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나무 있는 집

 


  감나무 있는 집에서는 감을 먹을 수 있다. 봄에는 새로 돋는 푸르게 빛나는 잎사귀를 보고, 여름으로 넘어서기 앞서 노르스름 해맑은 꽃망울을 보며, 가을로 접어들 무렵 알차게 여무는 감알이 푸른빛에서 누런빛으로 바뀌다가는 살살 발그스름한 물이 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감알이 불그스름 물들면서 감잎도 나란히 불그스름 물든다.


  감은 톡 따서 먹어도 맛있고, 감은 물끄러미 바라보아도 즐겁다. 감나무는 줄기를 살살 쓰다듬어도 예쁘고, 감잎을 살며시 보듬어도 예쁘다. 마당에 감나무 한 그루 자라는 집이란 얼마나 즐거울까. 밭뙈기 한켠에 감나무를 보살피는 집이란 얼마나 예쁠까.


  서울사람은 왜 더 넓은 집이나 교통 더 나은 집이나 일터랑 학교하고 가까운 집만 찾으려 할까. 서울사람은 왜 감나무 한 그루 심을 흙땅 있는 보금자리를 안 찾을까. 서울사람은 왜 이녁 보금자리에 감나무이고 능금나무이고 포도나무이고 심을 생각을 못 할까.


  나무가 자라는 집이란, 숨결이 푸른 집이다. 나무가 있는 집이란, 사랑씨앗이 드리우는 집이다. 나무가 노래하는 집이란, 멧새와 풀벌레를 불러 고즈넉히 무지개잔치를 벌이는 집이다.


  나는 아주 어릴 적부터 흙마당 있는 집을 바랐다. 나는 매우 어릴 때부터 우리 집에 나무가 자랄 뿐 아니라, 씨앗 한 알로 나무를 심어 돌볼 수 있기를 바랐다. 지난 2011년 가을에 비로소 흙마당 있는 집을 얻어 언제나 나무를 누리며 살아간다. 이제 나무 있는 집 한 해를 보낸다. 서른여덟 해 삶 가운데 딱 한 해가 흙마당 살림집이다. 큰아이는 다섯 해 삶 가운데 한 해요, 작은아이는 두 해 삶 가운데 한 해이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은 나무 있는 마당 예쁜 집 살림살이를 오래오래 즐거이 누릴 수 있겠지. 인천 골목동네 마실을 하다가 ‘겨울날 빨간 열매 가득한 감나무 골목집’을 만나고는, 이렇게 예쁜 집이 살붙이들을 얼마나 예쁘게 보살피는가 하고 새삼스레 깨닫는다. 4345.12.1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들레꽃 피었네 (도서관일기 2012.12.13.)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따스한 남녘마을 고흥에서는 겨울비가 내린다. 예전에는 고흥도 마냥 따뜻하기만 하지는 않았다지만, 예전에는 다른 곳도 오늘날보다 훨씬 추웠다. 그러니까, 남녘마을 고흥은 예나 이제나 따스한 곳이다. 12월에 접어들었는데에도 피어나는 민들레 노란 봉오리를 본다. 큰아이가 곁에서 함께 바라보더니, “민들레꽃 피었네.” 하고 말한다. 그래, 민들레꽃이 고흥에서는 12월을 훌쩍 넘긴 이때에도 피는구나. 어쩌면 1월에도 꽃을 피울는지 몰라. 2월에도 꽃을 피울 수 있겠지. 12월에 일찌감치 꽃봉오리 틔운 동백나무도 곳곳에 있잖니.


  도서관 이야기책 《삶말》 5호를 내놓는다. 오늘부터 이 책을 부치려고 바지런을 떤다. 아침을 차리고 빨래를 하며 이것저것 치닥거리를 하다가, 졸린 눈 아이들을 재워 보려 하는데, 아이들이 잘 생각 없이 더 놀려고 한다. 그러면 더 놀렴. 아버지는 일을 좀 할 테니까.


