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10.25.

어제 저자마실을 하면서 고기를 두 점 장만했다. 곁님 어머니가 고추장에 재운 더덕을 한 통 보내 주셨기에, 아이들한테 먹이려고 고기랑 버섯이랑 배추랑 당근을 함께 구우려고 생각한다. 그런데 막상 굽고 보니 구이가 아니라 조림 비슷하게 된다. 고기를 굽는 구멍 있는 판이 아닌 스텐부침판을 쓰니 물기나 기름기가 빠져나갈 틈이 없기에 조림처럼 된다. 뻔히 알면서도 새삼스레 스스로 속는다. 더덕고기구이 아닌 더덕고기볶음마저 아닌 더덕고기조림이라니. 아이고. 이를 어쩌나. 얼른 머리를 돌린다. 아주 부드러운 배춧국을 끓이기로 한다. 잰 손놀림으로 배추를 썰어서 물을 끓여서 넣는다. 배춧국에는 달걀을 풀기로 한다. 곤약을 배춧국에 푹 익힌다. 잘 익은 뜨끈뜨끈한 곤약을 가지런히 썰어 접시에 담고, 두부도 배춧국에 담가서 익혀 놓는다. 이동안 더덕고기구이 아닌 더덕고기조림을 끝내고 저녁상을 차린다. 작은아이하고 곁님은 노느라 바쁘다며 안 오고 큰아이하고 둘이서 먹는다. 더덕고기조림은 생각보다 하나도 안 맵고, 큰아이가 맛있다며 아주 잘 먹는다. 놀이를 마친 곁님하고 작은아이는 한참 뒤에야 먹어 보는데 다들 맛있게 잘 먹어 준다. 뭐, 구이 아닌 조림도 때로는 좋은 일이지. 어쩌면 고추장더덕하고 고기버섯하고 잘 어울린다고 할 만하다. 한시름을 덜고서 등허리를 펴려고 자리에 누워서 이마 이치코 님 만화책 《그림자의 섬》을 읽는다. 《백귀야행》 못지않은 재미난 이야기가 흐르는 만화책이다. 《여행자의 나무》하고 《악몽성의 주인》이랑 줄줄이 이어지는 만화로, 이 세 권을 나란히 읽다 보면 우리가 발을 디딘 이곳은 어쩌면 꿈나라일 수 있고, 우리가 꿈으로 마주하는 곳이 외려 참삶일 수 있다고 느낀다. 예전에 《샤먼 시스터즈》나 《게게게의 기타로》라는 만화책을 읽으면서 웬만한 다른 만화책이 시들해진 적이 있는데, 이마 이치코 님이나 타카하시 루미코 님 만화책을 읽다 보면, 그리고 여기에 테즈카 오사무 님 만화책을 새로 펼쳐서 읽다 보면, 만화라는 갈래는 대단히 높으며 아름다울 뿐 아니라, 웃음하고 노래까지 곁들여서 꿈을 사랑스레 북돋우는 엄청난 예술놀이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나저나 《유리가면》 마지막 권은 언제 나오려나.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군내버스에서 읽은 책 2017.10.24.


