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영어] 보나파르티슴Bonapartisme
보나파르티즘 : x
보나파르티슴(Bonapartisme) : [역사] 보나파르트가의 나폴레옹 일세·나폴레옹 삼세가 취한 정치 형태. 농민과 도시 중산 계층을 지지 기반으로 하여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양 계층의 조정자처럼 가장한 근대적 독재 정치를 이른다
Bonapartisme : 나폴레옹 정책[정부], 나폴레옹파
ボナパルティズム(Bonapartism) : 1. 보나파르티즘 2. 보나파르트가(家) 출신인 나폴레옹, 특히 3세(1808-73)가 취한 정치 형태. 민주주의를 내세워 보수적인 농민층을 기반으로 부르주아 세력과 프롤레타리아 세력의 균형 상태를 이용하며 시정하는 절대주의적인 독재 정치체제
프랑스말이라는 ‘Bonapartisme’을 낱말책에 싣고서 ‘보나파르티슴’으로 적는다고 합니다. 영어로 여길 적에는 ‘보나파르티즘’으로 적는구나 싶은데, ‘겉갈이·겉바꾸기·겉말·겉글·겉소리·겉얘기’나 ‘겉발림·겉속다름·다른겉속·겉옷·겉치레’로 손볼 수 있습니다. ‘겉으로·겉질·겉짓·겉꾼·겉사랑’이나 ‘고물·떡고물·달콤발림·보숭이’로 손봅니다. ‘글발림·글이름·글잔치·글자랑·글치레’나 ‘꼼짝·꼼지락·꿈지럭·꼼질·꼼실’이나 ‘곰작·곰지락·곰질·곰실·꿈쩍’로 손볼 만하고요. ‘꽃가꾸다·꾸밈글·꾸밈길·꾸밈꽃·꾸밈빛·꾸밈말’이나 ‘눈가림·눈속임·눈속임길·눈속임짓·눈속임질’으로 손보면 돼요. ‘말로·말만·말뿐·말잔치·말치레’나 ‘무늬글·무늬글씨·무늬말·무늬말씨’로 손보고요. ‘물타기·바람몰이’나 ‘받침글·받침말·발림말’로 손보며, ‘시늉·시늉질·오냐오냐·오냐짓’이나 ‘옷·옷가지·옷자락·옷섶·옷갈이·옷바꾸기’로 손볼 수 있어요. ‘이름·이름길·이름결’이나 ‘입만 살다·입발리다·입발림소리·입발림말’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입으로·입만·입만 살다·입뿐·입방긋·입벙긋’나 ‘지음말·짓다·지어내다·지어대다’로 손보아도 되지요. ‘치레·치레질·치렛감·치레말·치레글’이나 ‘틀말·허울·허울좋다·허울이름·허울짓·허울질’로도 손봅니다. ㅍㄹㄴ
개개의 노동자, 개개의 시민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자 하는 욕망을 마르크스는 보나파르티즘(Bonapartism)이라 부른다
→ 마르크스는 일꾼이며 사람들 하나하나와 바로 만나고자 하려는 길을 눈속임이라 한다
→ 마르크스는 일바치와 사람들과 몸소 마주하고자 하려는 마음을 겉발림이라 한다
《우리는 왜 대통령만 바라보았는가》(손민석, 마인드빌딩, 2025) 6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