기면 ‘이별’입니다. “이별은 헤어지는 사람들로”라 하면 알쏭달쏭합니다. 헤어지니 헤어진다고 하면 됩니다. 갈라서니 갈라선다고 합니다. 헤어지거나 갈라서면서 마음이 아프거나 쓰리다면, 이때에는 ‘눈물’이라는 낱말을 넣어서 “눈물은 헤어지는 사람들한테”쯤으로 추스를 만합니다. ㅅㄴㄹ



헤어짐이 밥 먹는 일보다 잦은 사람들에게 무엇이 어려울까 싶지만, 이별이란 늘

→ 자주 헤어지면 무엇이 어려울까 싶지만, 헤어지면 늘

→ 자주 헤어진 사람이 무엇이 어려울까 싶지만, 헤어지면 늘

《그림에 스미다》(민봄내, 아트북스, 2010) 288쪽


이별은 헤어지는 사람들로 하여금 오래 살게 되는 병에 걸리게 한다

→ 눈물은 헤어지는 사람들이 오래살며 앓으라 한다

→ 헤어지는 사람들은 오래살며 앓는다

《인간이 버린 사랑》(이이체, 문학과지성사, 2016) 5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