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17.
《잘 왔어 우리 딸》
서효인 글, 난다, 2014.7.10.
높녘(북녘)을 떠난 사람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귀순자·꽃제비·새터민·탈북민’이 있는데, 따로 이름을 붙여야 한다면 나는 어쩐지 ‘봄제비’로 새로짓고 싶다. 철빛을 헤아려 먼먼 바닷길을 씩씩하게 가르는 제비마냥, 봄을 그리는 작은새라는 뜻으로 ‘봄제비’ 같은 이름이 어울린다고 느낀다. 지난날 ‘망명정부’도, 오늘날 ‘망명자’와 ‘이주민’도 나란히 ‘봄제비’이지 싶다. ‘이·만·갑’이라는 풀그림에서 “대북방송과 삐라” 이야기가 나온 적 있는 듯하다. 문득 1995∼97년에 강원 양구 ‘완전무장지대(DMZ)’에서 날마다 귀청이 떨어지듯 들어야 하던 펑펑소리가 떠오른다. 그래, 그때 싸울아비로 뒹굴면서 용케 대북방송 펑펑소리를 날마다 견뎌내고 귀도 멀쩡하구나. 《잘 왔어 우리 딸》을 읽었다. 아이를 낳아서 곁에서 지켜본 바를 이럭저럭 풀어낸 꾸러미라고 느낀다. 아이곁에 있기 앞서까지 아이를 헤아린 적이 없는 분이 참으로 많다. 이 나라는 어린배움터와 푸른배움터에서 ‘성교육’은 있되 ‘아이돌봄’은 없다. ‘살섞기’를 할 적에 아이가 태어나는 줄 못 배운다. 푸른배움터를 마친 스무 살은 마구마구 놀아대기 바쁘니, ‘아이생각’은 아예 없을 만하고, 일자리를 얻으면 일하고 쉬고 노느라 바쁘니 더더욱 ‘아이살핌’도 없을 만하다. 이러다가 뚝 낳는 아이일 테니 그림책이나 어린이책을 비롯해서 ‘아이랑 어울리는 하루살림’에는 새까맣게 마련이다. 푸른씨뿐 아니라 나이든 모든 사람 누구나 ‘아이곁’이 무엇인지 새로 배우고 익힐 노릇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민언련 활동가 전원 집단사직…"치열한 운동 뒤 권력 사유화, 존엄 사라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32815?sid=102
"전횡·폭력적 언사에 탈퇴"…민언련 일부 구성원 '집단 사직'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571092
[단독] 민언련 활동가 '전원 사직' 예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56454?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