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 보는 넙치 한겨레 동시나무 6
강기원 지음, 손지희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사랑하는 시 94


눈이 아니어도 마음으로 느껴 본다
― 눈치 보는 넙치
 강기원 글·손지희 그림
 한겨레아이들, 2018.4.24.


허걱!
눈이 넙치처럼 한쪽으로 몰려 버렸어
엄마 몰래 게임하고 싶어
매일매일
슬금슬금
눈치 보다
넙치가 돼 버렸나 봐 (36쪽/눈치 보는 넙치)


  도시에서는 풀 꽃 나무 세 가지를 눈여겨볼 일이 드뭅니다. 길이나 골목이나 마을에서 풀 꽃 나무가 느긋하게 자랄 틈이 드물거든요. 풀 꽃 나무를 여느 때에 마주하지 못하다 보면 저절로 풀 꽃 나무가 어떤 이름이요 어떤 한살이인가를 모르기 마련입니다.
  시골에서는 풀 꽃 나무 세 가지를 늘 눈여겨봅니다. 이뿐 아니라 풀 꽃 나무에 깃드는 갖은 풀벌레하고 새를 마주해요. 풀 꽃 나무에 깃드는 햇볕이며 바람이며 비를 으레 만나고요.

  동시집 《눈치 보는 넙치》(강기원·손지희, 한겨레아이들, 2018)는 도시에 사는 아이들한테 풀 꽃 나무를, 또 풀 꽃 나무를 둘러싼 온갖 목숨을, 하늘 바다 땅을 더 넓고 깊게 바라보기를 바라는 마음이 잔잔하게 흐릅니다. 때로는 개구쟁이처럼 장난스러운 말로 흐르고, 때로는 상냥한 손길처럼 곱게 흘러요.


숲속엔 듣는 귀들이 많아
말조심해야 해
노루귀, 범위귀, 까마귀, 사마귀, 개똥지빠귀 ……
모두들
귀 쫑긋 세우고 다 듣는다니까 (56쪽/숲의 귀)


  낮말은 새가 듣는다고 하는데, 새뿐 아니라 노루귀도 듣고 까마귀도 듣는다는군요. 사마귀도 지빠귀도 듣는다면, 어쩌면 귀리도 낮말을 들을는지 몰라요.

  더 헤아리면 노루귀나 귀리뿐 아니라, 여느 들풀하고 남새도 우리가 조잘조잘 하는 말을 들을는지 모릅니다. 풀벌레도, 개구리도, 나무도 우리가 저희 곁에서 도란도란 나누는 말을 들을 수 있을 테고요.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사람들이 어떤 생각으로 살아가는지, 서로 사이좋게 어울리는지 다투는지를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서 듣는데, 우리가 이를 못 알아챌 수 있어요.


칠백 년 자다 깬
씨앗이 있어
칠백 년 기다려 준
연못도 있지 (66쪽/아라홍련)


  동시집 《눈치 보는 넙치》를 쓴 강기원 님은 어린이하고 동무하면서 어울리고 싶은 풀 꽃 나무가 어떤 마음인지를 그리려 합니다. 사람하고 사이좋게 노래하고 싶은 벌레 짐승 새가 어떤 생각인지를 그리려 해요.

  이 땅에 사람만 있지 않다고, 이 지구에서 사람만 말을 하지 않는다고, 이 별에서 사람만 생각을 하거나 마음을 나누지 않는다고 하는 이야기를 동시로 살며시 들려주려 합니다.


눈이 안 보이는 사람은
손으로 (만져) 보고
귀로 (들어) 보고
혀로 (맛) 보고
코로 (맡아) 보고
팔로 (안아) 보고
다리로 (걸어) 본다
머리로 (생각해) 보고
마음으로 (느껴) 본다 (75쪽/본다)


  눈이 안 보이는 사람도 얼마든지 ‘본다’고 해요. 아마 풀도 이와 같을 테지요? 사람하고 똑같이 생긴 눈이 없어도 다른 길로 우리를 지켜볼 수 있어요. 꽃한테 사람하고 똑깉이 생긴 귀가 없어도 다른 길로 우리를 귀여겨들을 수 있어요. 나무한테 사람하고 똑같이 생긴 팔다리가 없어도 다른 길로 우리하고 나들이를 다닐 수 있어요.

