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733 : 흑인 존재에 대한 고찰 국민문학 방식 이해 핵심 문학적 상상력의 변두리
이런 흑인 존재에 대한 고찰은 우리 국민문학을 어떤 방식으로든 이해하는 데 핵심이며 문학적 상상력의 변두리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 이 검은사람을 헤아려야 우리 나라글꽃을 어떻게든 제대로 읽으며, 글나래 귀퉁이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 이 검은살갗을 살펴야 우리 나라글을 어떻게든 속깊이 읽으며, 글날개 끄트머리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
《보이지 않는 잉크》(토니 모리슨/이다희 옮김, 바다출판사, 2021) 156쪽
살갗이 검기에 검은살갗이요 검은사람입니다. 검은살갗을 헤아리면서 나라글을 어떻게 제대로 읽을는지 곱씹는다고 합니다. 이때에 바깥이나 귀퉁이나 구석이나 끄트머리로 밀려나서는 안 된다지요. 저 멀리 떠밀리지 않으면서 글나래를 펴는 마음과 눈길을 건사해야 한다지요. ㅍㄹㄴ
흑인(黑人) : 1. 털과 피부의 빛깔이 검은 사람 2. 흑색 인종에 속하는 사람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고찰(考察) : 어떤 것을 깊이 생각하고 연구함
국민문학(國民文學) : 1. [문학] 혈족, 종족, 민족, 토지, 풍속, 언어, 습관 따위 그 나라의 국민적 특성이나 문화를 현저하게 반영한 문학 2. [문학] 근대 국민 국가의 발생과 더불어 생긴 문학 3. [문학]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파 문인들이 일본의 전쟁을 합리화하고 그들의 정신을 드러낼 목적으로 벌인 문학 운동 4. [문학] 최재서가 주재하여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발행한 친일(親日) 문예 월간지
방식(方式) : 일정한 방법이나 형식 ≒ 법식
이해(理解) : 1.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함 2. 깨달아 앎 3. = 양해(諒解)
문학적(文學的) : 문학과 관련되어 있거나 문학의 특성을 지닌
상상력(想像力) : 1.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보는 힘 2. [철학] 상상을 하는 심적 능력. 칸트 철학에서는 감성과 오성(悟性)을 매개로 하여 인식을 성립시키는 능력을 이른다 ≒ 상력
변두리(邊-) : 1. 어떤 지역의 가장자리가 되는 곳 2. 어떤 물건의 가장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