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고전의세계 리커버
장 자크 루소 지음, 주경복 외 옮김 / 책세상 / 2019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5.1.8.

읽었습니다 329



  눈빛으로 마음을 주고받습니다. 몸짓으로 마음을 나눕니다. 서로 소리를 들려주고 들으면서 마음을 읽습니다. 마음을 새롭게 나타내고 받아들이려고 하면서 말이 발돋움하고, 이 마음을 두고두고 새기려는 뜻으로 글이 태어납니다.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은 ‘글로 담아낸 말’ 이야기입니다. “말은 어떻게 태어났나?” 하고 스스로 묻고 풀어내는 얼거리입니다. 문득 궁금합니다. 루소는 이 책을 ‘글말’로 썼나요, 아니면 ‘입말’로 썼나요? 틀에 갇혀버린 ‘글’로 ‘말’을 다루려 했다면 엉성할 텐데, ‘마음을 담은 말’을 옮긴 글결은 너무 딱딱합니다. 동무한테 들려주는 이야기로 이웃말을 옮길 수 있을까요? 아이 곁에서 함께 생각을 나누는 결로 글을 쓸 수 있는가요? 지난날 ‘수글(수클)’로 담아내는 얼거리가 아니라, 삶을 짓고 살림을 가꾸면서 사랑을 펴던 수수한 사람들이 일군 ‘암글(암클)’을 바라볼 때라야, 우리도 스스로 우리말빛을 헤아리면서 우리말밑을 알아봅니다.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장 자크 루소/주경복·고봉만 옮김, 책세상, 2002.8.5.)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JeanJacquesRousseau


ㅅㄴㄹ


우리가 옮겨내려는 말을 정념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생각으로 바꿔볼 필요가 있다

→ 우리가 옮겨내려는 말을 마음이 우리한테 밝히려는 생각으로 바꿔 보아야 한다

31


조응하는 혀와 입천장의 움직임은 주의를 기울여 연습해야 한다

→ 맞물리는 입하늘 움직임은 마음을 기울여서 내야 한다

→ 맞닿는  입하늘은 찬찬히 움직여서 소리내야 한다

35


이러한 말소리의 조합에 박자와 음량의 조합을 더해 보라

→ 이러한 말소리를 엮고 가락과 소리도 여미어 보라

35


더 다양한 음절을 가지게 될 것이다

→ 말마디가 더 늘어난다

→ 낱내가 고루 늘어난다

35


자연 상태의 목소리는 조음되지 않기 때문에 낱말들도 그다지 많이 조어되지 않을 것이다

→ 들빛 목소리는 가다듬지 않았기 때문에 낱말도 그다지 많이 짓지 않는다

→ 숲빛 목소리는 매만지지 않았기 때문에 낱말도 그다지 많이 엮지 않는다

36


입을 더 음직여 보는 습관을 가졌더라면 훨씬 더 많은 모음을 발견했으리라고 의심치 않는다

→ 입을 더 움직여 버릇했더라면 홀소리를 훨씬 더 찾았으리라고 본다

46


발음기관은 알아차리지 못하게 그 목소리에 길들여진다

→ 소릿길은 알아차리지 못하게 목소리에 길든다

→ 입은 알아차리지 못하게 목소리에 길든다

46


그들은 서로 알파벳을 차용했으며

→ 그들은 서로 글씨를 빌렸으며

→ 그들은 서로 글을 돌려썼으며

46


글로 쓰듯이 말을 하면 말하면서 읽도록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 글로 쓰듯이 말을 하면, 말하면서 읽는 셈이다

47


만일 글로 씌어졌다면 《일리아스》는 훨씬 덜 음유되었을 것이고, 따라서 음유시인들은 인기가 많지 않았을 것이며

→ 글로 썼다면 《일리아스》를 훨씬 덜 노래했을 테고, 노래꽃님을 그리 반기지 않았을 테며

→ 글로 썼다면 《일리아스》를 훨씬 덜 읊었을 테고, 노래꽃지기는 그리 사랑받지 않았을 테며

51쪽


어떤 민족이 글을 많이 읽고 배울수록 그 민족의 방언은 점차 사라진다

→ 글을 많이 읽고 배우는 겨레일수록 겨레말은 어느새 사라진다

→ 글을 많이 읽고 배우는 사람들일수록 사투리는 차츰 사라진다

52


우리는 무인도에서 고립된 사람들이 자신들의 말을 잊어버리는 것을 보았다

→ 우리는 외딴섬 사람들이 말을 잊어버리는 모습을 본다

73


외국에서 사는 사람들은 함께 일하며 공동체 사회를 이루고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몇 세대가 흐른 뒤에는 그들의 최오의 언어를 거의 보존하지 못 한다

73


전쟁과 정복은 인간 사냥일 뿐이다

→ 싸움과 밟기는 사람사냥일 뿐이다

7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 선생님 6
유쿠에 타카나 지음, 김완 옮김, 티 선생님 원작 / 삼양출판사(만화)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1.8.