  오늘은 스물넉 통을 싼다. 봉투에 주소를 쓴다. 글월 한 장 끼운다. 지난해 이맘때쯤 ‘도서관 지킴이’가 되어 준 분들한테 새해에도 도서관 지킴이가 되어 주기를 바라는 글월이다.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이 고흥에 둥지를 튼 지 한 해가 다 되는구나. 모두들 즐겁게 작은 이야기책 받아 작은 도서관 지킴이 삶을 이어 주시리라 믿는다.


  소포를 천가방에 담는다. 자전거수레를 마당에 내려놓는다. 두 아이를 태우고 우체국으로 가려 했는데, 작은아이가 어머니 등짝에 엎디어 잠든다. 큰아이만 수레에 태워 마실을 간다. 바람 한 점 없는 12월 13일 한낮이 곱다. 오늘도 깜빡 잊고 장갑 안 낀 채 자전거를 타는데, 손은 그닥 안 시리다. (ㅎㄲㅅㄱ)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더 빨리 책읽기

 


  사람들은 더 빨리 달리려고 애쓰면서 멧자락에 구멍을 낸다. 땅밑으로 길을 판다. 섬과 섬 사이에, 섬과 뭍 사이에, 자꾸자꾸 다리를 놓는다. 기계를 띄워 훌훌 날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 구멍을 파고 땅밑을 파고, 또 무엇을 하면서 ‘길을 반듯하게 펴기’는 하되, 막상 우리 삶자락인 마을과 숲을 파헤친다. 더 빨리 달리기만 하는 동안, 길을 둘러싼 마을과 숲이 어떤 모습이고 빛깔이며 내음인가를 헤아리지 않는다. 길들여진다. 톱니바퀴처럼 되고 말아, ‘내 눈’을 스스로 잃고, ‘내 귀’를 스스로 잊으며, ‘내 코’와 ‘내 마음’과 ‘내 사랑’에다가 ‘내 팔’과 ‘내 다리’까지 송두리째 내버린다.


  걷지 않고서 ‘여행’이 될까. 멈추지 않고서 마실이 될까. 노래하지 않고서 나들이가 될까. 가슴속에서 샘솟는 꿈이 피어날 푸른 숨결 없이 삶이 될까.


  점 둘을 찍고는 금을 죽 그어서 이곳에서 저곳으로 더 빨리 달리기만 하려는 몸짓은 내 보금자리와 이웃 보금자리를 깡그리 무너뜨린다. 서울과 부산은 점이 아니다. 서울과 부산 사이에는 드넓은 마을과 숲과 사람이 있다. ‘고속철도가 지나는 길’이나 ‘송전탑이 놓이는 길’이 아니라, 사람들 마을이요 숲이다.


  더 빨리 읽어서 무엇하는가. 더 많이 읽어서 무엇하는가. 더 많이 가져서 무엇하는가. 삶을 읽으려는 책이고, 사랑을 나누려는 삶이며, 꿈을 이루려는 사람이 아닌가. 4345.12.14.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어사전을 산다

 


  국어사전을 산다. 늘 곁에 두고 읽는다. 국어사전은 벌써 수백 질 갖추었다. 천 가지 남짓 온갖 갈래사전을 나란히 두기도 한다. 한국말을 다루는 여러 가지 자료를 함께 놓기도 한다. 한겨레이기에 누구나 한국말을 쓰며 살아간다지만, 막상 한겨레 스스로 한국말을 알뜰살뜰 갈무리하면서 찬찬히 돌아본 지는 아직 백 해가 채 안 된다. 유럽 나라들은 일찍부터 저희 겨레 말글을 찬찬히 살피거나 다루면서 저마다 온갖 사전을 빚는데, 우리 나라는 아직까지도 우리 말글을 찬찬히 살피지 않을 뿐더러 슬기롭게 다루지도 못한다. 나라를 다스린다는 우두머리와 나라일을 이끈다는 지식인이나 권력자 또한 우리 말글을 곰곰이 헤아리거나 알차게 가다듬지 않는다. 지난날에는 한문을 내세워 권력을 누렸고, 오늘날에는 영어를 앞장세워 권력을 잇는다.


