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아기낳이 2025.6.27.쇠.



아기를 낳는 어머니는, 아기를 품고서 열 달을 지내다가 몸밖으로 내놓고서 몸풀이를 할 적에 새빛으로 다시 태어나는 살림을 누려. 아기를 받는 아버지는, 아기를 풀다가 푸는 짝꿍인 어머니하고 보금자리를 이루면서 온살림을 맡는 동안, 몸쓰는 일이란 무엇인지 처음부터 새롭게 배우면서 사랑을 누려. 순이(여성)라는 몸을 입은 사람은 이미 마음이며 몸이 넉넉한데, 스스로 넉넉한 마음몸을 돌보는 빛줄기를 오롯이 누리고 펴면서 깨닫지. 마음과 몸을 잇고 이루는 빛고리를 알아본단다. 돌이(남성)라는 몸을 입은 사람은 이미 몸이며 마음이 튼튼한데, 스스로 튼튼한 몸마음을 보살피는 빛살을 옹글게 짓고 빚으면서 깨닫지. 몸과 마음을 일으켜 일하는 빛그림을 알아차린단다. 순이돌이인 두 어버이는 아기를 맞이할 적에 두빛을 한빛으로 담으면서, 두 사람하고 다르지만 온하나를 이루는 숨결을 그렸어. 아기는 두 사람이 사랑으로 새롭게 이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실 한 오라기를 놓듯 이 땅에 와. 어머니는 몸으로 품다가 낳으면서 뼈·피·살을 모두 갈아입듯 튼튼하게 나아가도록 북돋아. 아버지는 몸으로 집을 가꾸고 일구며 살림하는 동안, 생각·꿈·뜻을 모두 갈아엎듯 아름답게 살아가도록 북돋아. 새몸이란 새빛이고 새길이야. 새마음이란 새살림이고 새놀이야. 아기낳이를 안 하더라도 ‘사람’으로서 이 별에서 무엇을 하고 배우고 펴고 나누는지 잘 배우고 익힐 만해. 아기낳이라는 새길을 나서면서 ‘사람’이 스스로 바람과 바다를 한빛으로 어우르면서 두근두근 기쁘게 살리는 씨앗을 누구나 가르치고 들려줄 만해. 넌 배우고 익히면서 훌륭할 수 있고, 넌 가르치고 들려주면서 아름다울 수 있지. 훌륭하면서 아름답게 이 별을 노래할 수도 있어. 아기낳이나 아이돌봄이라는 ‘책’은 종이로 못 담을 만큼 크고 넓고 깊단다. 책으로 치자면 ‘100억 권’으로도 못 담는 이야기꽃과 이야기씨앗이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