만화책시렁 689


《티 선생님 6》

 티 선생님 글

 유쿠에 타카나 그림

 김완 옮김

 삼양출판사

 2020.12.24.



  누구나 길잡이인데 자꾸 잊습니다. 아이를 낳아서 돌보는 어버이도 길잡이요, 아이를 안 낳은 모든 어른도 길잡이입니다. 어버이는 한집에서 하루를 함께 지내면서 같이 살림을 짓고 이끄는 몫을 맡는 길잡이입니다. 어른은 한마을과 한나라에서 이웃으로 지내면서 서로 헤아리는 몫인 길잡이입니다. 《티 선생님》은 어린이집에서 아이 곁에 서는 젊은 길잡이를 보여줍니다. 스스로 낳은 아이는 없어도, 어린이집에 찾아오는 모든 아이를 스스럼없이 맞이하고 같이 놀고 노래하는 삶이란 무엇인지 살피는 길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라 곳곳을 보면 ‘아동학대·학생인권’이라는 이름으로 시나브로 배움길이 옅거나 사라지곤 합니다. 지난날에는 숱한 꼰대가 아이들을 두들겨패면서 돈을 가로챘다면, 이제는 매질이나 돈뺏기가 사라졌는데, 해묵은 틀로 아이어른 사이를 옭아맨다면, ‘아동학대·학생인권’을 다시 짚고 풀어헤쳐서 새롭게 엮을 노릇이라고 봅니다. 오늘날에는 ‘아이어른이 어깨동무하는 길’을 밝혀야 한다고 느껴요. 앞뒤나 위아래가 아닌 어깨동무로 나아가는 길을 밝힐 적에 비로소 배우고 가르칩니다. 무턱대고 일러바쳐서 길잡이를 괴롭히는 ‘아동학대·학생인권’이라면 오히려 아이들을 옭매는 어설픈 차꼬로 바뀝니다. 서로 사람길(인권)을 살피면서 나란히 배우는 살림길을 담아야 할 때입니다.


ㅅㄴㄹ


이런 아이들의 소소한 자랑이나 뭔가를 보여줄 때를 소중히 해주세요.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칭찬해 주면, 자신에 대한 자신감으로 이어지니까요. (78쪽)


“왜, 왜? 재미있었어?” “아니, 옛날에 물놀이 했던 게 재미있었어!” (112쪽)


+


《티 선생님 6》(티 선생님·유쿠에 타카나/김완 옮김, 삼양출판사, 2020)


이제까지 했던 것 중에서 제일 오래 돌았어

→ 이제까지 가운데 가장 오래 돌았어

→ 이제까지 맴돌이 가운데 가장 오래야

7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1.4. 거닐며 본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새벽바람으로 고흥에서 길을 나섭니다. 바깥일을 보러 움직일 적에는 오늘은 얼마나 멀리 다녀오는가 하고 문득 느끼되, 이내 마음을 바꿉니다. 두 어깨에 가로지른 네 가지 꾸러미에 담은 갖은 글꾸러미에 어떤 이야기를 차곡차곡 새로 적으면서 어떤 이웃을 만나서 어떤 노래를 건네면서 함께 즐거우려나 하고 돌아봅니다.


  저는 마음을 읽으려 할 뿐, 느낌(감정)을 읽으려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온누리 숱한 이웃은 마음보다는 느낌에 퍽 얽매입니다. 저도 느낌을 다 내려놓지 않았기에 느낌에도 마음을 쓸 테고요. 그래서 이 모든 마음과 느낌을 글줄로 옮겨서 척척 노래로 여밉니다.


  마음노래를 쓰고, 살림노래를 쓰고, 사랑노래를 쓰고, 들숲노래를 쓰고, 한글노래를 쓰고, 말꽃노래를 쓰고, 하루노래를 쓰고, 시골노래를 쓰고, 밥풀노래를 쓰고, 풀꽃노래를 쓰고, 글꽃노래를 쓰고, 사람노래를 쓰고, 숲빛노래를 쓰고, ‘내가 안 쓰는 말’이라는 노래를 씁니다.


  새벽에는 시골에서 논두렁부터 걷습니다. 논두렁을 거닐며 하늘을 훅 아우릅니다. 한겨울에 옅노랗게 시드는 논배미를 물끄러미 돌아보다가 시골버스를 탑니다. 마지막으로 시골 어귀 커다란 느티나무를 눈에 담는데, 이제부터 읍내를 거쳐 서울로 갈아타는 시외버스까지는 들숲하늘이 가로막힙니다. 서울 복작마을(센트럴시티)에 내려서 부천으로 가는 길에 들어서면 그야말로 사람바다입니다.


