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망각 忘却


 망각 속에 버려두고 있었다 → 잊은 채 버려두었다

 완전히 망각된 존재는 아니었다 → 아주 잊히지는 않았다

 과거란 망각되어서도 안 되고 → 옛날이란 잊어서도 안 되고

 시간을 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 하루를 잊은 셈이다


  ‘망각(忘却)’은 “어떤 사실을 잊어버림 ≒ 망실(忘失)·망치(忘置)”을 뜻한다고 하는데, ‘망실·망치’뿐 아니라 ‘망각’ 모두 ‘잊어버리다·잊다’로 고쳐쓸 노릇입니다. ‘까먹다·깜박·깜빡·껌벅·껌뻑’으로 고쳐쓸 수 있어요. ‘모르다·버리다’나 ‘놓다·놓치다’로 고쳐쓰고, ‘빠뜨리다·빼먹다·빼다’로 고쳐씁니다. ‘골로 가다·죽다·숨지다’나 ‘묻다·묻히다·파묻다’로 고쳐쓰고, ‘생각잃다’나 ‘아른거리다·어른거리다’로 고쳐써요. ‘까맣다·새카맣다·어둡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망각’을 둘 더 싣는데 다 털어냅니다.



망각(妄覺) : [심리] 외부 세계의 자극을 잘못 지각하거나 없는 자극을 있는 것처럼 생각함

망각(芒角) : 1. = 까끄라기 2. = 모서리



사랑도 시도 망각하고

→ 사랑도 노래도 잊고

→ 사랑도 노래도 놓고

→ 사랑도 글도 내려놓고

→ 사랑도 글도 밀쳐두고

《이슬처럼》(황선하, 이슬처럼, 창작과비평사, 1988) 78쪽


목재회사 직원들은 생명의 소중함을 망각하고 있었다

→ 나무터 일꾼은 목숨이 아름다운 줄 잊고 일했다

→ 나무일터 사람은 목숨이 아름다운 줄 몰랐다

→ 나무집 사람은 목숨이 아름다운 줄 잊어버렸다

《나무 위의 여자》(줄리아 버터플라이 힐/강미경 옮김, 가야넷, 2003) 184쪽


이 사회에는 두 가지 힘이 서로 충돌하고 있는 것 같은데, 지배적인 힘은 망각하는 능력인 것 같다

→ 이 나라는 두 가지 힘이 부딪히는 듯한데, 더 큰 힘은 잊는 재주인 듯하다

→ 이곳에서는 두 가지 힘이 부딪히는 듯한데, 더 센 힘은 잊는 재주인 듯하다

→ 이 마을은 두 가지 힘이 부딪히는 듯한데, 더 덩치 큰 힘은 잊는 솜씨인 듯하다

→ 여기에서는 두 가지 힘이 부딪히는 듯한데, 덩치가 더 큰 힘은 잊는 솜씨인 듯하다

《강이, 나무가, 꽃이 돼 보라》(데이비드 스즈키·오이와 게이보/이한중 옮김, 나무와숲, 2004) 53쪽


과거에 진 빚에 대한 일본인의 망각은 도를 더해갈 것이 분명했다

→ 일본사람은 지난날 빚을 더 잊으리라

→ 일본사람은 예전 빚을 더욱 잊는다

→ 일본사람은 그동안 진 빚을 아주 잊는다

《삶은 계속되어야 한다》(전진성, 휴머니스트, 2008) 84쪽


느림의 정도는 기억의 강도에 정비례하고 빠름의 정도는 망각의 강도에 정비례한다고 간파한 바 있다

→ 느린 만큼 아로새기고, 빠른 만큼 잊는다고 깨달은 바 있다

→ 느린 대로 새기고, 빠른 대로 까먹는 줄 알아차린 바 있다

《나를 만나는 스무 살 철학》(김보일, 위즈덤하우스, 2010) 137쪽


바람 빠진 바퀴를 끌고 망각의 하루를 건너가는

→ 바람 빠진 바퀴를 끌고 잊힌 하루를 건너가는

→ 바람 빠진 바퀴를 끌고 까만 하루를 건너가는

《뭇별이 총총》(배영옥, 실천문학사, 2011) 46쪽


땅을 떠난 사람들은 땅에 돌아가리라는 마음을 망각한다

→ 땅을 떠난 사람들은 땅에 돌아가리라는 마음을 잊는다

→ 땅을 떠난 사람들은 땅에 돌아가리라는 마음을 놓친다

《삼킨 꿈, 땅에서 배운 십 년》(한승오, 강, 2012) 56쪽


우리는 어쩌면 이리도 쉽게 그 사실을 망각하고 있고 외면하고 있는 것일까

→ 우리는 어쩌면 이리도 쉽게 이를 잊고 등돌릴까

→ 우리는 어쩌면 이리도 쉽게 이를 잊어버리고 등돌릴까

《삶의 마지막 축제》(용서해, 샨티, 2012) 232쪽


꿈의 가치를 망각한 현대인에게

→ 꿈빛을 잊은 오늘 우리한테

→ 값진 꿈을 놓은 오늘사람한테

《마음의 서재》(정여울, 천년의상상, 2015) 150쪽


우리가 살았던 기억을 망각하게 하고

→ 우리가 살던 일을 지우고

→ 우리가 살던 나날을 치우고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승효상, 돌베개, 2016) 170쪽


영원히 망각하는 모습을 계속해서 관측하는 건 안타까웠다

→ 까맣게 잊는 모습을 자꾸 보자니 안타까웠다

→ 까맣게 잊어버리는 모습을 내내 보자니 안타까웠다

《문방구 왈츠》(카와치 하루카/심이슬 옮김, 삼양출판사, 2016) 178쪽


망각의 바다에서 휩쓸리지 않을 것이다

→ 깜빡질 바다에서 휩쓸리지 않겠다

→ 빠뜨리는 바다에서 안 휩쓸리겠다

《서울 밖에도 사람이 산다》(히니, 이르비치, 2023) 1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주 다녀오겠습니다 달콤한 그림책
장선환 지음 / 딸기책방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1.9.