  그러고 보면, 권력만 따지기 때문에 한겨레는 스스로 한국말을 안 아끼거나 안 사랑하거나 안 돌볼는지 모른다. 권력을 따지지 않는다면, 이웃끼리 서로 돕거나 아끼며 살아간다면, 동무와 살붙이를 내 몸처럼 돌보며 지낸다면, 한겨레가 북돋우는 한국말은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울 수 있겠지.


  국어사전을 산다. 한글학회에서 엮은 국어사전을 1947년 것부터 1957년 것과 1960∼70년대 것, 1980년대 것, 1990년대 것, …… 이것저것 다 다르게 갖출 뿐 아니라, 여러 국어학자가 저마다 엮은 국어사전에다가, 국립국어원이 1999년에 엮은 국어사전까지 갖춘다. 두툼한 국어사전 한 질을 갖추자면 20∼30만 원쯤 들곤 한다. 적잖은 돈이 들지만, 애써 품과 돈을 팔아 국어사전을 산다. 셈틀을 켜서 인터넷으로 살펴도 되지만, 굳이 국어사전을 산다. 국립국어원 국어사전에는 잘못된 풀이와 올바르지 못한 올림말이 퍽 많다지만, 나 스스로 내 말을 한결 살찌우고 싶다. 아이들과 함께 글을 한껏 북돋우고 싶다. 국어사전을 산다. 말을 살리는 곳간인 국어사전이요, 말을 새롭게 길어올리는 우물과 같은 국어사전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내 머리와 가슴과 눈과 손 모두 살가운 말빛이 되기를 꿈꾼다. ‘걸어다니는 국어사전’이 되는 일도 나쁘지는 않으리라 본다. 그렇지만, 내가 바라기로는 ‘걸어다니는 국어사전’보다는 ‘푸르게 빛나고 환하게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서 싱그러이 말하고 곱게 글을 쓸 줄 아는 길이 즐겁다. 늘 쓰는 말로 가장 즐거운 하루를 빚고 싶다. 아이들과 언제나 주고받는 말로 가장 재미난 삶을 일구고 싶다. 4345.12.12.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억새 풀씨 반기는 책읽기

 


  억새 풀씨 팔랑팔랑 나부낀다. 이틀에 걸친 인천마실을 마치고 고흥집으로 돌아오는 시골길에 억새 풀씨가 나를 반긴다. 너희 참으로 곱구나. 너희 참으로 가볍구나. 너희 참으로 환하구나. 다른 곳은 온통 눈밭 되어 새하얀데 우리 고흥은 너희를 비롯한 풀과 나무가 푸르거나 누렇게 빛나면서 숲을 이루는구나. 따스한 고흥은 따스한 사랑 되어 따스한 사람들 가슴에 따스한 이야기로 아로새겨질까. 나도 너희 손길을 받아들여 따스한 말로 따스한 아이들이랑 따스한 보금자리를 일구는 따스한 살림을 아껴야겠다.


  아이들 조잘조잘 노래하며 아버지를 반기는 집으로 들어간다. 아이들을 하나하나 안고 부대끼며 놀면서 밥을 먹인다. 빨래를 걷어서 갠다. 큰아이가 옷가지를 날라 준다. 나는 옷가지를 옷장에 차곡차곡 놓는다. 아이들은 졸린 눈이지만 더 뛰고 더 놀며 더 왁자지껄 웃으려 한다. 그래, 마음껏 더 놀아라. 신나게 놀며 하루를 누려라. 그러다 코코 곯아떨어지면서 새날을 또 맞이해야지. 4345.12.12.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