  들숲바다가 아닌 사람바다가 나쁠 일은 없는데, 서울과 서울곁은 사람이 지나치게 몰립니다. 서울이며 서울곁에 몰린 사람 가운데 9/10이 이곳을 떠나서 온나라 골골샅샅에 깃들 적에 비로소 이 나라가 아름답게 다시 태어나리라 봅니다. 이대로 내달리는 서울나라일 적에는 우두머리 몇 놈을 끌어내려서 사슬터로 보낸들 하나도 안 바뀝니다. 우두머리 몇 놈뿐 아니라, 우두머리 곁에 있는 ‘꼬마우두머리’에 여러 벼슬아치도 나란히 골칫거리인걸요.


  새벽부터 낮에 이르기까지 길에서 얼추 아홉 시간을 말없이 노래를 들으며 노래를 쓰다가 부천 〈용서점〉에 닿습니다. 가볍게 함께 노래쓰기를 하고서 길손집으로 걸어가고, 저녁거리를 사러 가게를 다녀오려고 걷습니다. 별을 가로막은 가게불빛에 잠긴 순이돌이가 왁자지껄 떠들며 술담배를 하는 사이를 가로지릅니다. 술 한 모금을 하기 앞서 별바라기를 한나절 한다면 이곳이 아름답겠지요. 담배 한 모금을 하기 앞서 해바라기를 한나절 한다면 이곳이 사랑스럽겠지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774 : 문제로부터 시작된다 문제적 사건 -의 균형 존재들 그것 해결 과정 것


모든 이야기는 문제로부터 시작된다. 문제적 사건으로 삶의 균형이 깨어진 존재들이 그것을 해결해 가는 과정을 그리는 것이 이야기다

→ 모든 이야기는 말썽에서 비롯한다. 말썽으로 삶이 깨진 탓에 이를 풀어가는 길을 그리니 이야기다

→ 모든 이야기는 골칫감부터이다. 골칫거리 탓에 깨진 삶을 풀어내기에 이야기다

《사이에서, 그림책 읽기》(김장성, 이야기꽃, 2022) 111쪽


뭔가 어긋나거나 깨지거나 흔들리거나 벗어나기에 말썽입니다. 골칫거리입니다. 말썽을 풀려고 하면서 여태까지 익숙한 길에서 꽤 벗어납니다. 하나하나 다시 짚으면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곰곰이 다루고 엮는 사이에 새삼스레 이야기가 더 샘솟습니다. 드디어 일을 마치면 바야흐로 온갖 이야기가 쌓입니다. 즐거운 일도 이야기로 나아가고, 골아픈 짓도 이야기로 흐릅니다. 다 다르게 맺고 풀면서 여미어 오늘 하루를 되새기는 살림자국입니다. ㅅㄴㄹ


문제(問題) : 1. 해답을 요구하는 물음 2. 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 3. 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4. 귀찮은 일이나 말썽 5. 어떤 사물과 관련되는 일

시작(始作) : 어떤 일이나 행동의 처음 단계를 이루거나 그렇게 하게 함. 또는 그 단계

사건(事件) : 1.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거나 주목을 받을 만한 뜻밖의 일

균형(均衡) : 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상태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해결(解決) : 제기된 문제를 해명하거나 얽힌 일을 잘 처리함

과정(過程) : 일이 되어 가는 경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523 : 위의 인용 경제의 논리 불린 것 초점 -어졌


이 글은 위의 인용에서 ‘경제의 논리’라고 불린 것을 밝히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 이 글은 앞선 글에 적은 ‘돈’ 이야기를 밝히려고 한다

→ 따온글에 적은 ‘돈’이 얼마나 드는가 밝히려고 한다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복거일, 삼성경제연구소, 2003) 10쪽


“위의 인용”은 잘못 쓰는 일본말씨입니다. 일본사람은 책을 엮으면서 같은 쪽 바로 앞에 든 칸이나 글이나 그림을 들며 ‘위의(上の)’처럼 적는데, 이런 일본책을 우리말로 옮기며 그대로 받아들였어요. 그래서 일본책과 달리 다음 쪽으로 넘어간 뒤에도 ‘위의’라는 말씨가 엉뚱하게 남기 일쑤예요. 우리말씨로는 “앞서 든”이나 “앞서 쓴”으로 적어야 알맞습니다. 또는 ‘따온글’이나 ‘따다·옮기다·들다’ 같은 낱말로 손질합니다. “불린 것”하고 “맞추어졌다”는 옮김말씨이니 바로잡습니다. 일본말씨인 “경제의 논리”는 단출히 ‘돈’으로 손질할 만합니다. ㅅㄴㄹ


인용(引用) : 남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이나 글 속에 끌어 씀

경제(經濟) : 1. [경제]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분배·소비하는 모든 활동. 또는 그것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 2. [경제]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 = 경제학 3. 돈이나 시간, 노력을 적게 들임

논리(論理) : 1. 말이나 글에서 사고나 추리 따위를 이치에 맞게 이끌어 가는 과정이나 원리 2. 사물 속에 있는 이치. 또는 사물끼리의 법칙적인 연관 3. [철학] 바른 판단과 인식을 얻기 위한 올바른 사유의 형식과 법칙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 논리학

초점(焦點) : 1. 사람들의 관심이나 주의가 집중되는 사물의 중심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