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2.


《여우의 눈물》

 다지마 신지 글·박미정 그림/계일 옮김, 계수나무, 2012.5.25.



얼어붙던 날씨는 다시 풀린다. 등허리를 두들기면서 천천히 하루를 돌아보는데, 오늘은 작은아이가 부엌일을 맡아 준다. 이틀 동안 설거지조차 안 하면서 쉬니 온몸이 조금씩 살아난다. 온누리 살림꾼인 어머니는 쉴 겨를이 있을까? 짝꿍인 아저씨는 얼마나 살림꾼 노릇을 함께 할까? 작은아이가 굴뚝새를 보았단다. 참새보다 훨씬 작단다. 아이들이 만났으면 나도 곧 만나겠지. 마을고양이가 물을 마시려고 마당을 가로지른다. 《여우의 눈물》을 읽는다. 1991년에 《가우디의 바다》라는 이름으로 처음 한글판이 나온 책에 실린 글이고, 2021년에 《바다로 간 가우디》라는 책이 새로 나왔다. 1991년에 조금 읽히기는 했지만, 그무렵에 이 책이며 이야기를 눈여겨본 사람은 적었다고 느낀다. 동무나 이웃한테 ‘정신세계사판 가우디의 바다’를 꽤 사주었는데, 끝까지 잘 읽었다는 말은 한두 사람한테서 겨우 들었다. 이대로 잊히나 싶었으나 두 가지 이야기를 살려준 손길이 고맙다. 여우가 여우로 살아가는 길이란, 사람이 사람으로 살아가는 길이다. 거북이가 거북이로 이 별을 보는 눈이란, 사람이 사람으로서 이 별을 사랑하는 눈이다. 잊으니 잃고, 잃기에 다시 잊는다. 사랑을 잊고 살림을 잃은 사람은 껍데기만 남은 허수아비이다.


#田島伸二 #コンキチ #人間になってみたキツネ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3.


《만주 아편스쿼드 14》

 시카코 글·몬마 츠카사 그림/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4.4.30.



등허리가 제법 나았구나 싶어서 씻고 빨래를 한다. 사흘 쌓인 빨래가 수북하다. 비비고 헹구어 애벌로 빨라고, 오늘은 모처럼 빨래틀한테 맡긴다. 겨울볕에 보송보송 말리자니 곁님이 나무란다. “거의 나았다는 뜻은 아직 안 나았다는 뜻이잖아요. 이럴 적에 아이들한테 맡겨야 아이들이 빨래를 배울 텐데, 또 혼자서 다 하면 아이들이 언제 빨래를 배우겠어요?” 가만히 듣고서 뉘우친다. 《만주 아편스쿼드 14》을 읽었다. 줄거리가 너무 더뎌서 건너뛰기를 해보는데, 첫걸음부터 열넉걸음까지 썩 제자리걸음만 한다고 느낀다. 이렇게 때리고 밟고 죽이고 괴롭히고 뒷짓을 일삼는 줄거리와 그림을 잔뜩 보여주는 뜻이 있을까? 일본이 얼마나 모질고 사납게 바보짓을 했는지 밝히려는 마음 같아 보이지는 않는다. 너무 가볍게 재미를 좇느라 ‘숨빛’을 마주하는 손과 눈이 무디었다고 느낀다. 손도 무디고 눈도 무디기에 마구마구 죽이고 찢고 밟는다. 손도 무디고 눈도 무딘 탓에 총부림과 칼부림이 우리 마음에 어떻게 또아리를 틀는지 도무지 안 살피는 듯하다. 여러모로 보면, 앞잡이는 그저 앞잡이였을 뿐 아니라 허수아비를 잔뜩 세웠다. 사람을 노리개로 삼은 무리는 사람피를 빨아먹는 거머리일 뿐이고.


#満州アヘンスクワッド #鹿子 #門馬司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4.


《니체 읽기의 혁명》

 손석춘 글, 철수와영희, 2024.10.25.



거의 나아가되 다 낫지 않은 등허리이다. 저녁에 고흥읍에서 ‘고흥교육회의’ 새해모임이 있다는데 안 가고 싶다. 그러나 어찌저찌 끌려가듯 나가고야 만다. 이 작은 시골에서 ‘배움모임’을 꾸리는 길을 걸으려면, 먼저 시골아이가 시골을 사랑하며 깃드는 이야기를 펴야 할 테지만, 이런 이야기를 지난 열다섯 해에 걸쳐서 아직 못 들었다. 벼슬꾼(군수·군의원·교육지청장·전남도지사·전남교육감)만 돈바라기로 흐르지 않는다. 이 고장(전라남도) 숱한 사람들은 어떤 새길을 바라보면서 집살림과 마을살림을 살펴야 하는가 하는 대목에서 으레 놓친다. 언제나 아이 곁에 서야 하지 않을까? 아이 곁에 서면 모든 일을 풀지 않을까? 고흥에서 서울까지 달려가서 ‘모지리 끌어내리자!’ 하고 외치기만 해서는 이 시골이 살아날 수 없다. 《니체 읽기의 혁명》을 읽었다. 니체를 돌아보는 뜻깊은 책이라고 느낀다. 글님이 니체를 얼마나 아끼며 되새기는지 엿볼 수 있되, 우리는 우리 곁에 있는 사람들을 짚으면서 오늘 이곳을 새롭게 새기고 읽는 실마리를 열 만할 텐데 싶기도 하다. ‘이소선·박두성 읽기’라든지 ‘고정희·강경애 읽기’로 우리 눈길을 틔울 만하다. ‘송건호·강준만 읽기’나 ‘김남주·설호정 읽기’로 우리 눈썰미를 열 만하다. 바깥은 그만 쳐다봐도 된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5.