공문서 손질하는 일을 한창 하다가 택배를 받는다. 아니, 공문서 손질하는 일을 살짝 멈추고서 밥을 지었고, 빨래를 했다. 마당에 빨래를 널다가 택배를 받았다. 옳거니 책이 왔구나.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이 한 상자 왔다. 이 따끈따끈한 책을 먼저 곁님한테 한 권 주고, 오늘은 우체국에 다녀오자고 생각한다. 우체국에 가기 앞서까지 오늘 몫 공문서 손질을 눈썹이 휘날리도록 했다. 이동안 난데없이 벼락이 치고 비바람이 몰려왔다. 아이들이 아버지를 부르면서 빨래를 걷자고 하지만, “아버지 바빠. 너희들이 해.” 하는 말만 남겼다. 드디어 15시를 앞두고 일을 마쳤고, 아이들이 빨래를 거두어 놓은 품새를 갈무리하고, 평상을 새로 덮는다. ‘우리 아이들아, 언제나 아버지가 모든 집일을 다 해 준다고 생각하지 말자. 빨래 걷는 일쯤 대수롭지 않단다. 그냥 너희가 해도 돼.’ 《겹말 사전》 열세 권을 가방에 챙긴다. 열세 권으로도 가방이 꽤 묵직하다. 큰아이한테 우체국에서 택배 종이에 우리 주소 적는 심부름을 맡기려고 같이 가자고 부른다. 군내버스에서 노래를 들으며 시집을 편다. 《바다는 잘 있습니다》라는 이병률 님 시집. 바다가 잘 있다는, 시인 아재가 이럭저럭 잘 있다는, 그리운 사람도 헤어진 사람도 이냥저냥 잘 있다는, 이리하여 시집도 이러구러 잘 나왔다는 …… 이야기를 읽는데 살짝 따분했다. 내 눈에는 ‘이파리를 가지고 있어요’라든지 ‘가정하에’라든지 ‘바람이 만들어지는’이라든지 ‘한 줄 위에 나란히 이불로 널려’ 같은 얄궂은 말씨가 자꾸 걸린다. 생각해 보면 요즘 시나 소설을 쓰는 분들 가운데 얄궂지 않고 정갈한 말씨를 쓰는 분을 찾아볼 수 없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얄궂은 말씨가 외려 한국 말씨라고 여겨야 할 노릇인가 하고도 생각해 본다. 얄궂은데 얄궂은 줄 모르면서 누구나 흔히 쓰니까 말이다. 교과서하고 사전조차도 얄궂은 말씨를 털어낼 낌새가 거의 안 보이니 시인이나 소설가나 지식인을 탓하기도 어렵다. 그나저나 우리 새로운 책을 이웃님한테 부치려고 열세 권이나 챙겨서 우체국으로 나왔는데, 막상 우체국에서 가방을 여니 ‘주소 공책’을 집에 놓고 왔다. 참 바보스러운 짓을 했다고 뉘우치면서, 얼른 여러 이웃님한테 쪽글을 보내서 주소를 알려 주십사 하고 여쭌다. 종이봉투에 책을 싸자니 테이프로 친친 감아야 해서 손이 많이 간다. 누리책방이든 출판사이든 요새는 비닐뽁뽁이봉투에 책을 넣는 까닭을 알겠다. 날마다 꽤 많이 손수 싸서 부치려면 종이봉투에 책을 싸서 보내는 일이란 아무래도 바보짓이지 싶다. 큰아이가 배고프다며 닭고기를 먹자 한다. 심부름하느라 애썼지? 읍내에서 저자마실을 한 바퀴 돌고서 튀김닭집에 들어간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당에서 읽은 책 2017.10.23.


아이들이 마당에 돗자리를 깔고서 논다. 가을볕이 좋지만 그래도 후박나무 그늘에 돗자리를 깐다. 우리 집은 볕도 좋고 그늘도 좋다. 우리 집에서 놀이를 하기에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내가 어릴 적에도 으레 이처럼 놀았다. 우리는 집에서도 잘 놀고 마을이나 마당에서도 잘 놀았다. 누가 놀이를 가르쳐 주어야 놀지 않는다. 우리 스스로 논다. 그리고 우리가 놀면서 쓰는 말은 아주 쉽고 또렷하다. 높거나 낮거나 자랑하거나 잘난 척하는 말은 안 쓴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마을이나 마당에서 놀이하는 아이를 보기도 어렵고, 그나마 피시방에서 게임을 하는 아이들은 꽤나 어려운 말을 쓴다. 학교에서도 이와 비슷하다. 동무 사이에 어깨를 겯는 쉽고 수수한 말이 차츰 잊힌다. 교사와 학생 사이, 어른하고 아이 사이, 학교를 다닌 이하고 학교를 안 다닌 이, 이렇게 여러 사람들 사이에서도 얼마든지 너르게 쓰던 고른 말이 어느덧 밀린다. 《언어는 인권이다》는 이 같은 대목을 잘 짚은 인문책이라고 느낀다. 참말 그렇지. 말은 우리 권리이다. 더 살피면 권리를 넘어서 삶이다. “말은 삶이다”라든지 “말은 사랑이다”라 할 수 있다. 이런 테두리에서 생각해 보아야지 싶다. 우리 삶이나 사랑이나 권리나 인권을 ‘말’로 나타내거나 나눈다고 하면, 우리는 어떤 말을 써야 좋을까? 우리는 어떤 말로 사랑을 속삭이면서 아름다울 수 있을까? 우리는 어떤 말로 기쁨을 주고받으면서 웃을 수 있을까?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새로운 ‘글쓰기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



