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5.8. 네가 싫다면



  네가 싫다면 넌 다가서지 않아. 네가 싫어하느라 네가 안 다가서니, 넌 어제도 오늘도 꽃내음을 모르고 새소리를 모르고 늦봄빛을 모르고 밤별빛을 몰라.


  넌 꽃내음이 밥먹여 주느냐고 묻는구나. 새소리가 돈이 되느냐고 따지는구나. 늦봄빛으로 무슨 인문지식이 되느냐고 웃는구나. 그래, 제비를 모르고 박쥐소리를 귀여겨듣지 않아도 새책도 새뜸도 쏟아져. 넌 보고 들을 얘기 넘친다고 하는구나.


  소쩍새를 기다리는 사람은 버스나 전철을 탈 적에 새치기를 안 해. 장끼랑 까투리를 반기고 봄나비를 그윽히 바라보는 사람은 갈라치기나 무리짓기를 안 해. 서울에서는 골목과 기스락에 애기똥풀이 오르더구나. 시골에서는 잣나물과 민들레와 봄까지꽃과 꽃마리가 사르르 녹으면서 돌나물이 올라와. 곧 멧딸기알이 영글지.


  넌 어디를 보니? 넌 어디로 가니? 넌 무엇을 그리니? 넌 해바람비랑 늘 하나인 줄 느끼니?


  저 하늘 좀 봐. 2025년 올해는 지난해에 대면 새가 엄청나게 줄었어. 해마다 새랑 개구리랑 풀벌레랑 나무가 얼마나 줄어드는지 알거나 살피거나 느끼니? 나라지기가 되겠노라 외치는 사람이 여럿인데 아무도 새나 시골이나 숲이나 어린이 이야기를 안 하더라. 책을 읽는다거나 나누려는 말을 하는 사람도 없어. 그러면 뽑을 사람이 있을까? 가덕도를 멈추고 올림픽을 멈추고 해저송전선을 멈추지 않는 사람이라면, 그이는 나라지기가 아닌 도둑이 되려는 마음이지 않겠니?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뭘 하며 놀까?



서울 대방동에서 밤을 맞이하는데

술꾼들 술수다가 늦도록 있네

새벽에 이르러 비로소 잦아드는데

이제부터 빗소리가 퍼진다


내 등짐에 슈룹이 있지만

등짐만 씌우고서

비놀이를 누리고 비맛을 본다


숭실대 앞에서 전철을 내리려는데

이곳 일꾼이 디딤돌로 오르지 말라고

에스컬레이터 타라며 팔뚝을 억세게 잡네


나는 사나운 손을 물리치고서

가볍게 높다란 디딤돌을 척척 올라간다


2025.4.22.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5.7. 마지막은 있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2025년 닷쨋달에 책 한 자락을 새로 낳습니다. 곧 태어날 책이기에 여러 달째 손질하고 또 손질하는 나날입니다. 펴냄터 지기님도 끝없이 되읽으면서 손질해 주시고, 저도 가없이 되읽으면서 빈틈이나 틀린곳을 헤아립니다. 지난 넷쨋달부터 ‘참말로 마지막’이라고 여겼지만, ‘마지막 다음 마지막’을 이었고, ‘또 마지막 다음 마지막’을 거쳐서 ‘참말 마지막 다음 마지막’인데, 아무래도 한 벌을 더 살펴야 ‘찍음터(인쇄소)로 들어가기 앞서 마지막’을 볼 테지요. ‘거의 마지막’이라고 여기고 또 여기고 다시 여기고 거듭 여기는 하루하루입니다. 개구리와 밤새가 베푸는 노랫가락을 들으면서 조금 숨을 돌립니다. 다시금 눈과 손에 불을 켜기 앞서 기지개를 켜고, 설거지를 하고, 집안일을 돌아봅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망상 妄想


 망상에 빠지다 → 터무니없는 생각에 빠지다 / 헛꿈에 빠지다

 망상에 잠기다 → 엉뚱한 생각에 잠기다 / 헛생각에 잠기다

 헛된 망상에 사로잡히다 → 헛된 꿈에 사로잡히다

 가당치 않은 망상 외의 구체적인 방법은 → 터무니없는 생각 말고 다른 길은


  ‘망상(妄想)’은 “1. 이치에 맞지 아니한 망령된 생각을 함 ≒ 망념(妄念) 2. [심리] 근거가 없는 주관적인 신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개-·걱정·근심·끌탕’이나 ‘꿈·꿈꾸다’나 ‘덜떨어지다·떨어지다·떨구다’로 손봅니다. ‘돌머리·바보·모자라다·엉터리’나 ‘별·별빛·별빛살·별살’로 손보고, ‘생뚱맞다·엉뚱하다·씨나락 까먹는 소리’나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얼척없다·터무니없다·턱없다’로 손볼 만해요. ‘우습다·우스꽝스럽다·웃기다’나 ‘젬것·젬치·젬뱅이·칙칙하다·한갓되다’나 ‘허깨비·허방’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허튼·허튼소리·허튼바람·허튼짓’이나 ‘허튼꿈·허튼빛·허튼생각·허튼셈·허튼속’으로 손보지요. ‘헛것·헛되다·헛말·헛소리·헛다리·헛발’로 손보고, ‘헛물·헛바람·헛심·헛일·헛짓·헛짚다’나 ‘헛꿈·헛빛·헛생각·헛셈·헛속’으로 손보면 됩니다. ‘엄살’이나 ‘멋대로·제멋대로’로 손볼 수 있고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망상’을 세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내어도 됩니다. ㅍㄹㄴ



