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을 쳐다볼 겨를



  아이들과 지내면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하루가 흐른다. 미우나 고우나 우리 사랑인 아이들이 아니요, 언제나 즐겁게 웃고 노래하면서 자라는 사랑인 아이들이다. 아이들과 언제나 하루 내내 붙어서 지내니, 아이들은 어버이 말씨와 몸짓을 고스란히 물려받을 뿐 아니라, 저희 나름대로 새로운 말씨와 몸짓을 짓는다. 그러니까, 집이란 보금자리이면서 배움자리이다. 학교나 학원이라는 곳에 가야 ‘아이들이 배우’지 않는다.


  아이들이 책을 읽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버이가 집에서 책을 읽으면 된다.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버이가 집에서 노래를 부르면 된다. 아이들이 피아노를 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버이가 집에서 즐겁게 피아노를 치면 된다.


  어버이는 ‘잘’ 해야 하지 않는다. 아이도 ‘잘’ 해야 하지 않는다. 어버이와 아이는 모두 ‘즐겁게’ 하면 되고, ‘기쁘게’ 살면 된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여느 어버이가 여느 아이를 멀리하도록 자꾸 부추긴다. 먼저, 아이들은 보육시설이나 교육시설이라는 데에 몰아넣도록 닦달한다. 아이를 낳아 돌볼 어버이가 ‘아이를 쳐다볼 겨를’을 송두리째 빼앗으려 한다. 어버이가 아이를 보육시설이나 교육시설에 몰아넣도록 하면서 ‘오직 돈만 버는 사회’에 갇히도록 다그치기까지 한다. 이리하여, 정치와 사회와 경제와 문화와 교육이라고 하는 커다란 굴레는 ‘복지’라는 이름을 내세워 ‘보육시설 늘리기’로 나아간다.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보육시설이 늘어나면 ‘아이를 아름답거나 사랑스럽거나 슬기롭게 돌보면서 키울’ 수 있는가? 보육시설이 늘어나야 할 노릇이 아니라, 모든 어버이가 ‘돈을 벌어서 아이를 가르칠 걱정’을 내려놓고 ‘아이와 더 오래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 삶’이 되도록 할 노릇이 아닌가.


  오늘날 사회에서 아이들이 학교에 가야 하는 까닭은 ‘졸업장’ 때문이다. 졸업장이 없으면 도시에 있는 회사에서 일자리를 못 얻기 때문에 다들 학교를 보내려 한다. 이것밖에 없다. ‘졸업장’이 아니고서는 학교에서 아이들한테 주는 것이 없다.


  학교는 아이를 가르치지 않고 길들인다. 학교는 ‘사랑스러운 아이’를 ‘미운 아이’로 바꾸는 무시무시한 곳이다. 졸업장만 바라보도록 내모는 학교는 아이들이 회사원이 되어 ‘오직 돈만 버는 얼거리’에 갇히도록 애쓴다.


  어버이는 아이를 보아야 한다. 어버이는 아이를 ‘눈으로도 보’고, ‘마음으로도 돌보’며, ‘사랑으로도 바라보’아야 한다. 그래야 삶이다. 4348.4.11.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아버지 육아일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들레처럼 2015-04-11 21:18   좋아요 0 | URL
맞아요. 아이와 더 오래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 삶이 되어야 해요. 새겨봅니다. ^^

숲노래 2015-04-11 21:32   좋아요 0 | URL
언제나 즐거우면서 아름답게 하루하루 누려 보셔요~

비로그인 2015-04-16 23:57   좋아요 0 | URL
공감이 가는 글입니다.

숲노래 2015-04-17 04:43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아버지 그림놀이] 씩씩하게 큰배움길 (2015.3.23.)



  다가오는 4월 30일부터 5월 6일까지 ‘큰배움길’이 있다. 이 큰배움길에 두 아이를 데리고 가서 함께 공부와 훈련을 할 뜻으로 그림을 그린다. 그림이나 글에 늘 날짜와 이름을 적는데, 이 그림에는 굳이 날짜도 이름도 안 적었다. 그냥 안 적자는 생각이 들었다. 곁님은 홀가분하면서 신나게 공부와 훈련을 하기를 바라며 앞서 보내고, 나는 두 아이한테 삶과 사랑과 꿈을 제대로 물려주는 길을 익혀서 함께 누리려고, 내가 두 아이를 맡으면서 씩씩하게 큰 발자국을 성큼 내딛는 새로운 그물(거미질)로 내 몸과 마음을 짜려고 한다. 이레 남짓 다 같이 배움길을 걸을 수 있도록 생각을 짓는다. 우리는 씩씩하게 한걸음을 새롭게 내딛자. 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골살이 일기 89] 마을이란

― 바라보는 길대로



  마을은 한두 사람 손으로 가꾸지 않습니다. 마을은 여러 사람 손으로 함께 가꿉니다. 한 사람 손으로 가꾸는 삶터는 보금자리입니다. 내 보금자리라면 내 손으로 가꾸고, 우리 보금자리라면 곁님과 아이와 내 손으로 가꿉니다.


