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와 류시화와 번역



  나는 ‘하이쿠’라는 일본 시를 아마 1998년에 처음 읽었지 싶다. 하이쿠라는 낱말도, 또 이러한 일본문학이 한국말로 나온 책도, 그무렵 처음 알았다. 그리고, 그때에 일본 하이쿠라는 문학을 ‘스스로 일본말을 공부하면’서 읽어 보는데, 참으로 놀랍고 재미나면서 쉬운 문학이로구나 하고 느꼈다. 일본 ‘하이쿠’는 누구나 쓰면서 누구나 읽되, 아무나 못 쓰고 아무나 못 읽는 문학이다. 그러니 얼마나 재미있는가. 누구나 쓰면서 누구나 읽는다. 그러나, 아무나 못 쓰고 아무나 못 읽는다.


  일본만화 《알바 고양이 유끼뽕》을 아는 분이 있는가 모르겠는데, 이 만화가 일본에서 얼마나 사랑을 받았는지, 편마다 ‘하이쿠로 쓴 감상평’을 받아서 이 가운데 명작을 싣곤 했는데, 창작도 번역도 엄청나게 훌륭하다. 고양이와 얽힌 하이쿠를 이렇게 재미나면서 쉽고 아름답게 쓰다니, 하고 놀란 일이 새삼스레 떠오른다.


  류시화 님은 2003년에 김영사라는 출판사에서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라는 책을 한국말로 옮겼다. 이 책이 처음 나올 때부터 판이 끊길 적까지, 이 책 ‘지은이’로는 오직 ‘류시화’ 이름만 나온다. 적어도 이 책에 글을 넣게 된 북아메리카 원주민 이름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북아메리카 원주민 사진을 찍은 미국사람 이름까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책에는 맨 끄트머리에 아주 깨알, 아니 코딱지만 하게 작은 글씨로 ‘사진 찍은 사람’ 이름이 나오지만, 이녁 저작권을 밝히지도 않고, 저작권료도 지불하지 않는다. 아주 마땅한 노릇일는지 모르나, ‘사진가 이름’은 서지사항에서 아예 빠진다.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라는 책에 실린 사진을 찍은 사람은 ‘에드워드 커티스’ 님이고, 이분 사진을 담은 사진책은 2011년에 비로소 한국에서 처음 번역된다. 《북아메리카 인디언》이라는 이름을 달고 눈빛 출판사에서 펴낸다. 그러나, 참으로 안타깝지만, 김영사에서 나온 책이나 눈빛에서 나온 책은 해상도가 아주 떨어진다. 원본을 받아서 책을 냈는지 어떠했는지 알 길이 없는데, 김영사 판은 류시화 님이 손수 ‘모았다’고 하는 책에서 스캔을 했을 테니 해상도가 떨어지고, 눈빛 판은 인쇄 질이 떨어져서 해상도가 엉망이다. 두 가지 책 모두 실망스러워서 나는 일본 판과 미국 판을 따로 해외배송으로 장만했다. 아니, 두 가지 책을 만나기 앞서 외국에서 에드워드 커티스 님 사진책을 장만해서 건사했다. 제대로 된 사진을 보고 싶기 때문이다. 그런데, 김영사에서 나온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라는 책에서는, ‘사진 저작권’이 류시화 님한테 있다고 한다. 김영사 편집부로 두 차례 확인전화를 걸었는데, 그곳 편집장이 나한테 이렇게 ‘확답’을 해 주었다.


  번역이란 무엇일지 잘 모르겠다. 외국책을 한국에서 펴낼 때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외국문학을 읽을 적에 꼭 외국말로 읽어야 한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한국말로 읽을 수 있다면 더없이 고마운 노릇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산문이 아닌 시를 번역한다고 하면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산문이든 시이든 저마다 ‘글쓴이 가락’이 있는데, 이를 어기고 번역하는 사람이 마음대로 바꾼 가락으로 풀어놓으면 어떻게 읽어야 할까.


  일본문학 하이쿠는 ‘일본말과 한자’를 안다고 다 헤아릴 만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하이쿠는 그야말로 쉽게 쓰는 문학이니까, 일본말과 한자를 어느 만큼 헤아린다면, 누구라도 읽을 수 있다. 다만, 앞서 말했듯이 쉬우면서 어려운 문학이 하이쿠이니까, 일본말과 한자를 안대서 하이쿠를 누구나 번역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데, ‘정형 하이쿠’를 ‘정형 번역’으로 하지 않으면 무엇이 번역일까?


