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눈 143 : 전태일을 말하거나 가을을 말하거나

 퍽 널리 쓰는 낱말 ‘케이블카(cable car)’는 영어입니다만, 이 낱말이 영어라고 느끼는 어른은 얼마 없습니다. 어른들한테는 익숙해서 널리 쓴달지라도, 이 땅에서 새로 태어나 자라나는 아이들을 헤아린다면, 우리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가장 알맞춤하면서 좋은 우리 이름을 지어 주어야 할 텐데, 한낱 덧없는 꿈입니다.

 영어 ‘케이블카’를 한자말로 적으면 ‘가공삭도(架空索道)’입니다. 줄여서 ‘삭도(索道)’라고도 합니다. 사람들은 영어 ‘케이블카’는 익숙하고 한자말 ‘삭도’나 ‘가공삭도’는 익숙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무원은 ‘삭도’라는 말을 즐겨씁니다. 어느 날 문득 국어사전에서 ‘삭도’를 찾아봅니다. 말풀이 끝에 “‘하늘 찻길’로 순화.”라 적혔습니다. 그러니까, 영어로는 ‘케이블카’, 한자말로는 ‘삭도(가공삭도)’, 우리 말로는 ‘하늘차’입니다.

 이 나라 공무원과 개발업자는 설악산 대청봉에 ‘하늘차’를 놓겠다며 으르릉거립니다. 어쩌면 설악산 대청봉 둘레에서 장사하는 분들 또한 대청봉에 하늘차가 놓이기를 바라겠지요. 이러거나 저러거나 더 많은 사람이 찾아들면 돈벌이가 늘거나 살림이 펴리라 생각하니까요. 나라에서 4대강사업을 한다고 외칠 때에도 적잖은 분들은 우리 터전이 무너지리라고는 느끼지 않고, 일자리가 늘어나리라 여깁니다.

 오늘 이 땅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여느 사람이거나 관청 사람이거나 정치판 사람이거나 커다란 건설회사 사람이거나 일자리를 생각합니다. 일자리를 얻을 수 있으면 그만입니다. 어떤 일자리일는지를 살피지 않고, 이 일자리에 내 삶과 땀과 품을 바칠 때에 우리 터전이 어떻게 달라질는지를 생각하지 않습니다. 자동차회사 노동자는 틀림없이 노동조합을 세워 노동권을 알뜰히 누려야 합니다. 그런데 이 땅에서 우리가 만드는 자동차는 어떤 자동차이며, 이 자동차를 이렇게까지 끝없이 만들면 우리 터전은 어찌 될까요. 같은 공장에서 일하더라도 자동차회사 노동자가 아닌 자전거회사 노동자로 거듭날 노릇이 아니랴 싶습니다. 더 큰 회사에서 더 벌이가 될 일자리를 찾아 ‘더 많이 번 돈’으로 자가용 장만하고 아파트 장만하며 좋은 밥거리 장만하는 삶이 아름다운 나날이 될까 궁금합니다. 더 작은 회사에서 일하든, 도시 아닌 시골에서 내 삶을 북돋우며 스스로 땅을 일구어 스스로 밥·옷·집을 마련할 때에는 아름다운 나날이 못 될는지 궁금합니다.

 1970년부터 해마다 한 차례 돌아오는 11월 13일이 지납니다. 11월 13일에는 이름도 힘도 돈도 없던 여느 노동자 한 사람이 숨을 거두었습니다. 이날 이이 한 사람만 숨을 거두었겠느냐만, 노동법에 적힌 그대로 노동자가 노동권을 누릴 수 있기를 빌고 외치며 숨을 거두었습니다. 어느덧 마흔 해입니다. 노동자가 노동법대로 노동권 누리기를 바란 지 마흔 해이지만, 이제껏 하나도 나아지지 않습니다. 2010년 올해에 한글날이 오백 몇 십 돌이 되더라도 우리 말글 문화가 나아지지 못한 모습과 매한가지입니다. 게다가, 해가 갈수록 가을이 가을빛을 잃습니다. 겨울은 겨울다우려나요. 삶이 삶답지 못하고, 철은 철을 잃으며, 책은 책다이 읽히지 못합니다. (4343.11.14.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