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065) -의 : 흰 피부의 아이들
이 년 전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하며 내 앞에서 낄낄대던 흰 피부의 아이들이 진웅이 얼굴에, 세호 목소리에
《박채란-까매서 안 더워?》(파란자전거,2007) 37쪽
흰 피부의 아이들이
→ 하얀 살결 아이들이
→ 흰 얼굴 아이들이
→ 살갗 흰 아이들이
→ 살갗 하얀 아이들이
…
‘살갗’이나 ‘살결’로 말하기보다는 ‘피부’라 말하기를 좋아하는 요즘 사람들 흐름이 되는구나 싶습니다. 아무래도 한국말보다 한자말로 적어야 다소곳해 보인다거나 남을 높인다고 여기지 싶어요. 한국말을 알맞게 바르게 쓰면서 서로 높이거나 아끼는 뜻을 담도록 마음을 기울이면 아름다울 텐데요.
얼굴이 하얗다면 “얼굴 하얀 아이”입니다. 살갗이 하얗다면 “살갗 하얀 아이”입니다. 그냥 “하얀 아이”라고 해도 됩니다. 4340.8.23.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두 해 앞서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하며 내 앞에서 낄낄대던 살갗 하얀 아이들이 진웅이 얼굴에, 세호 목소리에
“이 년 전(二 年 前)”은 “두 해 앞서”로 고치거나 ‘그러께’로 다듬고, ‘피부(皮膚)’는 ‘살갗’으로 다듬습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86) -의 : 갈색 피부의 두꺼비
키 크고, 늘씬하고, 잘생기고, 건강한 갈색 피부의 두꺼비로 돌아왔습니다
《제인 욜런/박향주 옮김-토드 선장과 은하계 스파이》(시공주니어,1998) 60쪽
갈색 피부의 두꺼비로
→ 밤빛 두꺼비로
→ 구릿빛 두꺼비로
→ 구릿빛 살갗인 두꺼비로
…
사람도 개구리도 몸 겉에 살갗이 있습니다. 살갗은 ‘살가죽’입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구릿빛 살갗인 두꺼비”처럼 적어도 되고, 단출하게 “구릿빛 두꺼비”처럼 적어도 됩니다. 구릿빛은 햇볕에 잘 타서 보기 좋은 살빛입니다. 이러한 빛깔은 ‘밤빛’이라고 할 수 있고, ‘도토리빛’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흙빛’이라고 해도 잘 어울립니다. 4347.10.31.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키 크고, 늘씬하고, 잘생기고, 튼튼한 구릿빛 두꺼비로 돌아왔습니다
‘갈색(褐色)’은 ‘구릿빛’이나 ‘밤빛’으로 다듬고, ‘피부(皮膚)’는 ‘살갗’으로 다듬습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