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46) 별리의 1 : 별리의 장소
전주는 내게 아픈 기억을 송별하는 별리(離別)의 장소이면서 8월의 햇볕을 만나는 새로운 시작의 장소이기도 하였다
《신영복-변방을 찾아서》(돌베개,2012) 16쪽
“아픈 기억(記憶)을”은 “아픈 일을”이나 “아픈 지난날을”이나 “아픈 생각을”로 손볼 수 있습니다. ‘송별(送別)’은 “떠나는 사람을 이별하여 보냄”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송별하는 별리의 장소”처럼 쓴 보기글은 겹말입니다. ‘송별’이나 ‘별리’ 가운데 하나를 덜어야 올바릅니다. ‘장소(場所)’는 ‘곳’으로 다듬고, “8월의 햇볕을”은 “8월 햇볕을”로 다듬으며, “새로운 시작(始作)의 장소이기도”는 “새로운 곳이기도”나 “새롭게 길을 나서는 곳이기도”로 다듬습니다. 이 대목에서 ‘시작’은 어떤 일을 처음 마음으로 한다는 뜻이니 ‘새롭다’와 같은 뜻이에요. ‘시작’을 덜어 “새로운 곳”처럼 적으면 단출해요.
보기글을 보면 ‘별리’라는 낱말에 묶음표를 치고 한자를 넣습니다. 아무래도 사람들이 흔히 쓰는 낱말이 아니기에 한글로만 적으면 못 알아볼 사람이 많겠지요. 그런데, 묶음표에 한자를 넣는들 잘 알아볼 만할까요. 한글로 적어도 알아보기 어렵다면, 한자를 밝히거나 알려도 알아보기 어려워요.
국어사전에서 ‘별리’를 찾아보면 “= 이별(離別)”이라고 풀이합니다. 곧, 앞뒤만 바뀐 같은 낱말이에요. ‘이별(離別)’은 “서로 갈리어 떨어짐”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로 적자면 ‘헤어지다’인 셈입니다.
아픈 기억을 송별하는 별리(離別)의 장소이면서
→ 아픈 생각을 떠나 보내는 곳이면서
→ 아픈 일을 훌훌 털어 보내는 곳이면서
→ 아픈 지난날과 헤어지는 곳이면서
…
“이별의 인사”가 아닌 “헤어지는 인사”입니다. “이별의 눈물”이 아닌 “헤어지는 눈물”입니다. 굳이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이별하는 인사”나 “이별하는 눈물”처럼 ‘-하는’을 붙여야 올발라요. 그러나, 한국말 ‘헤어지다’가 있는데, 왜 ‘이별’이나 ‘별리’ 같은 바깥말을 들여와서 써야 하나 궁금해요. ‘헤어지다’와 ‘떨어지다’와 ‘멀어지다’와 ‘갈리다’를 때와 곳에 따라 알맞게 쓸 수 있는 마음이 되기를 빌어요. (4345.9.26.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전주는 내게 아픈 생각과 헤어지는 곳이면서, 8월 햇볕을 만나며 새롭게 길을 걷는 곳이기도 하였다
(최종규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