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음악적
음악적 효과 → 음악 효과 / 노래 효과
음악적 재능 → 음악 재능 / 노래하는 재주
음악적 감흥이 있다 → 노래라는 즐거움이 있다 / 노래다운 즐거움이 있다
음악적인 요소 → 음악 요소 / 노래 요소
음악적인 색깔이 없다 → 노래빛이 없다 / 노래에 빛깔이 없다
음악적으로 훨씬 성숙한 → 노래가 훨씬 무르익은
음악적 영감에 도움이 된다 → 노래를 짓는 데에 도움이 된다 / 노래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음악적(音樂的)’은 “음악과 같거나 음악과 관계 있는”을 가리킨다고 해요. 한자말로는 ‘음악’이고 한국말로는 ‘노래’인데, 학교나 사회 모두 ‘음악·노래’를 다르게 가르곤 합니다. 이러면서 ‘음악 + 적’ 같은 말씨가 퍼져요. 한자말 ‘음악’을 쓰더라도 ‘-적’ 없이 쓰면 됩니다. “음악 효과”, “음악 재능”, “음악 감흥”, “음악 요소”, “음악 색깔”, “음악 영감”처럼 쓰면 되지요. ‘노래’라는 낱말로 손볼 적에는 새로운 느낌을 담아서 ‘노래빛’, ‘노래솜씨(노래재주)’, ‘노래바탕’, ‘노래살림’ 같은 낱말을 하나하나 지어 볼 수 있습니다. 2017.10.4.물.ㅅㄴㄹ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에 음악적인 희열을 갖다주던 것이
→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에 노래 같은 기쁨을 베풀더니
→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에 노래처럼 기쁨을 베풀더니
→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에 기쁜 가락으로 들리더니
→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에 기쁜 가락을 베풀어 주더니
→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에 좋은 노래를 들려주더니
→ 고운 서울 말씨로 댕갈댕갈 지껄여서 내 귀를 즐겁게 해 주더니
《김학철작품집》(김학철, 연변인민출판사, 1987) 307쪽
유전적으로 음악적 재능이 물려진다고
→ 유전으로 음악 재능을 물려받는다고
→ 어버이한테서 노래하는 재주를 물려받는다고
→ 어버이한테서 노래라는 재주를 물려받는다고
《아기는 뱃속의 일을 기억하고 있다》(이케가와 아키라/김경옥 옮김, 샨티, 2003) 66쪽
전 음악적 재능이 없어요
→ 전 음악에 재능이 없어요
→ 전 노래에 재주가 없어요
→ 전 노래 재주가 없어요
→ 전 노래할 줄 몰라요
→ 전 노래를 잘 못해요
→ 전 노래를 아주 못해요
《함메르페스트로 가는 길》(마르야레나 렘브케/김영진 옮김, 시공사, 2006) 87쪽
역시 대단해. 음악적 배경이 아주 깊다는 게 느껴져
→ 참으로 대단해. 음악을 해 온 배경이 아주 깊다고 느껴
→ 참말 대단해. 그동안 해 온 노래가 아주 깊다고 느껴
→ 참 대단해. 노래하는 바탕이 아주 깊다고 느껴
→ 생각대로 대단해. 노래를 이룬 바탕이 아주 깊다고 느껴
《노다메 칸타빌레 18》(니노미야 토모코/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07) 63쪽
부드러우면서도 음악적인 것이, 마치 말 하나하나가 벨벳 천 위에 데굴데굴 굴러가는 느낌
→ 부드러우면서도 노래 같아, 마치 말 하나하나가 비단을 데굴데굴 굴러가는 느낌
→ 부드러우면서도 고우니, 마치 말 하나하나가 비단을 데굴데굴 굴러가는 느낌
→ 부드러우면서도 아름다워, 마치 말 하나하나가 비단을 데굴데굴 굴러가는 느낌
《티모시의 유산》(시오도어 테일러/박중서 옮김, 뜨인돌, 2007) 39쪽
이탈리아의 음악적 유산은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
→ 이탈리아에서 음악 유산은 아주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
→ 이탈리아에서 노래라는 살림은 아주 옛날부터 이어져 왔다
《세계를 읽다, 이탈리아》(레이먼드 플라워·알레산드로 팔라시/임영신 옮김, 가지, 2015) 21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