그림책시렁 1526


《우주 다녀오겠습니다》

 장선환

 딸기책방

 2022.9.27.



  우리 몸은 이 별에 맞는 옷입니다. 나무한테는 줄기와 잎과 뿌리라고 하는 옷이 있습니다. 벌레도 나비도 새도 저마다 다르게 옷을 입고서 이 별에서 삶을 짓습니다. 별 바깥에 있는 드넓은 별누리는 끝이 없다지요. 그런데 우리 몸과 이 별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을 들여다보고 낱(세포)을 파고들어도 드넓으며 끝이 없습니다. 속으로도 밖으로도 가없이 펼치는 빛길입니다. 《우주 다녀오겠습니다》는 아이가 어느 날 문득 푸른별 바깥이 궁금하다면서 하늘배를 타고서 붕 날아서 해누리(태양계)를 한 바퀴 도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그런데 해누리조차 온별누리에서 아주 조그마한 티끌보다 작은 티티티끌조차 아닙니다. 하늘배를 타고서 얼마나 멀리 다녀올 만할까요? 별누리나 온누리나 온별누리를 하늘배를 타고서 돌아보자면 너무 ‘끝있는 짧길’이지 않을까요? 우리는 저마다 다르게 입은 몸으로 이 별에서 겪고 마주하고 치르는 갖가지 일을 이야기로 추려서 마음에 담아요. ‘누리’란 무엇인지 곰곰이 헤아리기를 바라요. 몸을 눕혀서 꿈으로 나아갈 적에 비로소 닿는 빛누리로 찾아가 봐요. 머리카락과 손끝과 발바닥으로 짓는 삶이 어떻게 마음에 흐르는지 살피고, 넋으로 피어나는 누리마실을 새롭게 열어 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야근수당



 야근수당을 미지급하여 → 밤일삯을 안 주어

 매일 야근을 하는데 야근수당은 → 늘 밤일을 하는데 밤삯은

 야근수당을 계산해 보니 → 밤삯을 헤아려 보니


야근수당 : x

야근(夜勤) : 퇴근 시간이 지나 밤늦게까지 하는 근무. ‘밤일’로 순화

수당(手當) : 정해진 봉급 이외에 따로 주는 보수 ≒ 덤삯



  저녁이나 밤에 일할 적에 따로 받는 삯이 있어요. ‘밤일삯’입니다. ‘밤삯’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야근을 하든 회사에서 잠을 자든 야근수당은 보통 안 나온다

→ 밤일을 하든 일터에서 자든 밤일삯은 으레 안 나온다

→ 밤샘일을 하든 일터에서 묵든 밤삯은 으레 안 나온다

《중쇄미정》(가와사키 쇼헤이/김연한 옮김, 그리조아, 2016) 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주휴수당



 주휴수당도 상승하였다 → 이레쉼삯도 올랐다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 쉬는삯을 안 주면


주휴수당 : x

주휴(週休) : 한 주일에 한 번 휴가가 있는 것. 또는 그 휴가

수당(手當) : 정해진 봉급 이외에 따로 주는 보수 ≒ 덤삯



  짧게 곁일을 할 적에는 일할 적에는 일삯을 줍니다. 짧게 일하건 오래 일하건, 일꾼이 알맞게 쉬면서 일하기를 바란다면, 따로 쉬는날을 챙기면서 ‘쉬는몫·쉬는삯’을 내어주겠지요. ‘쉼몫·쉼삯’이라 할 텐데, 이레 가운데 하루나 이틀을 쉬는 동안 받는 ‘이레쉼몫·이레쉼삯’이라고 하겠습니다. ㅅㄴㄹ



주휴수당을 받아 본 적이 없었다

→ 쉼삯을 받아 본 적이 없다

→ 쉬는몫을 받아 본 적이 없다

《서울 밖에도 사람이 산다》(히니, 이르비치, 2023) 1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근속수당·근무수당



 연차에 따라서 근속수당이 다르다 → 나이에 따라서 오래삯이 다르다

 금년도 근속수당 지급액은 → 올해 받는 자릿삯은

 근무수당이 적다면 → 일삯이 적다면


근속수당 : x

근무수당 : x

근속급(勤續給) : 근로자의 근속 기간에 따라 증액되는 임금 부분

근속(勤續) : 한 일자리에서 계속 근무함

수당(手當) : 정해진 봉급 이외에 따로 주는 보수 ≒ 덤삯



  얼마나 일했느냐에 따라서 따로 매기는 삯이 있다면 ‘오래삯’이나 ‘자리값·자릿삯’이라 하면 됩니다. 일하며 받는 삯은 ‘일삯·품삯’이나 ‘몸값’이라 하면 됩니다. ‘하루삯·날삯·날찍’이나 ‘값·돈·삯’이라 해도 되어요. ㅅㄴㄹ



오래 다니면 근속 수당

→ 오래 다니면 자릿삯

→ 오래 다니면 오래삯

《감자가 맛있는 까닭》(서정홍, 창비, 2018) 18쪽


내부고발이 있고 나서 지금까지 초과한 근무수당을 지급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고 하는데

→ 참소리가 있고 나서 이제까지 더 일한 삯을 주라고 했다는데

→ 참목소리가 있고 나서 여태까지 더 일한 삯을 주라고 했다는데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도서관 사서 실무》(강민선, 임시제본소, 2018) 3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