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구애 求愛


 구애를 받아들이다 → 사랑을 받아들이다

 뭇 남성의 구애를 뿌리치다 → 뭇사내 바람을 뿌리치다

 남자의 끈질긴 구애로 → 사내가 끈질기게 들붙어서

 구애하는 행위는 각양각색이다 → 짝찾는 몸짓은 다 다르다


  ‘구애(求愛)’는 “이성에게 사랑을 구함”을 뜻한다고 합니다. ‘사랑바라기·사랑을 바라다·사랑찾기·사랑을 찾다’나 ‘짝찾기·짝을 찾다’로 손봅니다. ‘꿈·꿈꾸다·바람·바라다’나 ‘눈이 붉다·눈이 벌겋다·눈이 빨갛다’로 손보고, ‘달라붙다·달붙다·달려들다·들러붙다·들붙다’로 손봐요. ‘묻다·물어보다·여쭈다·여쭙다·사뢰다’로 손볼 만하지요. ‘받고 싶다·받고프다·얻고 싶다·얻고프다’나 ‘부릅뜨다·붉눈·붉은눈’으로 손보아도 되고요. ㅍㄹㄴ



그 사람이 얼마나 섬세하고 아름다운 구애를 펼치는지 본능으로 받아들인다

→ 그 사람이 얼마나 나긋하고 아름답게 사랑을 바라는지 몸으로 받아들인다

→ 그 사람이 얼마나 부드럽고 아름답게 짝을 바라는지 그저 받아들인다

《마음을 멈추고 부탄을 걷다》(김경희, 공명, 2015) 184쪽


물자라 수컷과 암컷은 물결 파문을 일으켜 구애를 합니다

→ 물자라 수컷과 암컷은 물결을 일으켜 사랑을 나눕니다

→ 물자라 수컷과 암컷은 물결을 일으켜 짝짓기를 합니다

《곤충들의 수다》(정부희, 상상의숲, 2015) 112쪽


구애는 곧 적자재정이었고, 연애와 생계, 가슴과 배의 갈등에서 나는 늘 후자의 손을 들어주었다

→ 사랑찾기는 이내 빚이고, 짝짓기와 살림, 가슴과 배 사이에서 나는 늘 뒤쪽 손을 들었다

→ 사랑바라기는 곧 가난이고, 짝맺기와 삶, 가슴과 배 사이에서 나는 늘 뒤쪽이었다

《연애 결핍 시대의 증언》(나호선, 여문책, 2022) 2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