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고찰 考察
한국 문학에 대한 새로운 고찰 → 한국 문학을 새롭게 살피기
문화에 대한 고찰 없이 → 문화를 살피지 않고
독특한 방식으로 고찰된다 → 남다르게 짚는다
중세 국어를 고찰하다 → 중세 국어를 살피다
고대 소설을 고찰해 보면 → 옛 소설을 헤아려 보면
‘고찰(考察)’은 “어떤 것을 깊이 생각하고 연구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연구(硏究)’는 “어떤 일이나 사물에 대하여서 깊이 있게 조사하고 생각하여 진리를 따져 보는 일”이라 하며, ‘조사(調査)’는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봄”이라 합니다. ‘고찰’은 ‘연구’로, ‘연구’는 ‘조사’로 이어지는데, 이동안 여러모로 짚으면 ‘생각하다’나 ‘살펴보다’나 ‘따지다’나 ‘찾아보다’로 손볼 만하구나 싶어요. 때로는 ‘살피다’나 ‘짚다’나 ‘알아보다’나 ‘헤아리다’로 손볼 만할 테고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세 가지 한자말 ‘고찰’이 더 나오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옛날 절은 ‘옛절’이라 하면 넉넉합니다. 2017.12.10.해.ㅅㄴㄹ
고찰(古刹) : 역사가 오래된 옛 절
고찰(高札) : 1. 입찰액 가운데서 가장 높은 가격 2. = 귀함(貴函) 3. 예전에, 널리 알리는 글을 써서 붙이던 널빤지
고찰(高察) : 남의 고찰(考察)을 높여 이르는 말
지금까지 고찰한 것처럼
→ 이제까지 살핀 대로
→ 이제까지 살폈듯이
→ 여태 헤아린 대로
→ 여태 헤아렸듯이
《소리의 재발견》(토리고에 게이코/한명호 옮김, 그물코, 2015) 137쪽
졸저의 서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이 책 이야기를 바탕으로 살피고자 한다
→ 내가 쓴 책을 따라서 헤아리고자 한다
→ 이 책에 흐르는 줄거리를 따라 짚고자 한다
→ 이 책 흐름을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한글의 발명》(정광, 김영사, 2015) 91쪽
로마의 위치를 차지하고자 했던 제국들을 고찰할 것이다
→ 로마 자리를 차지하고자 했던 제국들을 살피려 한다
→ 로마 자리를 차지하고자 했던 제국들을 다루려 한다
→ 로마 자리를 차지하고자 했던 제국둘을 돌아보려 한다
《세계제국사》(제인 버뱅크·프레더릭 쿠퍼/이재만 옮김, 책과함께, 2016) 18쪽
주된 고찰을 계속하기에 앞서
→ 큰 것을 다루기 앞서
→ 큰 얘기를 잇기 앞서
→ 깊이 파고들기 앞서
→ 깊이 생각해 보기 앞서
《먼지 보고서》(옌스 죈트겐·크누트 푈스케 엮음/강정민 옮김, 자연과생태, 2016) 71쪽
달러가 어떤 화폐인지 고찰하여 보자
→ 달러가 어떤 돈인지 헤아려 보자
→ 달러가 어떤 돈인지 생각해 보자
→ 달러가 어떤 돈인지 살펴보자
→ 달러가 어떤 돈인지 짚어 보자
《촛불철학》(황광우, 풀빛, 2017) 10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