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대중매체



 대중매체에서 종종 다뤄지는 주제이다 → 새뜸에서 가끔 다루는 얘기이다

 대중매체를 활용한 수업으로 → 글붓을 살려서 가르치고


대중매체(大衆媒體) : [매체] 신문, 잡지, 영화, 텔레비전 따위와 같이 많은 사람에게 대량으로 정보와 사상을 전달하는 매체 ≒ 대중매개자·매스미디어



  온갖 이야기를 널리 알린다고 할 적에는, 자리와 때를 헤아리면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낼 만합니다. ‘글길·글붓·글판’이나 ‘붓·붓길·붓판’이라 하면 됩니다. ‘길·말·말씀·말길·목소리·소리·외침’이라 할 만합니다. ‘그릇·도마질·도마에 오르다’나 ‘눈·눈꽃·눈귀·입·입방아’이기도 합니다. ‘새뜸·새뜸판·새뜸길’이라 해도 어울려요. ㅍㄹㄴ



적어도 대중매체는 초등학교만 나온 사람이면 누구나 막힘없이 읽을 수 있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 적어도 새뜸은 어린배움터만 나온 사람이면 누구나 막힘없이 읽을 만해야 한다

→ 적어도 글붓은 씨앗배움터만 나온 사람이면 누구나 막힘없이 읽게 써야 한다

《인물과 사상 2》(강준만, 개마고원, 1997) 193쪽


대중매체들은 ‘원하는 대로 누릴 권리가 있다’는 핑계로 자극적이고 왜곡된 성 문화가 담긴 정보를 만들어 내고

→ 붓판은 ‘바라는 대로 누릴 수 있다’는 핑계로 낯뜨겁고 뒤틀린 밤놀이가 담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 새뜸판은 ‘하고 싶은 대로 누릴 만하다’는 핑계로 뜨겁고 비틀린 밤일이 담긴 꾸러미를 만들어 내고

《10대와 통하는 성과 사랑》(노을이, 철수와영희, 2012) 19쪽


미디어는 매체라는 본디 뜻과 대중매체라는 뜻을 모두 지니고 있는 말이라고 이해하면 정확합니다

→ 붓은 그릇이라는 제뜻과 새뜸이라는 뜻이 나란하다고 여기면 됩니다

→ 새뜸은 길이라는 속뜻과 목소리라는 뜻이 함께한다고 보면 됩니다

《10대와 통하는 미디어》(손석춘, 철수와영희, 2012) 34쪽


대중매체를 통해서가 아니라면 북한사람들의 억양을 들을 기회가 좀처럼 없는 우리는

→ 새뜸길이 아니라면 높녘사람 말씨를 들을 짬이 좀처럼 없는 우리는

→ 붓판이 아니라면 높녘사람 목소리를 들을 틈이 좀처럼 없는 우리는

《북한 여행 회화》(김준연·채유담, 온다프레스, 2019) 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