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좀 생각합시다 20
한자말은 매우 적다
흔히 사전에 오른 낱말 숫자를 어림하면서 ‘한국말 가운데 텃말은 매우 적고, 한자말이 거의 모두를 차지한다’고 잘못 이야기합니다. 이 이야기를 잘못이라고 밝힐 수 있습니다. 아주 쉬워요. 왜냐하면 한국말사전을 엮은 이들이 한국 텃말은 일부러 제대로 안 담으면서 정치권력·사회권력·문화권력을 거머쥐었던 지난날 양반이나 임금이나 사대부가 쓰던 중국 한문은 거의 빠짐없이 담으려 했거든요. 이러면서 일제강점기에 스며든 일본 한자말도 잔뜩 담으려 했어요. 일본에서 흔히 쓰던 영어까지 사전에 꽤 많이 담았고요. 국립국어원에서 낸 사전을 보면 중국 땅이름이나 미국·유럽 학자이름에 책이름까지 꽤 많이 담습니다.
한국말사전에 정작 충청말·경기말·강원말·전라말·경상말·제주말을 제대로 안 담습니다. 예부터 고장마다 서로 다르게 쓰던 말을 조금 담기는 했으나 웬만한 말은 거의 안 담았습니다. 북녘말은 그야말로 몇 줌만 담았습니다. 이를테면, ‘길미’ 한 마디를 놓고 “이자(利子)·이문(利文)·이식(利息)·이전(利錢)·이조(利條)·변리(邊利)·변(邊)·이(利)·이금(利金)”처럼 갖은 한자말을 줄줄이 달아 놓습니다. ‘아이낳기’는 사전에 없으나 “해산(解産)·면신(免身)·분만(分娩)·분산(分産)·출산·해만·해복”을 잔뜩 싣습니다. ‘글월’을 놓고는 “편지(便紙/片紙)·간독·간찰(簡札)·서간(書簡)·서독(書牘)·서소(書疏)·서신(書信)·서장(書狀)·서찰(書札)·서척(書尺)·서한(書翰)·서함(書函)·성문(聲問)·신(信)·신서(信書)·이소(鯉素)·찰한(札翰)·척한·편저(片楮)” 따위를 한가득 실어요.
중국 한문이 나쁘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그런데 중국 한문을 섬기며 이를 글로 써서 책으로 남겼대서, 이를 오늘날 한국말사전에 그대로 실어야 할까요? 이와 달리 이 땅에서 삶을 짓던 사람들이 고장마다 다르면서 새롭게 쓰던 말은 안 실어도 될까요? 사전에 실린 한자말 가운데 오늘 우리가 쓸 일 없는 낱말은 99%쯤 됩니다. 고작 1%쯤 쓸 만한 한자말이에요. 한국말사전을 제대로 털어야 합니다. 2018.3.7.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