망상(罔象) : 물에 있는 귀신

망상(望床) : 1. 큰 잔치 때에, 보기 좋게 과실·떡·어육 따위의 음식을 높이 괴어 차려 놓은 큰 상 2. 혼인 잔치 때에, 신랑의 몸상 뒤에 놓는 큰 상

망상(網狀) : 그물처럼 생긴 모양



“내가 세상에서 제일 예쁘지?” 하는‘공주병’도 일종의 과대망상 아닐까

→ “내가 가장 예쁘지?” 하는 ‘이쁨앓이’도 엉뚱꿈 아닐까

→ “내가 가장 예쁘지?” 하는 ‘귀염앓이’도 바보꿈 아닐까

《철학은 내 친구》(위기철, 청년사, 2005) 293쪽


그런 망상을 계속 반복하다 보니까 공부하는 것도 몸에 배고

→ 턱없어도 자꾸 그리다 보니까 배우기도 몸에 배고

→ 그렇게 자꾸 꿈꾸다 보니까 배우기도 몸에 배고

《너에게 닿기를 1》(시이나 카루호/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07) 188쪽


시골에서 도시로 올라오면 외로운 나머지 요정이다 뭐다 하는 망상 친구를 만들어 버리는 그런 거

→ 시골에서 서울로 오면 외로운 나머지 꽃님이다 뭐다 하는 꿈동무를 지어 버리는 그런

《이치고다 씨 이야기 2》(오자와 마리/정효진 옮김, 학산문화사, 2010) 88쪽


“지금 하고 있잖아! 안 그래도 다들 우리 집 흠을 잡으려고 안달이 났는데!” “피해 망상이야.”

→ “바로 하잖아! 안 그래도 다들 우리 집 빌미를 잡으려고 안달이 났는데!” “엄살이야.”

→ “여기서 하잖아! 안 그래도 다들 우리 집 흉을 잡으려고 안달이 났는데!” “우는소리야.”

《아침이 또 오니까》(라가와 마리모/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1) 146쪽


옛날의 잔상에 얽매여 사는 바람에 내 망상을 누군가에게 겹쳐버린 거야

→ 옛날 그늘에 얽매여 사는 바람에 내 꿈을 남한테 겹쳐버렸어

→ 옛날 그림자에 얽매이는 바람에 내 근심을 남한테 겹쳐버렸어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텐도 키린/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3) 68쪽


제 머릿속의 망상을 종이에 쓰고 싶어졌습니다

→ 제 허튼 머릿속을 종이에 쓰고 싶습니다

→ 제멋대로 춤추는 생각을 종이에 쓰고 싶습니다

《‘도련님’의 시대 5》(세키카와 나쓰오 글·다니구치 지로 그림/오주원 옮김, 세미콜론, 2015) 271쪽


아아 또 후회망상 늘어놓는 바보 같은 여자입니다

→ 아아 또 엉뚱생각 늘어놓는 바보 같은 가시내입니다

→ 아아 또 아쉬운 헛꿈 늘어놓는 바보 같은 가시내입니다

《도쿄 후회망상 아가씨 2》(히가시무라 아키코/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16) 27쪽


소녀적 망상

→ 아이다운 꿈

→ 여리여리 꿈

→ 여릿한 헛꿈

《집주인은 사춘기! 2》(미나세 루루우/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6) 15쪽


바보 같은 망상만 하고 있겠지

→ 바보같이 보기만 하겠지

→ 바보같이 그리기만 하겠지

《코우다이 家 사람들 4》(모리모토 코즈에코/양여명 옮김, 삼양출판사, 2017) 59쪽


이상한 망상하는 건 너희들이잖아

→ 엉뚱한 짓은 너희가 하잖아

→ 너희가 엉터리로 보잖아

《은빛 숟가락 13》(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17) 61쪽


망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군

→ 바보 나래를 펼치는군

→ 덜떨어진 꿈을 펼치는군

《어쩌면, 나의 이야기》(토마 마티외·씨냉, 여성신문사, 2018) 101쪽


망상이라고 했어

→ 헛꿈이라고 했어

→ 헛셈이라고 했어

→ 어이없다고 했어

→ 바보같다고 했어

《히스토리에 11》(이와아키 히토시/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2019) 114쪽


바보처럼 망상한 게 싫어요

→ 바보처럼 여겨서 싫어요

→ 바보처럼 꿈꿔서 싫어요

→ 바보처럼 바라서 싫어요

《카나타 달리다 6》(타카하시 신/이상은 옮김, 학산문화사, 2020) 45쪽


내가 피해망상에 시달리고 있으며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고 적극 주장했다

→ 내가 엄살에 시달리며 넋이 나갔다고 거듭 외쳤다

→ 내가 근심걱정에 시달리며 미쳤다고 힘주어 말했다

《죽고 싶지만 살고 싶어서》(장화와 열 사람, 글항아리, 2021) 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육아종 肉芽腫


 육아종이 발생할 시에는 → 배냇고름이 생기면

 육아종을 치료했다 → 아기고름을 고쳤다


  ‘육아종(肉芽腫)’은 “[의학] 육아 조직을 형성하는 염증성 종양. 결핵균, 나병균, 매독균, 바이러스 따위로 인하여 생긴 혹에서 볼 수 있다”처럼 풀이를 하는데, 우리말로는 ‘배냇고름’이나 ‘아기고름’처럼 새말을 지을 만합니다. ㅍㄹㄴ



육아종 가지고 호들갑은

→ 배냇고름으로 호들갑은

→ 아기고름으로 호들갑은

《투명한 요람 8》(오키타 밧카/서현아 옮김, 문학동네, 2025) 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