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8.15.
숨은책 956
《숲의 사나이 소바즈》
제니퍼 달랭플 글·그림
이경혜 옮김
파랑새
2002.8.12.
새로 태어나는 그림책 못지않게 사라지는 그림책이 수두룩합니다. 아름다운 그림책이더라도 내내 팔려야 하지 않다지만, 어쩐지 우리 손끝은 ‘아름책·아름그림책·아름글책’보다는 ‘이름책·힘책·돈책’에 사로잡히는구나 싶습니다. 아름책은 ‘참(속낯·마음·사랑)’을 짚고 이야기를 합니다. ‘안 아름책’은 ‘거짓(겉모습·느낌·서울)’을 다루고 줄거리를 짭니다. 아름책은 들숲메바다를 품는 ‘숲책’이지만, ‘안 아름책’은 들숲메바다를 등지는 ‘서울책’입니다. 아름책은 늘 ‘나’부터 바라보면서 ‘나·너·우리’를 헤아리는 하늘빛을 노래하는데, ‘안 아름책’은 노상 ‘나라’에 갇힌 채 ‘그들끼리’에서 맴돕니다. 《숲의 사나이 소바즈》를 눈여겨본 이웃은 드물고, 애써 손에 쥐더라도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는지 모른다든지, 무슨 이야기를 읽어내어도 삶으로 안 옮기기 일쑤입니다. 사람이 사람으로서 살아가려면 누구나 스스로 들숲메바다를 품으면서 풀꽃나무로 풀어낼 줄 아는 하루를 지을 노릇입니다. 해바람비를 꺼리고 미워하고 가로막는 서울살이란 언제나 죽음길입니다. 빛샘(배터리)을 500∼600㎏씩 싣는 전기자동차로 숲을 어떻게 돌볼까요? 빛(전기)을 허벌나게 먹는 ‘ai산업’이 무슨 이바지를 할까요?
#JenniferDalrymple #Sauvage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