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5.9. 두 이웃



  어버이날이라던 어제 부산에 와서 깃새글꽃(상주작가)으로서 펄 다섯 가지 이야기꽃을 어느 날짜에 할는지 가다듬었다. 서로 좀더 헤아리면서 즐겁게 어울릴 신나는 날을 잡는다. 이렇게 하고서 마감글을 살폈고. 숨돌린 뒤에 저녁수다를 하다가 두 나라 이웃님을 만난다. 두 분은 푸른별을 고루 돌면서 춤꽃을 펴는 길을 걸어간다고 했다. 두 분하고 두런두런 말을 섞다가, 두 분 이름을 듣다가, 문득 마음으로 떠오른 넉줄글이 있다. 얼른 한글로 적고서, 이윽고 일본말과 영어로 옮겨적는다.


  말이란 늘 마음이다. 읽거나 들으면서 주고받는 마음을 말소리로 옮기고, 이 말소리를 새삼스레 글줄로 새긴다. 여태껏 서로 걸은 길은 다르지만, 푸른별에 사랑씨앗을 심는 마음은 나란하다고 느낀다. 우리는 몇 마디 말과 글을 주고받으면서 앞으로 서로 다르지만 나란히 푸른별을 일구고 가꿀 손끝과 눈빛을 헤아린다.


  간밤에 빗소리가 굵다. 새벽에도 아침에도 낮에도 빗줄기가 시원하다. 부산에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길은 빗길이고, 이 비내음과 비노래를 머금으면서 홀가분하다. 

나는 이웃을 만나려고 바깥일을 한다. 나는 동무하는 마음으로 함께 살림을 짓는 곁님과 아이들하고 보금자리를 돌본다. 너는 누가 이웃이니? 너는 어떻게 동무하는 마음으로 보금자리를 보살피니? 마음 한 자락을 나누면서 생각이라는 씨앗을 함께 받는 오늘을 살아간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한복 韓服


 한복을 지어 입다 → 한옷을 지어 입다

 한복을 차려입다 → 온옷을 차려입다 / 우리옷을 차려입다


  ‘한복(韓服)’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 특히 조선 시대에 입던 형태의 옷을 이르며, 현재는 평상복보다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따위에서 주로 입는다. 남자는 통이 허리까지 오는 저고리에 넓은 바지를 입고 아래쪽을 대님으로 묶으며, 여자는 짧은 저고리에 여러 가지 치마를 입는다. 발에는 남녀 모두 버선을 신는다. 출입을 할 때나 예복으로 두루마기를 덧입는다”처럼 뜻풀이를 하는데, 이 땅에서 겨레를 이룬 사람을 ‘한겨레’라 할 적에는 그저 우리말인 ‘한’입니다. 이런 얼거리를 헤아려서 ‘한옷·텃옷’이나 ‘겨레옷·나라옷’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마을옷’이나 ‘내림옷·물림옷’이라 할 만하고, 우리가 입기에 ‘우리옷’이고, ‘한겨레옷·배달옷’처럼 나타낼 만해요. ‘옛옷·오래옷·오랜옷’이라 해도 되고, ‘살림옷·온옷’이라 하면 되고, 치마라면 ‘두루치·두루치기’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지금 전통 옷이라고 하는 한복과 똑같은

→ 오늘 겨레옷이라고 하는 한옷과 똑같은

→ 오즘 나라옷이라고 하는 한옷과 똑같은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박종숙, 지문사, 1988) 124쪽


한글도 한복도 한옥도 전부 밖에서 먼저 좋다고 해 줬고

→ 한글도 한옷도 한집도 다 밖에서 먼저 훌륭하다 해줬고

《술술술 1》(홍동기·가리, 미우, 2010) 81쪽


자투리 천으로 한복에 다는 동전들과 인형 옷을 만들어 주셨어요

→ 자투리천으로 우리옷에 다는 쇠돈과 귀염이옷을 지어 주셨어요

→ 자투리천으로 한옷에 다는 소꿉돈과 작은이옷을 지어 주셨어요

《처음 손바느질》(송민혜, 겨리, 2014) 2쪽


한복 가게를 새롭게 차리는 사람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 한옷 가게를 새롭게 차리는 사람들이 곳곳에서 생겨났다

