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감지 感知


 온도 변화를 감지하다 → 온도가 달라진 줄 느끼다

 본능적으로 위험을 감지하였다 → 문득 위험을 알아챘다

 적에게 감지된 것 같으니 → 적한테 들킨 듯하니

 단단한 물체가 손에 감지되었다 → 단단한 것이 손에 잡혔다


  ‘감지(感知)’는 “느끼어 앎”을 가리킨다고 해요. 말뜻을 헤아려 ‘느끼다’나 ‘알다’로 손볼 만하고, ‘알아채다’나 ‘알아차리다’로 손볼 만하지요. 때로는 ‘들키다·들통나다’나 ‘잡히다·닿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세 가지 한자말 ‘감지’가 나오는데, 이 한자말은 모두 털어내야지 싶어요. 2017.6.17.흙.ㅅㄴㄹ



감지(甘旨) : 1. = 단맛 2. 맛이 좋은 음식

감지(坎止) : 일이 처리하기 어려워서 도중에 그만둠

감지(紺紙) : 검은빛이 도는 짙은 남색으로 물들인 종이



그들은 금세 위선을 감지할 수 있다

→ 그들은 곧 거짓을 느낄 수 있다

→ 그들은 바로 거짓을 알 수 있다

→ 그들은 곧장 거짓을 알아챌 수 있다

《프레드 G.고스만/노혜숙 옮김-아이를 단순하게 키워라》(현암사,1997) 71쪽


왼쪽 발목이 어디에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면

→ 왼쪽 발목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면

→ 왼쪽 발목이 어디에 있는지 느낄 수 있다면

→ 왼쪽 발목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챌 수 있다면

《조 디스펜자/추미란 옮김-당신이 플라시보다》(샨티,2016) 403쪽


내 표정에서 불길한 기운을 감지한 아들

→ 내 얼굴에서 안 좋은 기운을 느낀 아들

→ 내 낯빛에서 나쁜 기운을 읽은 아들

《은유-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서해문집,2016) 14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