  하이쿠는 그냥 하이쿠만 있지 않다. ‘정형 하이쿠’가 있고 ‘자유 하이쿠’가 있다. 정형 하이쿠를 ‘자유로운 번역’으로 옮기면, 자유 하이쿠는 어떻게 옮겨야 할까? 일본사람이 그네들 스스로 ‘정형 하이쿠’를 정형 하이쿠대로 글잣수를 맞춰서 쓰는 까닭이 있다. 그래서 예전부터 한국에서는 정형 하이쿠를 그야말로 ‘정형 한국말 글잣수와 틀’까지 헤아려서 땀흘려 번역했다.


  류시화 님이 이녁 나름대로 일본문학 하이쿠를 번역했다고 하지만, ‘정형 하이쿠’를 정형 얼거리대로 번역하지 않으면서 자꾸 ‘자유’로운 번역을 말한다면, ‘자유 하이쿠’를 어떻게 읽고 느껴야 할는지 알쏭달쏭하다. 일본문학은 류시화 님도 아시리라 생각하는데, 그렇게 ‘우리(한국) 마음대로 바꾸어서 번역해도 되’지 않는다. 거꾸로 생각해 보라. 한국문학을 저들(일본이든 어디이든) 마음대로 번역해도 될까?


  한국말에서 도드라지는 토씨를 외국사람이 아무렇게나 바꾸어서 번역해도 될까? 류시화 님이 열 몇 해만에 드디어 ‘정형 하이쿠’를 ‘정형 하이쿠’대로 번역했다면, 나는 하이쿠라는 일본문학을 좋아하니까 그 책을 사서 읽고 싶다. 그러나, ‘알라딘서재에서 나귀님한테 댓글을 남기는 류시화 님 모습’을 볼 적에는 그리 미덥지 못하다. 그뿐이다. 4347.7.8.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책과 책읽기)

+


'에드워드 커티스' 사진 해상도를 놓고는

http://blog.aladin.co.kr/hbooks/5071237

이 글에서

일본책과 미국책과 한국책을 나란히 놓고

'사진을 찍어서 올린' 적이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살펴보시기를 바란다.




예전 느낌글에도 적고 올렸는데,

세 나라 책을 살피면,

일본이 사진을 가장 잘 매만졌고

미국이 볼 만하도록 사진을 매만졌으며

한국은 사진을 먹으로 발라 버리고 말았다.



일본에서는 어떻게 저만 한 사진을 얻었을까?

한국에서는 왜 왼쪽과 같은 사진이 나올까?





오른쪽 사진처럼

주름살과 옷감 결을 살리지 못하면

이 사진은 '빛이 사라진'다.


커티스 유족과 제대로 만나서 

제대로 값을 치러서

사진을 받아

책을 펴낸다면,

왼쪽 모습과 같은 사진은 나오지 않을 텐데,

제대로 만나서 사진을 받더라도

사진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면

똑같이 되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석놀이 2 - 마룻바닥 못에 붙이기



  막대자석을 마룻바닥에 붙인다. 하나로 이으면 길다랗게 되는데, 이 아이들을 하나씩 떼어서 마룻바닥에 박힌 못등에 붙인다. 작은아이가 무엇을 하는지 모르고 마루를 지나가다가 못등에 붙은 막대자석을 밟는다. 아야. 뭐지? 발바닥이 아파서 내려다보니 자석이 꼿꼿이 섰기 때문이다. 자석이 쇠붙이에 잘 붙는 줄 알아챘을까. 하나씩 떼어서 붙일 생각은 어떻게 했을까. 처음에는 하나씩 붙이며 놀다가, 철봉처럼 나란히 붙이기도 한다. 새로운 생각으로 새로운 놀이를 연다. 4347.7.7.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4-07-08 01:08   좋아요 0 | URL
오~ 스스로 재밌는 놀이를 찾아내는 아이들이네요.^^

숲노래 2014-07-08 02:23   좋아요 0 | URL
아이들은 놀면서 자라니까요~
 

헌책방으로 둘이 함께 나들이



  헌책방으로 둘이 함께 나들이를 하면 어떤 느낌일까. 책을 퍽 좋아하는 이라면 늘 가는 곳이니 새삼스러울 일이 없을는지 모른다. 책을 썩 안 좋아하는 이라면 왜 새책방이 아닌 헌책방이라는 곳에 굳이 가느냐고 여길는지 모른다.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면, 책을 좋아하는 이들은 ‘내가 읽을 책’ 말고 ‘짝꿍이나 동무한테 선물하고 싶은 책’을 살필 수 있다. 책을 안 좋아하는 이하고 나들이를 왔다면, 헌책방에서만 남달리 느낄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줄 만하다.


