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일구이언
일구이언은 할 바가 아니다 → 한 입으로 두 말은 할 바가 아니다
그는 일구이언을 밥 먹듯 하여 → 그는 한 입으로 두 말을 밥 먹듯 하여
일구이언하는 사람 → 한 입으로 두 말 하는 사람
일구이언하는 자들 → 이랬다저랬다 하는 이들
일구이언(一口二言) : 한 입으로 두 말을 한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에 대하여 말을 이랬다저랬다 함을 이르는 말 ≒ 일구양설
입은 하나인데 말은 둘이라 할 적에는 ‘한입두말·한입석말·한입넉말·한입닷말’처럼 새말을 여미어도 되어요. “말과 삶이 다르다·말과 삶이 어긋나다”처럼 수수하게 풀어서 쓰면 되고요. ‘다르다·다른빛·다른결·또다른’이라고만 해도 되고, ‘다른말삶’처럼 새말을 짓거나 ‘오락가락·왔다갔다·이랬다저랬다’라 할 만합니다. ‘고개돌리다·얼굴돌리다·눈돌리다·등지다·등돌리다’나 ‘바꾸다·바꿔타다·뒤바꾸다·뒤엎다·뒤집다’로 나타낼 만합니다. ‘입닫다·입다물다·입씻이·갈다·갈아타다’나 ‘엇나가다·엇가락·엇말·엇글·어긋나다·일그러지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고꾸라뜨리다·기우뚱·기울다’나 ‘나몰라·돌아서다·돌리다·동떨어지다’라 할 만하지요. ‘비틀거리다·비칠거리다·삐걱·삐끗’이나 ‘떨어지다·떨구다·떨어뜨리다’라 해도 됩니다. ‘엎다·엎지르다·옮겨타다’나 ‘틀어지다·쿵짝이 안 맞다’라 할 수 있고, ‘절다·절뚝이다·절름대다·절름발이·절름오리’나 ‘빈돌이·헛돌이·휘청거리다’라 하면 됩니다. ‘흔들다·흔들리다·흔들흔들·흔들오리’라 하면 되어요. ㅍㄹㄴ
일구이언하는 데 있어서 클린턴과 쌍을 이루는
→ 딴소리로는 클린턴과 짝을 이루는
→ 뜬금없기로는 클린턴과 나란한
→ 한입두말로는 클린턴과 똑같은
→ 오락가락으로는 클린턴과 맞먹는
《전쟁에 반대한다》(하워드 진/유강은 옮김, 이후, 2003) 25쪽
이 외교적 수완, 아니 일구이언의 결과
→ 이 다리놓기, 아니 한입두말 하기로
→ 이 사잇길, 아니 이랬다저랬다로
→ 이 너름새, 아니 말바꾸기로
《내추럴 히스토리》(존 앤더슨/최파일 옮김, 삼천리, 2016) 2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