  2017년 10월 24일, 저희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에서 새로운 사전 한 권을 선보입니다. 764쪽에 이르는 ‘글쓰기 사전’인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입니다. 이 ‘글쓰기 사전(우리말 사전)’에는 모두 1004가지에 이르는 겹말을 바로잡거나 손질하거나 가다듬거나 어루만지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저희 숲노래 누리집을 드나드는 분은 아실 텐데, 이 사전에는 1004가지 겹말을 다루었는데요, 이 사전을 엮고 나서도 어느덧 400꼭지가 넘는(2017년 10월 25일까지) 새로운 겹말을 더 찾았습니다. 아마 2019년에는 《겹말 사전》 둘째 권을 선보일 수도 있으리라 생각해요.


  《겹말 사전》을 장만해서 보시면 느끼실 텐데,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제대로 살려서 쓰지 못하는 일이 대단히 잦습니다. 얄궂게 쓰는 겹말 보기를 이 사전은 1004가지를 짚었다는 소리는, 우리가 흔히 모르거나 틀리는 겹말 얼개가 적어도 1000꼭지가 넘는다는 뜻이요, 이태 뒤에 《겹말 사전》 둘째 권을 낼 수 있다는 말은, 우리는 수천 꼭지에 이르는 얄궂은 말씨를 아무것도 못 느끼는 채 이냥저냥 쓴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은 이웃님이 한국말을 새로우면서 즐겁게 다시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면서 엮은 사전입니다. 글을 더 잘 쓰자는 이야기는 다루지 않고, 이렇게 해야 좋은 글이 된다고도 밝히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가 생각과 뜻과 마음을 되도록 쉽고 수수하게 밝히도록 글을 살짝 가다듬을 수 있다면, 우리는 참으로 멋지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럽게 글을 쓸 수 있는 길을 스스로 찾을 만하다는 이야기를 이 사전에서 다룬다고 말씀을 여쭙고 싶습니다.


  사람들은 사전이라고 하면 흔히 ‘뜻을 모르겠다 싶은 낱말을 찾아보는 책’으로만 여깁니다.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을 읽어 보시면 여러 가지를 배우실 수 있어요. 이토록 쉬운 낱말(텃말이든 한자말이든 영어이든 일본말이든)이 어떤 뜻인지 참말 모르고 살았구나 하고 느끼실 테고, 우리 국어사전(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모든 국어사전) 뜻풀이가 대단히 엉터리로구나 하고 느끼실 테며, 이런 엉터리 물결 사이에서도 우리 나름대로 겹말에서 벗어나 즐거이 말길을 여는 실마리를 찾을 만하다고 느끼시리라 생각해요.


  어느 모로 본다면, 《겹말 사전》은 ‘배우는 사전’입니다. 앞서 선보인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도 ‘배우는 사전’이에요. 두 사전은 ‘읽는 사전’이면서 ‘배우는 사전’입니다. 즐겁게 읽고 기쁘게 배우는 사전입니다.


  사랑스러운 우리 이웃님들이 저희 숲노래가 빚어서 펼치는 사전을 즐겁게 장만하시고 기쁘게 읽으시면서서 어깨동무하는 마음으로 새롭고 슬기로운 숨결을 함께 배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17.10.25.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 +


한국말사전 읽어 보셨나요?



  예전에는 시나 소설을 쓰든 여느 글을 쓰든, ‘글을 쓰는’ 일을 하려면 으레 책상맡에 사전을 놓고 바지런히 펼쳤어요.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글에 담는 낱말’을 모두 사전에서 찾아보면서 뜻하고 결을 헤아렸어요. 사전을 곁에 두지 않고서는 ‘글을 쓰는’ 일을 할 수 없다고 여겼지요.


  오늘날 글을 쓰는 분이 부쩍 늘지만, 사전을 곁에 두는 분은 뜻밖에 무척 적구나 싶어요. 작가나 기자나 전문가라는 이름이 아니어도 누구나 글을 마음껏 쓸 수 있는 멋진 오늘날입니다만, 막상 ‘글을 쓰’면서 사전을 찬찬히 살피는 손길은 매우 적구나 싶어요.


