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ward S. Curtis (Hardcover) - The Women
Christopher Cardozo / Bulfinch Pr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사랑스러운 삶을 사랑스러운 사진으로
 [잘 읽히기 기다리는 사진책 35] 에드워드 커티스(Edward S.Curtis), 《the Women》(Buffinch,2005)



 마흔 살 일소와 여든 살 흙일꾼 할아버지가 나오는 영화 〈워낭소리〉가 있습니다. 이 영화는 퍽 많은 사람들 가슴을 촉촉히 적셨다고 합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는 나는 이 영화를 극장에서 볼 수 없습니다. 시골에는 극장이 없고, 극장을 찾아 도시로 마실을 가기도 힘드니까요. 아마 시골마을 여느 흙일꾼도 이 영화를 볼 일은 없겠지요. 〈워낭소리〉를 찍은 영화감독은 이 영화를 시골마을 흙일꾼한테 차근차근 보여줄 마음이었을까요, 도시사람한테 널리 내보일 마음이었을까요.

 새 보금자리를 찾아 온 식구를 이끌고 전라남도 고흥으로 찾아와서 여관에 묵는 동안 여관 텔레비전으로 〈워낭소리〉를 봅니다. 조용한 이야기를 조용한 눈길로 바라보며 담은 영화 〈워낭소리〉로구나 하고 느끼면서 곰곰이 생각합니다. 시골에서는 어디를 가나 이렇게 늙은 소와 사람이 있고, 이 나라 시골 어디에서나 이처럼 늙은 소와 사람 이야기가 애틋합니다. 다만, 이제껏 시골자락 늙은 소와 사람 이야기를 글로든 그림으로든 사진으로든 영화로든 연극으로든 춤으로든 노래로든 담으려 애쓴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어린이문학을 하던 이원수 님과 권정생 님은 시골자락 일소 이야기를 어린이시로 썼으나, 이 같은 이야기를 찬찬히 곰삭이며 연속극이나 소설이나 뮤지컬로 일구는 일은 없습니다.

 시골자락에서 소는 한식구입니다. 보배로운 한식구입니다. 시골집 소마다 기나긴 나날에 걸친 많디많은 이야기가 깃듭니다. 〈워낭소리〉는 많디많은 이야기 가운데 한 가지입니다. 한겨레 문화·예술인은 한겨레 일소를 들여다볼 줄 모르면서 갈비를 뜯거나 등심을 먹거나 꼬리곰탕을 즐기는데, 이제 겨우 일소 이야기 하나가 영화로 태어났습니다. 그렇지만, 염소 이야기라든지 돼지 이야기라든지 닭 이야기라든지 고양이 이야기라든지 개 이야기라든지 살뜰히 다룬 적은 아직 없습니다. 더욱이, 〈워낭소리〉가 되든 〈트랜스포머〉나 〈아바타〉가 되든, 이들 영화는 으레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만 봅니다.

 이 나라에서는 무엇이든 도시로 보냅니다. 사람도 도시로 보내고 물건도 도시로 보냅니다. 유기농 곡식이든 화학농 곡식이든 온통 도시로 보냅니다. 물고기도 도시로 보내고 뭍고기도 도시로 보냅니다. 온통 도시에서 먹고 마시고 쓰고 버립니다. 책도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읽히다가 도시에서 버려집니다. 사진도 도시에서 찍고 도시에서 즐기며 도시에서 이야기합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며 시골을 사진으로 찍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도시에서 살다가 시골로 ‘사진찍기 나들이’를 다니는 사람이 더러 있을 뿐입니다.

 도시는 돈이 샘솟는다는 곳이고, 돈이 샘솟기 때문에 돈을 마음껏 쓰는 곳이 되기도 합니다. 시골 논밭을 사진으로 담아 시골 논밭에서 사진잔치를 여는 일이란 없습니다. 파란 빛깔 바다를 사진으로 담아도 바닷마을 사람들하고 즐기도록 사진잔치를 마련하는 일이란 없습니다. 삶이란, 사람이란, 사진이란 무엇일까 궁금합니다.

 에드워드 커티스(Edward S.Curtis) 님이 빚은 사진을 그러모은 《the Women》(Buffinch,2005)을 펼칩니다. 2011년 8월 한국땅에서 드디어 에드워드 커티스 님 사진책이 《북아메리카 인디언》(눈빛,2011)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습니다. 낱장으로 몇 장씩 나누어 책이나 신문에 쓰기는 하지만, 이렇게 책 하나로 묶은 적은 처음입니다. 어떤 분은 에드워드 커티스 님 사진을 저작권 계약을 맺지 않고 함부로 100장 가까이 넣으며 책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모르는 사람은 너무 모르는 에드워드 커티스 님이고, 아는 사람은 제대로 헤아리지 않던 에드워드 커티스 님입니다.

