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여름꺾이 2025.7.7.달.
언제나 누구나 ‘사람’이지. 그러나 사람이 사람이지 않기를 바라는 무리가 있어. 이들은 사람들이 스스로 ‘사람 아닌 것’으로 뒹굴기를 바라. 사람은 누구나 스스로 하루를 그려서 짓고 나누고 누리고 펴며 노래하게 마련인데, 이들 무리가 시키는 대로 따라가기를 바란단다. 그렇다고 힘으로 억지로 함부로 길들이거나 끌어들이지 않아. 달콤한 물과 떡과 고물과 돈을 베푼단다. 이들 무리가 시키는 대로 따르면 언제까지나 달콤물과 달콤떡과 달콤고물과 달콤돈을 누릴 수 있다고 홀리려고 해. 그리고 꽤 많구나 싶은 사람들이 달콤말에 사로잡히고 끌린단다. 사람이 그저 사람이라면 철이 들고 철을 알고 철을 배우고 가르쳐. 철들고 철아는 사람이기에 철눈을 읽고서 철맞이를 해. 겨울이 꺾이는 때를 알고, 여름이 꺾이는 때를 알아. 겨울로 가는 길목을 알고, 여름으로 가는 길턱을 알지. 사람이라는 몸은 입되 사람이라는 마음을 잊을 적에는 그만 사납게 뒹굴어. 사람은 살림하는 몸마음이기에, 살림눈을 틔우면 철눈이 깨어나. 살림하는 몸마음을 잊은 사람은, 살림눈을 못 틔우기에 철눈도 안 깨어나. 너는 누구이니? 너는 무엇을 하니? 너는 어디에 있니? 여름에 여름길을 읽는 몸마음인지 아닌지 살펴보렴. 겨울에 겨울길을 읽고 나누는 몸마음인지 아닌지 헤아리렴. 모든 사람은 발바닥을 땅바닥에 대면서 걷기에 사람이야. 모든 사람은 등바닥을 땅바닥에 눕혀서 잠들기에 사람이야. 모든 사람은 손바닥을 하늘에 대고서 바람을 맞이하기에 사람이야. 네가 눈뜨는 씨앗처럼 눈뜨는 사람이기를 바라. 네가 철들어 깨어나는 나무처럼 반짝이는 사람이기를 바라. 땀흘리는 여름에 땀내음으로 빛나는 사람이지. 꽁꽁 얼어붙는 겨울에 오들오들 떨다가도 서로 안고 품으면서 아늑한 사람이란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