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앞

 


  집앞이 어떤 곳인가를 생각한다. 아이들과 집앞에 서면 으레 사진을 한 장 찍고 본다. 날마다 다른 빛이고 철마다 다른 모습이라, 집앞을 나서는 모습을 한 장씩 찍고 보면, 우리가 지내는 시골마을 이야기가 저절로 이루어지겠다고 느낀다.


  시골마을에 우리 집 논이나 밭은 없다. 우리 집만 덩그러니 있다. 그러나 우리 집을 둘러싼 논이나 밭이나 길이나 숲은 모두 우리가 함께 누리는 터전이다. 이웃집 할배가 논밭이나 길가에 농약을 치면 고스란히 우리 집으로 흘러들고, 이웃집 할매가 논둑이나 밭둑에서 쓰레기를 태워도 고스란히 우리 집으로 흘러든다. 그리고, 이런 농약 기운과 쓰레기 태우는 냄새는 이웃집 어디에나 가만히 흘러든다.


  집앞이 자가용 세우는 곳이 되면 집은 어떤 삶터가 될까 생각한다. 집앞이 자동차 싱싱 달리는 찻길이 되면 집은 어떤 보금자리가 될까 생각한다. 아이들이 집앞에서 놀 수 없다면, 집집마다 아이들이 집앞에서 못 논다면, 어느 집이건 어른들이 집앞에서 해바라기를 하거나 나무그늘에 앉아 도란도란 이야기꽃 피우는 하루를 누리지 못한다면, 이런 집들 모인 마을은 얼마나 사람이 살 만한지 생각한다.


  집안도 잘 가꾸고 마당도 잘 돌볼 노릇인데, 집앞이 어떤 자리가 되도록 하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 시골에서도 도시에서도 모두 똑같다. 그런데, 도시사람은 집앞을 어떻게 두는가? 도시사람 집앞은 으레 찻길이나 주차장 아닌가? 집앞에서 들이나 숲이나 나무나 꽃밭을 누리는 도시사람은 몇이나 있을까? 날마다 늘 보는 ‘집앞 모습’이 살갑거나 사랑스럽거나 푸르거나 맑은 도시사람은 얼마나 있을까? 4346.7.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과 헌책방과 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