  사전을 곁에 두느냐 안 두느냐는 매우 달라요. 아주 흔하게 쓰는 낱말이더라도 이 ‘흔한 낱말’을 사전을 뒤적여 다시 읽고서 새롭게 헤아리며 글을 쓰는 사람하고, ‘흔한 낱말’이니까 구태여 사전을 안 뒤적이고 그냥 글을 쓰는 사람하고는 똑같을 수 없어요.


손수 : 남의 힘을 빌리지 아니하고 제 손으로 직접

몸소 : 1. 직접 제 몸으로


  우리 한국말사전을 보면 ‘손수·몸소’를 이처럼 풀이해요. 자, 이 뜻풀이를 보면서 어떤 느낌인가요? 두 낱말을 어떻게 달리 쓰는가를 환하게 알 만한가요? 또는 이 말풀이가 알맞거나 올바른지 헤아릴 수 있나요?


  ‘손수·몸소’ 뜻풀이를 보면 “제 손으로 직접”하고 “직접 제 몸으로”예요. 두 뜻풀이에 ‘직접’이라는 낱말이 끼었어요. ‘직접(直接)’은 “중간에 아무것도 개재시키지 아니하고 바로”를 뜻한다고 해요. ‘손수’ 뜻풀이를 다시 보면 앞자락에 “남의 힘을 빌리지 아니하고”라 나와요. 바로 이 “남의 힘을 빌리지 아니하고 = 중간에 아무것도 개재시키지 아니하고”입니다. 그러니까 한국말사전 뜻풀이가 겹말풀이라는 이야기예요.


제각기(-各其) : 1. 저마다 각기 2. 저마다 따로따로


  사람들은 ‘제각기’라는 말마디를 퍽 흔하거나 쉽게 씁니다. 아마 이 낱말을 한국말사전을 뒤적이며 뜻풀이를 새롭게 되새기려는 분은 거의 없지 싶어요. 그러면 다른 낱말을 몇 가지 더 살펴보겠습니다.


각기(各其) : 1. 저마다의 사람이나 사물 2. 각각 저마다

저마다 : 1. 각각의 사람이나 사물마다 2. 각각의 사람이나 사물

각각(各各) : 1. 사람이나 물건의 하나하나 2. 사람이나 물건의 하나하나마다. ‘따로따로’로 순화

따로따로 : 한데 섞이거나 함께 있지 않고 여럿이 다 각각 떨어져서


  ‘제각기 = 저마다 각기’이거나 ‘제각기 = 저마다 따로따로’라 하는데, ‘저마다’하고 ‘각기’하고 ‘따로따로’라는 낱말을 더 찾아보면, 뜻풀이가 서로 겹치거나 되풀이되어요. 그야말로 뒤죽박죽입니다. ‘각기’를 ‘저마다·각각’을 써서 풀이하고, ‘저마다’는 ‘각각·-마다’를 써서 풀이하며, ‘각각’은 ‘따로따로’로 고쳐써야 한다고 나와요. 이러면서 ‘따로따로’는 ‘각각’으로 풀이하지요.


  이런 한국말사전을 좀 들여다본다면 누군가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여보시오, 글을 쓰려면 사전을 보라 했는데, 사전이 이렇게 엉망진창이라면, 사전을 보며 글을 쓰다가는 글이 아주 엉망진창이 되지 않겠소?’ 참말 그렇습니다. 아주 흔하거나 쉽구나 싶은 낱말을 이렇게 뒤죽박죽이거나 엉망진창으로 풀이하는 한국말사전이니, 이런 사전을 곁에 두다가는 글쓰기가 뒤죽박죽이나 엉망진창이 될 만합니다.


  그러나 이런 사전이더라도 곁에 둘 수 있어야지 싶어요. 이런 뒤죽박죽 사전을 다시 가만히 들여다보면 조금씩 실마리를 풀 수 있기도 하거든요. ‘제각기’라는 낱말은 안타깝게도 겹말 얼거리인 낱말인 줄 알 수 있고, ‘저마다’나 ‘따로따로’라는 한국말을 알맞게 쓰면 되는구나 하고 깨달을 수 있어요. ‘각기·각각’은 굳이 안 써도 될 만하다고 배울 수 있기도 해요.


  우리가 한국말로 글을 쓰려 한다면 한국말사전을 곁에 두어야 합니다. 영어로 글을 쓰려 한다면 영어사전을 곁에 둘 테지요? 일본말로 글을 쓰려 한다면 일본말사전을 곁에 둘 테고요?