  만져서 보고, 맡아서 보고, 걸어서 보고, 느껴서 봅니다. 꿈꾸면서 보고, 사랑하면서 보고, 노래하면서 봅니다. 함께 보고 새롭게 봐요. 어제도 오늘도 보면서 모레도 글피도 신나게 웃음을 지으면서 봅니다. 2018.5.27.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동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벌레의 하극상 제1부 책이 없으면 만들면 돼! 1
카즈키 미야 원작, 시이나 유우 외 그림, 강동욱 옮김 / 대원씨아이(만화)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만화책시렁 19


《책벌레의 하극상》 1부 책이 없으면 만들면 돼! 1

 카즈키 미야 글

 스즈카 그림

 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8.2.28.



  책에 깔려서 죽은 아가씨가 있다고 합니다. 책을 매우 좋아하는 나머지 책에 잔뜩 둘러싸인 집에서 살다가 그만 책이 와르르 무너졌고, 이 책더미에 깔려서, 말하자면 아주 드문 죽음을 맞이한 아가씨가 있다고 해요. 이 아가씨는 삶에서 죽음으로 넘어가는 그때에 다시 태어나도 책을 많이 읽을 수 있기를 바랐다는데, 다시 태어난 곳은 일본이 아니라고 해요. 어디인지 알 수 없는 나라에서 매우 가난한 집안에서 다시 태어났고, 그 나라에서는 책이란 어마어마하게 비싸고, 책으로 묶는 종이도 대단히 비싸다지요. 《책벌레의 하극상》은 소설로 먼저 나온 뒤에 그림이라는 옷을 새로 입었다고 합니다. 아무튼 책벌레 아가씨는 책더미에 깔려죽고 나서 넋을 다시 차릴 무렵 다섯 살 어린이 몸을, 더구나 매우 여린 몸을 받아서 태어났대요. 그런데 마음만은 옛날 책벌레 아가씨 그대로라고 해요. 예전 생각을 더듬어 어떻게든 ‘책이 있는 데’를 알아내려 하고, 마지막에는 ‘손수 종이를 빚자’고 꿈을 키워요. 책을 읽고 싶기에 손수 책을 지어야 하는데, 종이부터, 또 나중에는 연필이나 펜도 손수 지어내야 하겠지요. 가시밭길이지만 신나는 배움길입니다. ㅅㄴㄹ



‘책은 너무 비싸서 살 수 없다. 종이도 너무 비싸서 살 수 없다. 그럼 어떻게 하지? 종이부터 내가 직접 만들면 되잖아!’ (120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이 샘솟는다
타니카와 후미코 지음, 도노랑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18


《사랑이 샘솟는다》

 타니카와 후미코

 도노랑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6.8.25.



  곁에 있기에 사랑이지 싶습니다. 살갗이 닿는 곁에 있을 뿐 아니라 마음이 함께 흐르는 곁에 있기에 사랑이지 싶어요. 머나먼 나라에 떨어져서 지내도 마음으로는 곁에 있습니다. 이승하고 저승으로 갈라서도 마음으로는 곁에 있어요. 참말 그렇지요. 며칠 떨어졌대서, 천 킬로미터쯤 떨어졌대서 이승저승으로 떨어졌대서 서로 따스한 숨결을 느끼지 못한다면 사랑이 아니지 싶어요. 사랑은 모든 것을 가로질러요. 사랑은 모두 품어요. 《사랑이 샘솟는다》는 여러 사람이 여러모로 얽히면서 저마다 다르지만 저마다 똑같이 피어나는 사랑이 어디에 있는가를 하나하나 짚습니다. 새롭게 살아갈 기운을 북돋아 주고, 멀리 떠나야 하더라도 마음을 남길 뿐 아니라, 어제까지하고는 다르게 씩씩한 삶으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사랑을 이야기합니다. 손을 뻗으면 닿을 듯하지만 막상 안 닿습니다. 손을 가만히 내리고 눈을 감으니 어느새 숨소리를 느낍니다. 우리 사랑은 나를 꾸밈없이 받아들입니다. 우리 사랑은 내가 꾸밈없이 맞아들입니다. 새털처럼 부드럽습니다. 바람결처럼 싱그럽습니다. 꽃씨처럼 가붓하면서, 햇살처럼 눈부십니다. ㅅㄴㄹ



“그냥 사귄다면 잘생긴 사람이라든가 부자라든가 자랑할 수 있는 사람이 좋겠지만, 평생 함께 같이하고 싶은 사람은 어떤 나라도 다 받아줄 수 있는 믿음이 가는 사람일까.” (60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펜탈+샌달 2
강경옥 지음 / 시공사(만화)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만화책시렁 17


《펜탈+샌달 2》

 강경옥

 나나

 1994.7.5.