→ 겨레옷 가게를 새롭게 차리는 사람들이 잔뜩 생겨났다

→ 배달옷 가게를 새롭게 차리는 사람들이 퍽 많이 생겨났다

《한복, 여행하다》(권미루, 푸른향기, 2017) 1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자연식 自然食


 되도록 자연식을 주도록 → 되도록 푸른밥을 주도록

 항상 자연식을 지향한다 → 늘 풀살림을 바란다


  ‘자연식(自然食)’은 “방부제나 인공 색소 따위를 넣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식품 ≒ 자연식품”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이 일본말씨는 ‘숲밥·푸른밥·풀밥·풀을 먹다’로 손볼 만합니다. ‘풀밥살이·풀밥살림·풀밥차림’으로 손볼 수 있고, ‘푸른살림·풀빛살림·풀살림·풀살이·풀꽃살림·풀꽃살이’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특히 生食이나 自然食은 건강의 비결이라고 한다

→ 그냥밥이나 숲밥이기에 튼튼하다고 한다

→ 날밥이나 푸른밥이라서 튼튼몸이라고 한다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박종숙, 지문사, 1988) 136쪽


자연식에서는 약간의 계란을 먹는다

→ 푸른밥에서는 달걀을 조금씩 먹는다

→ 풀살림에서는 달걀을 조금 먹는다

《문숙의 자연식》(문숙, 샨티, 2015) 1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고로 故-


 고향을 떠나게 되는 고로 → 옛터를 떠나서 / 마을을 떠나기에

 부엌에서 덜컹거리는 고로 → 부엌에서 덜컹거리기에 / 부엌에서 덜컹거리니

 그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그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여기 있다 / 그는 생각한다. 그러니 여기 있다


  ‘고로(故-)’를 찾아보면 “1. 문어체에서, ‘까닭에’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 그러므로”처럼 풀이합니다. 글에서만 쓰는 ‘故로’라고 하니, 입으로는 쓰지 않는 낱말이라는 뜻이고, 입으로는 안 쓰는 낱말이란 우리말이 아니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예부터 ‘글말’은 한문을 빌어서 쓰던 글이었으니까요. 그런데 이 ‘고로’는 “고로 존재한다” 같은 꼴로 자꾸 쓰입니다. 우리말로 ‘그러므로·그래서·그러니’나 ‘곧·따라서·뭐’로 고쳐씁니다. ‘말하자면·다시 말해·어디’나 ‘음·이래서·이리하여’로 고쳐쓰고요. ‘자·짧게 말해·한마디·한마디로’나 ‘만큼·터·까닭’으로 고쳐써도 되어요. ‘알다시피·무릇·모름지기’나 ‘이른바·이를테면’으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ㅍㄹㄴ



그런 고로 어려운 작가들에게서 이빨을 다져야만 한다

→ 그런 터라 어려운 글쓴이한테서 이빨을 다져야만 한다

→ 그러하니 어려운 글쓴이한테서 이빨을 다져야만 한다

→ 그러니까 어려운 글쓴이한테서 이빨을 다져야만 한다

《독서술》(에밀 파게/이휘영 옮김, 양문사, 1959) 75쪽


고로, 우리는 어떠한 인간이라도 무시하거나 천시하거나 멸시해서는 안 된다

→ 그러니까, 어떠한 사람이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 그러므로, 어떠한 사람이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 그래서, 우리는 누구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 이리하여, 우리는 누구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사명을 다하기까지는 죽지 않는다》(채규철, 한터, 1990) 88쪽


