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각인 刻印


 그에 대한 각인은 좀체 지워지지 않는다 → 그는 낯익어 좀체 못 지운다

 뇌리에 각인되다 → 머리에 담다 / 머리에 새기다

 고향의 풍경은 마음속에 깊이 각인되어 있다 → 시골빛은 마음속에 깊다


  ‘각인(刻印)’은 “1. 도장을 새김. 또는 그 도장 ≒ 늑인 2. 머릿속에 새겨 넣듯 깊이 기억됨. 또는 그 기억”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한자를 똑같이 쓰는 ‘각인(刻印)’은 “[동물] 동물이 본능적으로 가지는 학습 양식의 하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는 한정된 시기에 습득하여 영속성을 가지게 되는 행동을 이른다 = 인상찍히기”처럼 풀이하고요. ‘불자국·불자취’나 ‘낯익다·낯익히다’로 손질합니다. ‘새기다·새겨넣다·새김·아로새기다’나 ‘남다·남기다·넣다·담다·집어넣다’로 손질할 만합니다. ‘찍다·쪼다·파다’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흐르다·고이다·괴다·깊다’나 ‘맺다·피맺다·피맺히다’로 손질할 수 있어요. ㅍㄹㄴ



이런 불평등한 관계는 우리 문화에 아주 깊이 각인되어 있어

→ 이런 굴레살이는 우리 삶터에 아주 깊이 남아

→ 이런 높낮이는 우리 터전에 아주 깊이 흘러

《다른 방식으로 보기》(존 버거/최민 옮김, 열화당, 2012) 75쪽


때때로 인생에 각인되는 순간이 있다

→ 때때로 이 삶에 남는다

→ 우리 삶에 아로새기는 때가 있다

→ 문득 남는 때가 있다

《이슬의 소리를 들어라》(율리우스 베르거/나성인 옮김, 풍월당, 2021) 22쪽


이후 일가친척 어르신이 집을 방문하는 날, 사람들이 한데 모여 밥을 먹는 자리는 불편함으로 각인되었다

→ 이제 피붙이 어르신이 집을 찾는 날, 사람들이 모여 밥을 먹는 자리는 거북하다

→ 곧이어 한집안 어르신이 찾아오는 날, 한데 모여 밥을 먹는 자리는 껄끄럽다

《이름 지어 주고 싶은 날들이 있다》(류예지, 꿈꾸는인생, 2022) 23쪽


핫세 주민의 머리와 마음에 각인시키고,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어 공포의 구렁텅이로 떨어뜨려라

→ 핫세사람 머리와 마음에 새겨서, 속까지 서늘하도록 두려운 구렁텅이로 떨어뜨려라

《책벌레의 하극상 3부 7》(카즈키 미야·나미노 료·시이나 유우/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4) 9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