  올해 첫무렵에 마을 뒤쪽 비탈밭에 햇볕전지판이 잔뜩 들어섰습니다. 두 달 남짓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끄러운 쇳소리가 나더니, 꽤 넓다랗구나 싶은 자리에 이런 시설이 들어섭니다. 이렇게 햇볕전지판이 크게 하나 생긴 뒤 다시 한 달이 지나니 옆쪽 비탈밭에도 새로운 햇볕전지판이 들어서려 합니다.


  마을 어르신이 땅을 내놓았으니 군청에서든 전기회사에서든 햇볕전지판을 땅에 박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마을사람들 뜻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땅임자가 땅을 팔겠다고 하니 땅임자 마음입니다. 땅임자가 더는 밭으로 일구지 않겠다고 하니 햇볕전지판을 박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시설을 마을에서 거리끼지 않고 합니다. 이제 이 마을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앞으로 늙은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한 분씩 더 저승길로 떠나고 빈집이 늘면, 다른 비탈밭도 이렇게 햇볕전지판 시설로 바뀌어야 할까요. 아니면, 시골에서 살고 싶다고 하는 도시사람한테 이 땅을 내주어 집을 새로 짓고 가꾸면서 살도록 해야 할까요.


  나무를 심은 자리는 흙이 살아나지만, 시멘트를 들이붓거나 시설을 박은 자리는 흙이 죽습니다. 그대로 묵히는 밭은 흙이 기름지게 거듭나지만, 비닐을 씌우거나 시설을 박은 자리는 흙이 살아날 길이 막힙니다.


  마을사람 스스로 먼 앞날을 내다보거나 바라보지 않는다면, 마을에 함께 깃드는 사람은 먼 앞날을 그릴 수 없습니다. 마을사람 스스로 오늘 이곳을 제대로 살펴보거나 헤아리지 않는다면, 바로 마을사람 스스로 맑으면서 밝은 바람을 마실 수 없습니다.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칠까요? 높은 학교를 모두 마치고 도시로 떠난 아이들은, 시골에 남은 늙은 어버이한테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는가요? 4348.4.9.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고흥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녁에 손발 씻기기



  저녁에 잠자리에 들기 앞서 두 아이를 불러 손발을 씻긴다. 먼저 대야에 따순 물을 받는다. 그러고는 아이들 손을 먼저 씻기고, 낯을 씻도록 한다. 이러고서 발을 대야에 담그도록 해서 발가락 사이를 살살 문지른다. 이때에 두 아이는 모두 간지럼이 나서 웃음보를 터뜨린다. 내가 발가락을 씻겨도, 아이들이 스스로 발가락을 씻어도 웃음이 그치지 않는다. 발바닥과 발가락에 비누를 문지르면 더 간지럽다면서 웃는다. 가만히 돌아보면, 저녁에 잠자리에 들기 앞서 손발을 씻는 짤막한 한때는 늘 웃음보따리이다. 아이들은 밥자리에도 잠자리에도 놀이자리에도 늘 웃음을 이끌고 다닌다. 웃으니까 아이요, 웃기에 사람이며, 웃음으로 새로 태어난다. 4348.4.8.물.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아버지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집배움자리 23. 나누어 먹는 손길



  작은아이가 무엇이든 조금씩 나누어 먹는 손길을 가꾼다. 어머니도 아버지도 누나도 언제나 무엇이든 조금씩 나누어 먹으면서 지내니, 작은아이도 늘 나누어 먹는 버릇이 몸에 밴다. 나누어 먹으면 내 몫이 줄어든다고 하겠지. 틀림없다. 나누어 먹으면 내 몸으로 들어올 몫은 줄어든다. 그런데, 우리 몸은 밥을 많이 먹어야 튼튼하거나 새 기운이 솟지 않는다. 밥을 굶거나 적게 먹어도 새 기운이 솟을 수 있다. 함께 나누는 기쁨을 누리면 새 기운이 솟는다. 서로 아끼는 손길이 되면 새 사랑이 자란다. 우리 아이들이 과자 한 조각도 나누어 먹을 줄 아는 모습으로 함께 놀고 어울리니, 더없이 예쁘면서 멋지구나 하고 느낀다. 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집 학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