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강제수용소



 강제수용소에 가두었다는 → 쇠사슬에 가두었다는

 직언을 한 직원을 강제수용소로 보낸 → 바른말 한 일꾼을 굴레살이로 보낸

 독재국가에는 강제수용소가 여전하다 → 마구나라에는 코뚜레가 고스란하다


강제수용(强制收容) : [사회 일반] 사회 질서 유지나 환자의 치료를 위해 정신 장애인, 알코올 의존자, 마약 중독자, 행려병자, 걸인 들을 강제로 일정한 장소에 수용하는 일

강제수용소(强制收容所) : [정치] 정치적 반대파를 대량으로 수용하거나 전시 중 외국인을 구금·수용하기 위하여 차려 놓은 수용소. 나치스 독일의 강제 수용소, 스탈린 시대 소련의 라게리 수용소 따위가 유명하다



  억지로 가두거나 마구 묶는 나라가 있습니다. 이런 나라에는 ‘가두다·가두리·가둠터·갇힘살이’라 할 곳이 있습니다. ‘고랑·고삐·쇠사슬·쇠고랑’이 있습니다. ‘굴레·굴레살이·멍에·수렁’이기도 하고, ‘사슬·사슬터·사슬살이’라고도 할 만합니다. ‘총칼나라·총칼틀·충칼수렁·총칼굴레’나 ‘칼나라·칼누리·칼굴레·칼수렁’입니다. ‘코뚜레·재갈·입틀막·입을 틀어막다’라 할 만한 모습이에요. ㅍㄹㄴ



이젠 더 이상 강제수용소 따윈 있지도 않은데 왜 자꾸 입에 올리는 거야

→ 이젠 더 굴레살이 따윈 있지도 않은데 왜 자꾸 입에 올려

→ 이젠 재갈 따윈 있지도 않은데 왜 자꾸 입에 올려

《악마의 덧셈》(제인 욜런/구자언 옮김, 양철북, 2013) 15쪽


보호구역이 아니라 강제수용소였습니다

→ 돌봄터가 아니라 가둠터였습니다

→ 굴레였습니다

《달팽이》(에밀리 휴즈/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24) 37쪽


세 명의 여동생은 모두 유대인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 세 누이는 모두 유대사람 사슬터에서 죽었다

→ 누이 셋은 모두 유대사람 가두리에서 죽었다

《프란츠 카프카 : 알려진 혹은 비밀스러운》(라데크 말리·레나타 푸치코바/김성환 옮김, 소전서가, 2024) 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