그런 고로

→ 그러니 

→ 그래서

→ 그리하여

→ 그러니까

→ 그 때문에

《고유명사들의 공동체》(김정환, 삼인, 2004) 181쪽


황남빵 매장은 경주 한 곳밖에 없답니다. 고로, 먹어야겠당

→ 황남빵집은 경주 한 곳밖에 없답니다. 그래서, 먹어야겠당

→ 황남빵집은 경주 한 곳밖에 없답니다. 그러니, 먹어야겠당

→ 황남빵 가게는 경주 한 곳밖에 없답니다. 곧, 먹어야겠당

《키친 4》(조주희, 마녀의책장, 2010) 22쪽


나는 여자인고로

→ 나는 순이라서

→ 나는 가시내니

→ 나는 순이인 만큼

→ 나는 순이인 터라

《내가 사랑한 여자》(공선옥·김미월, 유유, 2012) 4쪽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데카르트는 말했다

→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여기 있다.”고 데카르트는 말했다

→ “나는 생각한다. 그러니 여기 산다.”고 데카르트는 말했다

《인간과 말》(막스 피카르트/배수아 옮김, 봄날의책, 2013) 34쪽


고로 쓰는 것 자체가 즐겁다

→ 그러니 쓰면 즐겁다

→ 그래서 글쓰기가 즐겁다

→ 이리하여 글쓰기가 즐겁다

《글쓰기 어떻게 시작할까》(이정하, 스토리닷, 2016) 53쪽


그런 고로 드세요

→ 그러니까 드세요

→ 그러니 드세요

《금의 나라 물의 나라》(이와모토 나오/김진희 옮김, 애니북스, 2017) 79쪽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나의 존재를 의심한다

→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나를 못 믿는다

→ 나는 생각한다. 그러니 나는 나를 안 믿는다

《숲은 생각한다》(에두아르도 콘/차은정 옮김, 사월의책, 2018) 92쪽


고로, 큐코 너는 이 메뉴를 소화해 줘야겠다

→ 곧, 큐코 너는 이 차림대로 해내야겠다

→ 그래서, 큐코 너는 이대로 해야겠다

《살랑살랑 Q 3》(아마가쿠레 기도/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 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페스티벌festival



페스티벌(festival) : 축하하여 벌이는 큰 규모의 행사

festival : 1. (보통 1년에 한 번 조직적으로 열리는) 축제[기념제] 2. (특히 종교적) 축제

フェスティバル(festival) : 페스티벌, 축전, 축제, 제전, 향연. (=(お)祭り)



영어 ‘페스티벌’을 우리 낱말책에 싣기까지 합니다만, ‘마당·자리·판’이나 ‘잔칫날·잔치·함박잔치·큰잔치’나 ‘온마당·온마루·온날잔치·온잔치’로 고쳐쓰면 됩니다. ‘한마당·한마루·한잔치·한꽃마당·한꽃잔치’나 ‘한꽃터·한꽃자리·한꽃뜰·한뜰·한꽃뜨락·한뜨락’로 고쳐쓸 수 있어요. ‘신·신꽃·신빛·신나다·신명’이나 ‘신명꽃·신명빛·신바람·신바람꽃·신바람빛’으로 고쳐쓰고, ‘어깻바람·어화둥둥·밝철·밝은철’로 고쳐써도 되고요. ㅍㄹㄴ



진보초 북 페스티벌이 신간 업계가 나서는 계기가 된 건가요

→ 진보초 책잔치는 새책마을이 나서는 발판이 되었나요

→ 진보초 책마당은 새책판이 나서는 씨앗이 되었나요

《시바타 신의 마지막 수업》(이시바시 다케후미/정영희 옮김, 남해의봄날, 2016) 81쪽


페스티벌이 끝난 뒤 나는 오래도록 품고 있던 계획을 추진하고 싶었다

→ 오래도록 품은 꿈을 한마당이 끝난 뒤에 펴고 싶었다

→ 오래도록 꿈꾸던 일을 잔치가 끝난 뒤에 벌이고 싶었다

《이슬의 소리를 들어라》(율리우스 베르거/나성인 옮김, 풍월당, 2021) 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