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책 함께 읽기 (Brian Lanker)

 


  사진책을 살 적마다 ‘이 사진책을 언제부터 아이하고 함께 들여다볼 만할까’ 하고 헤아린다. 어린 우리 아이들도 들여다볼 만한 사진책이 될는지, 어린 우리 아이들한테는 보여줄 만하지 않은 사진책이 될는지 곰곰이 생각한다. 상을 받았다고 하는 다큐사진이라 하더라도 아이들한테 함부로 보여줄 수 없다. ‘끔찍한 죽음’을 담은 사진이기에 아이들한테 함부로 못 보여주지는 않는다. 보여줄 뜻이나 값이나 보람이 없으면 보여줄 까닭이 없다. 게다가, 다큐사진이라 하면 사람들이 으레 ‘어두운 이야기’만 떠올리는데, 다큐사진은 하나도 어두울 까닭 없다. 밝든 어둡든 대수롭지 않다만, 사람이 살아가는 사랑을 들려줄 만한 이야기가 있어야 비로소 다큐사진이라 할 수 있다.


  ‘Brian Lanker’라 하는 미국 사진쟁이 사진책 하나를 장만한 지 한 달 즈음 되는데, 집일에 치여 한 쪽조차 못 펼친 채 마루 한켠에 덩그러니 얹어놓기만 했다. 엊저녁 비로소 책을 펼친다. 처음 장만할 적에는 살까 말까 망설이다가 ‘나중에 언제 다시 보겠느냐’ 생각하며 장만했는데, 사진을 한 장 한 장 찬찬히 살피고 보니, 무척 뜻깊은 사진이면서, 매우 마음 기울여 담은 사진이로구나 하고 느낀다. 혼자서 사진을 죽 넘기다가 큰아이를 부른다. 다섯 살 큰아이더러 “여기 할머니들 사진 볼래. 할머니들이 뭐를 하는 모습일까.” 하고 말하면서 함께 들여다본다. 사진만 보더라도 사진으로 찍힌 이들이 ‘어떤 일’을 하며 살았는가를 헤아릴 만하다. 사진에 붙인 글을 읽어도 발자국을 알 만하고, 사진에 붙인 글을 애써 안 읽어도 사진으로 삶을 읽을 만하다.


  그러고 보면, 글책이건 그림책이건 사진책이건, 이러한 책을 읽는 사람들이 스스로 생각날개를 펼 수 있도록 이야기를 담아야 비로소 ‘책’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겠구나 싶다. 겉모양이 책이라서 ‘책’이 되지는 않는다. 알맹이가 어여삐 책이 되어야 ‘책’이다. 밥도, 삶도, 사람도, 사랑도, 꿈도, 믿음도, 겉껍데기로는 따지지 않는다. 모든 자리 모든 이야기는 언제나 속알맹이로 따진다. 가슴 깊이 사랑할 노릇이다. 마음 깊이 아끼며 꿈꿀 노릇이다. 4345.12.2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