《도시인들을 위한 비둘기 소개서》

 조혜민 글, 집우주, 2024.9.9.



어제 바깥일을 보러 다녀오면서 등허리가 조금 도진 듯싶다. 곁님이 나무란다. “제대로 쉬어야지”라는 말을 곱씹는다. 숨을 고르고서 아침에 밥하고 국을 한다. 처음엔 작은아이한테 맡겼는데 작은아이는 그림을 그리느라 바쁜 나머지 잊는다. 다시 말을 해도 될 테지만 조용히 부엌일을 한다. 한참 서서 도마질을 하다가 쉬고, 물이 끓어 불을 줄이면서 등허리를 토닥인다. 밥이랑 국이랑 곁밥까지 차려 놓고서 드러눕는다. 《도시인들을 위한 비둘기 소개서》를 읽는다. 다른 책이름을 흉내내기는 했어도 비둘기를 다루는 드문 책이지 싶어서 읽었다. 그러나 정작 글쓴이가 만난 비둘기가 아닌, 책으로 읽은 ‘비둘기 이야기’를 잔뜩 모았다. 서울사람(도시인)은 비둘기를 비둘기로 안 보기 때문에, 그냥 ‘책으로 읽은 비둘기’를 다루면 될까? 비둘기가 이 땅에서 언제부터 우리 곁에 있었는지 짚으면 안 되는가? 마을과 들숲에서 살아가는 비둘기는 울음소리가 다른데, 서울에서 좀 밖으로 나와서 이 땅 골골샅샅에서 하늘을 가르고 들숲에 내려앉으며 벌레와 꽃송이와 열매를 쪼는 비둘기를 만나면 안 되는가? 비둘기 이야기를 책과 누리집(인터넷)에서 뒤적이기에 나쁠 일은 없지만, 막상 비둘기를 곁에 두지 않는다면 ‘길잡이책’이 아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6.


《어린이를 위한 우리말 어감 사전》

 안상순 글·최정미 그림, 다락원, 2022.2.25.



등허리가 결리니 숨을 들이켤 적마다 찌릿하고, 다리를 높이 들려고 할 때에도 욱씬거린다. 이렇게 결리고 찌릿하고 욱씬거려서 숨을 제대로 못 쉬기는 처음이다. 권정생 할배는 숨을 마시고 뱉을 적마다 어떠했을는지 헤아려 본다. 죽어가는 끝자락에 서면 이렇게 온몸이 괴로울 수 있겠구나. 그래도 빨래를 한다. 다른 집안일은 아이들한테 맡긴다. 오늘은 큰아이가 굴뚝새를 보았단다. 딱새는 꽁지를 까닥인다면, 굴뚝새는 꽁지를 세운다지. 그러고 보니 나도 아침나절에 무화과나무에 앉아 노래하는 새를 한참 쳐다보았다. 깃빛은 직박구리인데 직박구리하고 노래가 다르기에 한참 보았는데, 우리 모두 오늘 굴뚝새를 보았네. 《어린이를 위한 우리말 어감 사전》은 책이름만 ‘우리말빛 꾸러미’로 붙였을 뿐이다. 막상 ‘한자말 유의어 사전’이다. 비슷하면서 다른 한자말을 다루는 꾸러미라면 “한자말 유의어”나 “한자말 어감”이라고 붙여야 옳다. 거짓말을 하지 말자. 영어는 영어일 뿐이고, 한자말은 한자말일 뿐인데, 중국한자말에 일본한자말이 있다. 우리가 먼 옛날부터 쓴 우리말을 우리말결로 다루는 꾸러미여야, ‘가다·나다·닿다·맡다·보다·살다·알다·자다·차다·크다·푸르다·하다’ 같은 우리말을 짚어야, ‘비슷하다·닮다’나 ‘휘다·굽다’가 어떻게 비슷하며 다른지 밝혀야 비로소 “우리말빛 꾸러미”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한자말을 다루는 말씨가 온통 일본말씨에 옮김말씨이니 참으로 씁쓸하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