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 육아

 


  첫째 아이가 태어나던 날부터 아이돌보기를 했으니 여섯 해째 이러한 삶을 잇는데, 첫째 아이를 보듬으며 기저귀를 빨고 밥을 하며 집안을 쓸고닦고 치우는 온갖 일을 도맡을 적에 마음속으로 한 가지 뜻을 품었다. 고 조고마한 갓난쟁이를 품에 안고는 “얘야, 네가 커서 네 어머니나 아버지 나이쯤 되어, 또는 더 일찍, 또는 더 늦게, 아무튼 네 사랑을 만나 네 아이를 낳으면, 네 외할머니가 네게 했듯이 나는 네 외할아버지로서 네 아이들 살뜰히 보듬는 사람이 된단다.” 하고 이야기했다. ‘기저귀 빨래하는 아버지’에서 ‘기저귀 빨래하는 할아버지’로 거듭나고 싶다는 꿈이라고 할까.


  아기를 갓 낳은 어머니는 집일을 할 수 없다. 몸을 함부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 아기를 낳은 몸이 제자리를 찾으려면 세이레를 온통 드러눕기만 하면서 몸풀이를 꾸준히 해야 한다. 세이레가 지나도 아기 어머니한테는 함부로 일을 시키지 않는다. 가볍게 몸을 움직일 만한 가벼운 일만 맡긴다. 이동안 모든 집일과 갓난쟁이 뒤치다꺼리는 아버지가 도맡는다. 먼먼 옛날부터 시골마을 시골집 아배는 이렇게 아이를 아끼며 살았다. 이와 달리 임금이나 사대부나 권력자나 돈있는 양반네 아버지는 아이를 보듬거나 아끼지 않았다. 일꾼을 사거나 심부름꾼을 썼지.


  우리 겨레에는 오랜 옛날부터 이어온 아름다운 ‘아이돌보기’가 있다고 느낀다. 아기가 태어나기 앞서 아버지는 집 곁에 움막을 한 채 짓는다. 창문 하나 없는 움막이다. 빛이 한 줄기도 안 들어오는 움막이다. 거적으로 드나드는데, 왜 그러하느냐 하면, 갓 태어나는 아기는 햇빛이 너무 눈부셔서 눈을 다칠 수 있기 때문이요, 아기 못지않게 어머니도 ‘힘이 많이 빠지고 기운이 다해’ 눈을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이레를 움막에서 보내면서 차츰 눈이며 몸을 추슬러 기운을 되찾는다. 이동안 움막에서 갓난쟁이 젖을 물리고 토닥토닥 보드랍게 노래를 부르며 달랜다. 어머니 몸속에서 바깥누리로 나온 아기한테 바깥누리를 천천히 받아들이도록 하는 셈이다. 아버지는 아기 똥오줌 기저귀를 빨고 밥과 미역국을 올린다. 아버지는 아기 낳은 어머니 핏기저귀도 빨래한다. 이렇게 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한솥밥지기’ 마음을 더 깊게 읽고 한결 따스히 맞아들인다.


  우리 식구들 도시에서만 지냈다면 아기를 낳을 움막을 지을 수도 없고, 이런 방 한 칸 마련하기도 벅차다. 이제 우리 식구들 시골에서 지내기에, 우리 아이들이 커서 아기를 낳을 때가 되면 우리 땅을 마련해서 그 터에 움막을 따로 지을 수 있겠지. 우리 아이들이 숲바람을 쐬고 들내음 맡으면서 기쁘게 아기를 낳고, 다 같이 푸른 숨결 따사로이 돌볼 수 있겠지. 나는 ‘아버지 육아’에서 ‘할아버지 육아’로 거듭날 즐거운 날을 기다린다. ‘할아버지 육아’를 더 씩씩하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럽게 할 수 있도록 오늘 하루도 ‘아버지 육아’를 예쁘며 착하게 하자고 다짐한다. 4346.10.1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