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글쓰기


 흔히들 ‘아끼거나 어루만지며 살아가기에도 짧은 삶’이라 하지만, ‘아끼거나 어루만지며 살아가기에 알맞춤한 삶’이 아닌가 싶다. 오래 산다고 더 즐겁지 않으나, 짧게 산다고 덜 즐겁지 않으니까. 예쁘고 착하게 살아가면 즐거운 나날이니까.

 내 삶을 들여다보며 하루하루 새로 태어나는 가운데 맑게 웃으면 고맙다. 책이란 무엇이고 삶은 또 무엇이며 글쓰기는 참말 무엇이겠는가. 어머니 자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꾸리는 삶과 보듬는 사랑과 빚는 아름다움을 떠올린다. 어머니들은 하루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어머니들한테 하루란 어떠한 나날인가.

 얼마 앞서 아이랑 둘이 사흘 동안 서울마실을 하면서 자주 퍽 오래 안고 걸었다. 아이가 힘들어 하니까 안지 않을 수 없다. 아빠는 앞과 뒤로 멘 가방이 제법 무겁다. 어깨가 눌리는 무게를 느끼지만, 이렇다 해서 고단하여 걷기 힘들다는 아이보고 “힘들지만 더 걸어 보렴.” 하고 말할 수 없다. 삼십 분쯤 ‘아이가 앞을 보도록 안으’면서 걷다가는, 십 분쯤 아이보고 아빠하고 손 잡고 걷자고 말한다. 둘레 사람들은 날이 추우니 옷을 꽁꽁 싸매듯 입으며 걸어다니지만, 애 아빠는 겉옷을 훌러덩 벗고 싶다. 땀줄기가 등판으로 줄줄 흐른다.

 함께 마실을 오느라 애쓴 아이는 집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에서 가까스로 잠든다. 시외버스 기사가 버스를 너무 거칠게 모느라 아이 속이 메스꺼울까 걱정스럽다. 아이를 아빠 무릎에 눕힌다. 사십 분 남짓 이렇게 있다가 내릴 즈음 아이를 옆자리에 눕히고는 가방을 챙긴다. 버스에서 내릴 때까지 안 깬 아이였는데, 막상 버스에서 내리니 잠에서 깬다. 아빠는 속으로 생각한다. ‘녀석아, 이렇게 깨려면 좀 일찍 깨지. 네가 잠이 깰까 살몃살몃 안으며 내렸는데.’ 그러나 어쩌겠는가. 잠이 제대로 들자면 넉넉히 드러누워서 따숩게 있어야 하는데, 흔들거리는 버스가 잠을 잘 만했겠는가. 그나마 좀 잘까 싶던 버스에서 내리며 이리 비틀 저리 비틀 했으니 아이가 깰밖에 없지 않은가.

 아이한테 얼음과자를 하나 사 준다. 아이는 아주 좋아라 하면서 야금야금 깨어 문다. 시골버스역에서 시골버스를 기다리는 시골할매는 “이 추운 겨울에 무슨 아이스크림을 먹누.” 하지만, 아이는 춥건 말건 얼음과자 노래만 부른다. 생각해 보면, 나도 어릴 적에 추운 겨울이건 더운 여름이건 얼음과자 노래를 부르지 않았던가. 집에서까지 냉장고 얼음칸에다가 설탕물을 얼려 먹지 않았던가.

 아이하고 살아가며 젊은 살결은 금세 쭈글쭈글해지고, 보드랍던 살갗은 어느덧 투박하며 거칠어진다. 잠자리에 들던 엊저녁, 내 손바닥 딱딱한 꾸덕살을 한참 만지작거렸다. 아이도 아빠 손바닥 꾸덕살을 살살 만져 본다. 아이는 나중에 제 아빠 나이만큼 자랐을 때에 제 아빠 손바닥 꾸덕살 느낌을 떠올릴 수 있을까. 나는 내 아이만 한 나이는 아니고, 열 살 무렵 즈음 어머니 손바닥을 만지작거리던 느낌을 곱다시 떠올린다. 아이하고 살아가며, 아니 옆지기랑 함께 살아가던 나날부터 내 어머니 젊은 날 손바닥 느낌을 늘 떠올린다. 글 한 줄 쓸 틈이 없는 어머니들 삶은 손바닥에 아로새겨진다. 책 한 권 읽을 겨를이 없는 어머니들 이야기는 손바닥에 차곡차곡 적바림된다. (4343.12.12.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