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외투 外套
외투를 걸치다 → 덧옷을 걸치다
큰 외투가 무겁다 → 큰 겉옷이 무겁다
‘외투(外套)’는 “추위를 막기 위하여 겉옷 위에 입는 옷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풀이하면서 “≒ 오버(over)”처럼 비슷한말을 실은 낱말책입니다. ‘오버(over)’는 “1. = 외투”로 풀이해요. ‘겉옷’을 찾아보니 “1. 겉에 입는 옷 ≒ 외의(外衣)·표의(表衣) 2. ‘외투’를 달리 이르는 말 3. 겉으로 나타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풀이합니다. 가만히 따지면 ‘외투·오버’는 “= 겉옷”으로 풀이하거나 ‘겉옷’으로 고쳐쓰도록 이끌 만합니다. ‘겉저고리·겉두루마기’나 ‘긴옷·긴저고리’로 고쳐쓰면 되어요. ‘덧옷’이나 ‘두루마기·마고자’로 고쳐써도 되고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외투(外套)’를 “[문학] 제정 러시아의 작가 고골이 지은 소설”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어른들이 입는 해진 군복을 허리 밑까지 외투처럼 입은 몽실 언니
→ 어른이 입는 해진 싸움옷을 허리 밑까지 겉옷처럼 입은 몽실 언니
→ 어른이 입는 해진 싸움옷을 허리 밑까지 덧옷처럼 입은 몽실 언니
《몽실 언니》(권정생, 창작과비평사, 1984) 222쪽
그땐 네게 멋진 외투를 새로 사 줄게
→ 그땐 네게 멋진 겉옷을 새로 사 줄게
→ 그땐 네게 멋진 마고자를 새로 살게
《안나의 빨간 외투》(아니타 로벨·해리엣 지퍼트/엄혜숙 옮김, 비룡소, 2002) 7쪽
엄마는 로라에게 외투를 입히고
→ 엄마는 로라한테 겉옷을 입히고
→ 엄마는 로라한테 덧옷을 입히고
《초원의 집 1》(로라 잉걸스 와일더/김석희 옮김, 비룡소, 2005) 64쪽
외투 자락을 열어젖히며 말했지요
→ 겉옷 자락을 열어젖히며 말했지요
→ 두루마기를 열어젖히며 말했지요
《배고픈 외투》(데미/유정화 옮김, 비룡소, 2007) 26쪽
무엇인가가 아저씨의 외투 속 가슴께에서 동그랗게 부풀어오르는 게 보였다
→ 아저씨 겉옷 가슴께에서 동그랗게 부풀어오르는 뭐가 보인다
→ 아저씨 겉옷 가슴께에서 뭐가 동그랗게 부풀어오른다
《눈물 상자》(한강, 문학동네, 2008) 11쪽
그러고 나서 외투를 입고 양말을 신고
→ 그러고 나서 겉옷을 입고 버선을 신고
→ 그러고 나서 마고자 입고 버선을 신고
《열까지 세면 엄마가 올까?》(마루야마 아아코/엄혜숙 옮김, 나는별, 2015) 12쪽
나는 겨울 외투를 벗고
→ 나는 겨울 겉옷을 벗고
→ 나는 겨울옷을 벗고
《마당에 징검돌을 놓다》(김창균, 시인동네, 2016) 74쪽
두터운 외투를 껴입고
→ 두꺼운 겉옷을 껴입고
→ 두툼한 덧옷을 껴입고
《작은 미래의 책》(양안다, 현대문학, 2018) 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