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표 한자말 378 : 복수複數



복수(複數) : 1. 둘 이상의 수 2. [수학] 두 자리 이상의 수 ≒ 겹자리 3. [언어]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언어 형식. 명사·대명사 및 그것을 받는 동사·형용사 따위에 반영되는데, 국어에서는 명사·대명사에 ‘들’이 붙어 복수를 만든다 ≒ 거듭셈·겹셈


그러한 정권들한테는 복수(複數)는

→ 그러한 정권한테는 여럿이 있으면

→ 그러한 정권한테는 여러 목소리는

→ 그러한 정권한테는 크고작은 목소리는



  둘이 넘는 수를 가리키는 한국말로 ‘여러·여럿’이 있습니다. ‘여러·여럿’을 쓰면 무척 쉽겠지요. ‘복수’라는 한자말을 쓰려니 뜻은 다르되 소리가 같은 낱말하고 헷갈릴까 싶어 ‘복수(複數)’처럼 쓰고 마는데, 이렇게 쓰면 더욱 아리송합니다. 보기글에서는 “여러 목소리”나 “여러 단체”나 “여러 지도자”로 손볼 만합니다. 또는 “크고작은 목소리”나 “크고작은 단체”로 손볼 수 있어요. 2017.8.24.나무.ㅅㄴㄹ



그러한 정권들한테는 복수(複數)는 붕괴의 서막이고 중앙 통제의 약화니까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 그러한 정권한테는 여럿이 있으면 무너질 빌미이고 중앙 통제가 안 되니까 받아들일 수 없다

→ 그러한 정권한테는 여러 목소리는 무너질 빌미이고 중앙에서 다스리기 어려우니까 받아들일 수 없다

《월레 소잉카/왕은철 옮김-오브 아프리카》(삼천리,2017) 4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