  겹말풀이나 돌림풀이로 뒤죽박죽인 한국말사전인 터라, 이 대목을 눈여겨보면서 차근차근 가다듬지 못하면, 사전을 보든 안 보든 우리가 쓰는 글은 ‘겹말 굴레’에 쉬 갇힐 수 있어요. “독특한 개성”이나 “말이 없고 과묵”이나 “체중 감량”이나 “흔한 일상”이나 “제 손으로 직접” 같은 말마디는 모두 겹말입니다. 적어도 사전을 슬쩍 들추어 보았다면, 비록 사전이 엉망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겹말을 안 쓸 수 있어요. 한국말사전이 너무 엉망인 탓이 크기도 하지만, 우리 스스로 한국말사전을 너무 안 읽고 너무 못 읽기 때문에 자꾸 겹말을 쓰고 맙니다.


  글을 쓰는 길에서 ‘겹말 굴레’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우리는 한결 아름다우면서 즐겁게 글맛을 누릴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글을 더 잘 쓰는 길이나, 글을 더 멋지게 쓰는 길까지는 아니더라도, ‘겹말 굴레’가 아니라 한다면, 우리가 쓰는 글은 수수한 멋이나 투박한 아름다움을 보여줄 수 있어요.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은 우리가 한국말로 글을 수수하면서도 멋스럽게, 또 투박하면서도 아름답게 쓸 수 있도록 돕는 징검돌이 되고자 합니다. 사전을 새로 읽고 겹말을 새로 읽으며 한국말을 새로 읽을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이러면서 말에 깃드는 넋을 새로 읽고, 말로 짓는 삶을 새로 읽으며, 말로 나누는 사랑을 새로 읽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02852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누야샤 7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733



아직 드러내지 못하는 마음

― 이누야샤 7

 타카하시 루미코 글·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02.4.25. 4500원



“철쇄아는 인간을 지키는 검이라 들었습니다. 본디 당신처럼 완벽한 요괴는 다룰 수 없는 검이라고.” “훗! 네놈은, 이누야샤를 미워한다 했지? 이누야샤를 죽이기 위해, 나를 이용하겠다는 말이냐?” “예.” (14쪽)


“이누야샤, 너는 철쇄아를 쓰는 법을 전혀 모르는구나.” (29쪽)


“뭘 하는 거야, 이누야샤!” “시끄러.” “우물울 부수면 카고메가 못 돌아오게 되잖아! 이누야샤는 카고메를 다시 못 만나도 좋아?” “쳇! 그 녀석이 있으니까 마음 놓고 싸울 수가 있어야지.” (119쪽)



  마음을 드러내지 않으면 서로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마음은 말로만 드러내지 않습니다. 눈빛이나 낯빛으로도 드러내요. 몸짓이나 손짓으로도 드러내지요. 말을 하지 않더라도 마음을 드러내면 서로 한넋으로 거듭납니다. 말을 하더라도 마음을 드러내지 않으면 서로 겉돌아요.


  우리가 서로 겉으로만 바라본다면 서로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이를테면 반요괴인 이누야샤는 사람인 카고메를 데리고 다니면서 싸움을 하기 어렵다고 여길 만해요. 카고메는 하늘도 못 날고 달리기가 빠르지 않은데다가 한 번 다치면 잘 안 나아요. 주먹힘이 세다거나 뭔가 대단한 솜씨도 없는 듯합니다.


  그런데 말이지요, 이누야샤가 저 스스로도 아직 모르는 힘을 끌어낼 수 있는 바탕을 생각할 수 있다면, 카고메가 곁에 있고 없고 하는 대목이 얼마나 큰가를 제대로 알 테지요. 이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기에, 서로 마음을 제대로 드러내지 않기에, 겉도는 몸짓으로 하루하루 지내기에, ‘이렇게 해야 너를 아끼는 길’이라고 여기는 대목이 자꾸 부딪히거나 엇갈립니다.


  말도 말이기에 말을 해야 합니다만, 아무 말이나 하지 말고 마음을 환하게 드러내는 말을 제대로 가리고 살펴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두 아이는 이리 부딪히고 저리 넘어지면서 차근차근 마음을 배우는 길을 나섭니다. 2017.10.25.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