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8.17. 이세 히데코 옆에
깃새지기(상주작가)를 맡는 책집한테 이름을 새긴 나무판을 하나씩 주는 듯싶다. 그런데 둘을 새겨서 책집과 글꾼한테 주면 한결 나을 텐데. 플라스틱이 아닌 나무에 이름을 새긴 판이라서 나도 하나 누리고 싶다. 나무판을 쓰다듬으니 나무내음이 싱그럽다.
모든 책은 숲에서 온다. 먼저 “책에 담는 이야기”부터 들숲메바다에 해바람비에 풀꽃나무가 있어야 밥옷집이란 살림을 지으니, 모든 이야기는 이런 “살림이야기를 그리는 오늘 이곳”에서 태어난다. 종이는 늘 나무가 베푸는 몸이기에, 우리가 책을 손에 쥘 적에는 “나무를 품은 나무”를 품는 셈이다.
내가 쓰고 지은 책을 이세 히데코 그림책 옆에 놓는다. 얼결에 나란히 있다. 지난날에는 이세 히데코를 비롯한 뭇책을 그저 읽기만 하던 책벌레였는데, 어느새 책나비(책쓰는이)로 거듭났구나. 쑥스러우면서 고맙다.
인천과 부산은 닮기에 다르고, 전라도랑 경상도는 다르기에 닮는다. 둘이 나란히 걷는 길에 작은씨앗으로 서는 오늘을 누린다. 늦여름볕이 따뜻하다. 이제 그야말로 가을 어귀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