  그저 구경만 하려고 헌책방에 들를 수 있다. 헌책방이라는 곳을 ‘나들잇길’ 가운데 하나로 삼을 수 있다. 공원에 가듯이 헌책방에 갈 수 있고, 두 사람 사이를 밝힐 만한 이야기책을 헌책방에서 찾아보려고 할 수 있다. 꼭 새로 나온 책에서만 ‘사랑을 밝히는 이야기’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어떤 넋과 숨결을 담아서 ‘사랑을 밝히는 이야기’로 엮었는지 돌아볼 수 있다.


  나는 어버이로서 아이를 데리고 헌책방으로 나들이를 한다. 젊은이라면 이녁 짝꿍을 데리고 헌책방으로 나들이를 할 수 있다. 할머니 할아버지도 서로 손을 맞잡고 천천히 거닐면서 헌책방으로 나들이를 할 수 있다. 아저씨와 아주머니도 꼭 술집이나 노래방만 가야 하겠는가. 아저씨와 아주머니도 헌책방으로 놀러와서 책과 놀 수 있다. 어린이와 푸름이도 헌책방으로 마음을 쉬러 나들이를 할 수 있다. 4347.7.7.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07) 시작 46 : 삶을 시작하려는

새로운 인격으로 삶을 시작하려는 이때 알 수 없는 무력감만이 남아 있었다
《마츠야마 하나코/김부장 옮김-아이 실격 1》(애니북스,2013) 8쪽

 삶을 시작하려는 이때
→ 삶을 열려는 이때
→ 삶에 첫걸음을 떼려는 이때
→ 새 삶을 맞이하려는 이때
→ 첫 삶을 마주하려는 이때
 …


  아기로 태어난 사람은 삶을 새로 엽니다. 그러니까, “삶을 새로 열기”예요. “새 삶 열기”라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삶 맞이”나 “첫 삶 마주하기”입니다. 우리가 저마다 처음으로 맞이하면서 누리는 삶은 어떤 모습일까요. 누구나 처음으로 맞아들이는 삶은 어떤 빛일까요. 즐겁게 바라보면서 기쁘게 이야기할 수 있기를 빕니다. 4347.7.7.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새로운 마음으로 삶을 열려는 이때 알 수 없이 기운이 쪽 빠지기만 했다

‘인격(人格)’은 “사람으로서의 품격”을 뜻한다고 합니다. ‘품격(品格)’은 “사람 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을 뜻한다고 합니다. ‘성품(性品)’은 “사람의 성질이나 됨됨이”를 뜻한다고 하며, ‘성질(性質)’은 “사람이 지닌 마음의 본바탕”이라고 해요. 그러니까, 한자말 ‘인격’은 ‘마음씨’나 ‘마음밭’이나 ‘마음결’이나 ‘마음바탕’을 가리킨다고 할 테지요. “새로운 인격(人格)”은 “새로운 마음”으로 다듬습니다. “무력감(無力感)만이 남아 있었다”는 “힘이 쪽 빠지기만 했다”나 “기운이 몽땅 빠지기만 했다”로 손봅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47) -의 : 이틀 뒤의 일


이틀 뒤의 일이다

《이경자/박숙경 옮김-꽃신》(창비,2004) 94쪽


 이틀 뒤의 일이다

→ 이틀 뒤 일이다

→ 이틀 뒤인 일이다

→ 이틀 뒤에 있던 일이다

→ 이틀 뒤에 일어난 일이다

 …



  어떤 일이 일어납니다. 오늘 일어나기도 하고, 하루 앞서 일어나기도 하며, 하루 뒤에 일어나기도 합니다. 보기글에서는 이틀이 지난 뒤 어떤 일이 일어난다고 말합니다. 그러니까, 조곤조곤 밝힌다면 “이틀이 지난 뒤 일어난 일”처럼 적을 수 있어요. 단출하게 밝히려 하면 “이틀 뒤 일이다”라든지 “이틀 뒤이다”처럼 적을 수 있습니다. 4347.7.7.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