  우리 얼굴은 우리가 바라보는 사람에 따라 달라져요. 설마 하고 놀라신다면 ‘참말 그렇지 않나요?’ 하고 스스로 묻고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반가운 사람을 만날 적에 어떤 얼굴이 될까요? 못마땅한 사람을 만날 적에는 어떤 얼굴이 되나요? 즐거운 일을 할 적하고 귀찮거나 성가시거나 싫은 일을 할 적에는 어떤 얼굴이 되지요?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날 뿐 아니라, 생각이나 느낌도 바로바로 나타나는 얼굴입니다. 《펜탈+샌달》은 두 걸음에 이르면 한결 자란 모습이 흐릅니다. ‘내가 좋아하는 모습으로 바뀌는 사람’이 하나 있고, ‘내가 싫어하는 모습으로 바뀌는 사람’이 하나 있대요. 우리는 이때에 어느 쪽을 마음에 들어 할 만할까요? 그리고 내가 싫어한다는 모습으로 바뀐다는 사람 앞에서는 어떤 얼굴이나 마음이나 생각이 될까요? 좋든 싫든 우리 모습이라면, 또 좋거나 싫거나 숨길 수 없는 우리 모습이라면, 우리는 두 모습에서 우리 참삶을 깨달을 만합니다. 바보스러움을 짚어 주는 이 곁에서 스스로 고치거나 거듭날 길을 찾을 수 있고, 엉성한 구석을 톡톡 건드리는 이 곁에서 싱긋 웃으면서 함께 손을 잡을 수 있습니다. ㅅㄴㄹ



“널 아니까 그런 거지. 무식하게 먹어댈 걸 아니까.” “그 말은 더 기쁜데. 자신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있다는 건 좋은 일이잖아.” “너 왜 이래? 내가 아는 건 너의 싫은 부분들이야.” “싫은 부분도 나 자신인걸. 가끔 그걸 일깨워 주는 사람이 있는 것도 좋은 거 같아. 그러면 고쳐나갈 수도 있잖아.” (51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펜탈+샌달 1
강경옥 지음 / 시공사(만화)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만화책시렁 16


《펜탈+샌달 1》

 강경옥

 나나

 1993.4.20.



  얼마나 많은 이들이 우주배를 보거나 느낄까요? 누구는 우주배란 거짓이라 여길 수 있습니다. 본 적이 없다든지 보았어도 믿지 않는다면 거짓으로 여길 수밖에 없어요. 그런데 밤하늘을 늘 바라본다거나 오래 지켜보는 사람은 반짝이면서 꼬불꼬불 내키는 대로 날아다니는 뭔가를 곧잘 봅니다. 저는 인천이나 서울 같은 곳에서는 이 불빛을 느끼지 못했으나, 시골에서 살며 날이면 날마다 밤하늘에서 이 ‘맘대로 불빛이 여기저기 날아다니는 모습’을 봅니다. 한국에서는 ‘유에프오’ 아닌 ‘우주배’가 무엇인지 알 길이 없다시피 하지만, 미국에서는 나라에서 이 우주배를 깊이 살핀다고 해요. 한국문학이나 한국영화는 우주배를 거의 못 다루지만, 한국만화는, 이 가운데 ‘순정만화’는 이 우주배를 아기자기하게 다루곤 해요. 재미있지요. 《펜탈+샌달》을 읽으면 ‘밤하늘 우주배를 기다리던 아가씨’하고 ‘이 아가씨를 말괄량이로만 여기는 여느 사람들’하고 툭탁거리다가 불쑥 우주배를 타고 펜탈별로 나들이를 가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지구로 구경을 온다는 다른 별 사람들은 이 지구별을 멀거니 지켜보면서 무엇을 생각하려나요? ㅅㄴㄹ



“가끔 지구에 나타난다는 U.F.O.가 바로 우리 행성에서 날아온 거야. 지구 구경 겸 관광단이 가는 건데 눈에 띄면 안 되는데도 어쩔 수 없이 눈에 띄는 경우가 있어서 그래. 원래 지구인을 납치하는 것도 불법인데, 할 수 없이 이런 일을 하게 된 거야.” (19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