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8.15.

숨은책 954


《스시 걸 2》

 야스다 히로유키 글·그림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3.3.15.



  ‘위로·치유·힐링’이라는 바깥말이 춤추는 오늘날입니다. 우리말로는 ‘달래다·다독이다·토닥이다’에 ‘추스르다·보듬다·쓰다듬다’에 ‘어루만지다·돌보다·보살피다’에 ‘씻다·털다·아물다’일 텐데, 그때그때 다 다른 자리를 살피면서 하나씩 어우르는 손길과 눈길을 까맣게 잊는다고 느낍니다. 달래거나 씻어서 아물려면 “남이 도와야” 하지 않고, “남이 알아봐야” 하지 않으며, “남이 해줘야” 하지 않습니다. 늘 스스로 가꾸고 바라보고 일으킬 노릇입니다. 《스시 걸 1∼3》은 끝없이 낭떠러지에서 구르며 밑바닥에서 헤매는 사람들이 저마다 다른 ‘쥠밥 빛아이(스시 요정)’가 나타나면서 함께 구르고 같이 헤매다가 나란히 일어서면서 스스로 빛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런데 모든 ‘쥠밥 빛아이’는 오래 머물지 않아요. 가볍게 나타나서 한동안 어울리다가 슬며시 떠납니다. 여태까지도 앞으로도 누구나 스스로 멍울을 달래고 생채기를 돌보며 응어리를 풀 노릇이거든요. 우리 곁에 나타나는 빛아이는 우리 마음에 있던 빛줄기라고 여길 만합니다. 나를 살리는 말은 늘 내가 할 노릇이고, 나를 깨우는 길은 늘 내가 찾을 노릇입니다. 들풀 한 포기와 들꽃 한 송이와 들꽃씨 한 톨을 품을 줄 알면 넉넉합니다.


#安田弘之 

#寿司ガール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