 《the Women》은 에드워드 커티스 님이 빚은 사진 가운데 ‘여성’ 이야기를 간추립니다. 어쩌면, ‘남성’이라든지 ‘어린이’라든지 ‘할머니’라든지 ‘자연’이라는 테두리로 에드워드 커티스 님 사진을 살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북아메리카 옛 토박이 삶자락을 찾아 북아메리카땅을 골골샅샅 누비던 에드워드 커티스 님이니, 토박이 겨레에 따라 사진책을 나누어 살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에드워드 커티스 님은 무슨 사진을 찍은 사람일까요. 에드워드 커티스 님 사진은 어느 갈래로 바라보아야 할까요.

 에드워드 커티스 님은 틀림없이 ‘북아메리카 옛 토박이’를 사진으로 적바림하고 글로 아로새겼습니다. 다른 여느 미국사람은 옛 토박이를 눈여겨보지 않을 뿐 아니라 옛 토박이를 끔찍하게 죽이거나 모질게 땅을 빼앗습니다. 여느 미국사람과 다른 삶이고 여느 미국사람과 다른 눈길이며 여느 미국사람과 다른 넋입니다. 어느 모로 본다면 ‘문화인류학’이라는 테두리로 다가설 만합니다. ‘생활문화’나 ‘생활역사’라는 테두리로 들여다볼 만합니다.

 이야기를 바꾸어, 어느 한국 사진쟁이가 한국땅 골골샅샅 누비면서 ‘한겨레 토박이’를 사진으로 적바림하고 글로 아로새긴다면, 이러한 일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궁금합니다. 이 또한 문화인류학이나 생활문화나 생활역사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사진과 글을 바라보아야 할는지요.

 사진은, 사진을 찍으려 하는 사람과 사진으로 찍히는 사람이 서로 만나며 이루어지는 삶입니다. 사진을 찍으려고 하는 사람부터 스스로 내 삶을 알뜰히 일구어야 무엇을 사진으로 담아 누구하고 사진을 나누려 하는지를 또렷이 깨닫습니다. 사진으로 찍히는 사람 또한 이들 스스로 당신 삶을 알차게 돌보아야 이들을 사진으로 담을 때에 아름다운 빛줄기가 살가이 깃듭니다.

 억지로 어떤 모습을 지을 수 없습니다. 억지로 어떤 모습을 지을 때에는 그럴듯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지만, 그럴듯한 그림에 머물 뿐, 사람들 가슴을 촉촉히 적시는 아름다운 이야기로 자리매기지 못합니다. 서로서로 삶을 사랑하면서 아끼는 길을 걸을 때에 비로소 ‘가슴 촉촉 이야기’입니다. 서로서로 삶을 보살피면서 일구는 나날을 누릴 때에 바야흐로 고운 꿈이 열매를 맺습니다. 잘 일구는 삶에서 잘 찍는 사진이 비롯합니다. 사랑스레 돌보는 삶에서 사랑스레 담는 사진이 비롯합니다. 바보스레 팽개치는 삶에서 바보스레 팽개치는 사진이 불거집니다. 겉치레로 꾸미는 삶에서 겉치레로 꾸미는 사진이 맴돕니다.

 《the Women》은 사랑스러운 삶을 사랑스러운 사진으로 보여줍니다. 사랑스러운 삶으로 이어가도록 마음을 나누는 사람들을 마주하면서 내(사진쟁이) 삶 또한 사랑스레 돌볼 때에 다 함께 아름다이 살아갈 온누리 무지개빛을 어깨동무할 수 있는 실마리를 보여줍니다. 기록사진은 사진이 아닌 ‘기록’이고, 문화인류학은 삶하고 동떨어진 ‘학문’이며, 생활문화나 생활역사는 삶과 문화와 역사하고 등지는 ‘지식’입니다. 사진은 기록이나 학문이나 지식이 아닌, 그예 사진으로 자리잡아야 합니다. 살아가면서 찍는 사진이요, 살아숨쉬면서 나누는 사진이며, 살아내면서 사랑하는 사진입니다. (4344.9.30.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