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만년적자



 만년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 늘빚을 풀어내는 길로

 만년적자라는 오명에서 탈출했다 → 돈늪이라는 더께에서 벗어났다

 만년적자를 기록 중이다 → 살림수렁을 달린다 / 가난살림을 달린다


만년적자 : x

만년(萬年) : 1. 오랜 세월 2. 언제나 변함없이 한결같은 상태

적자(赤字) : 1. 붉은 잉크를 사용하여 교정을 본 글자나 기호 2. 지출이 수입보다 많아서 생기는 결손액. 장부에 기록할 때 붉은 글자로 기입한 데서 유래한다. ‘결손’으로 순화



  한결같이 돈이 없을 수 있습니다. 내내 돈이 없는 늪일 텐데, ‘돈고비·돈고개·돈늪·돈벼랑·돈수렁·돈앓이’나 ‘비다·빚·빚지다·늘빚’이라 할 만합니다. ‘발가벗다·벌거벗다·빨가벗다·뻘거벗다’라 해도 됩니다. ‘잃다·없다·울다’나 ‘밑값·밑돌다·밑빠지다·밑지다’라 할 수 있어요. ‘가난·수렁’이나 ‘가난살림·가난살이·가난벌이·가난팔이·가난장사·가난나라·가난누리’라 하면 되지요. ‘덜다·곱다·모자라다·못 미치다’나 ‘나가떨어지다·나뒹굴다·나쁘다’라 할 수 있고, ‘떨려나가다·떨어지다’라 하면 됩니다. ‘빠지다·빠져나가다·빼다·빼앗기다·앗기다’나 ‘피나다·피흘리다’라 해도 되어요. ‘살림고비·살림늪·살림벼락·살림벼랑·살림수렁’이나 “살림이 힘들다·살림이 고되다·살림이 벅차다·살림이 빠듯하다”라 해도 어울려요. ‘깎아지르다·강파르다·허덕이다’나 ‘주리다·쪼들리다·찌들다’나 ‘탈탈·털털·털리다’라 해도 됩니다. ㅍㄹㄴ



어차피 만년적자 작업이니까

→ 뭐 늘빚인 일이니까

→ 그래 으레 허덕이니까

→ 암튼 내내 밑지니까

《도토리의 집 5》(야마모토 오사무/김은진 옮김, 한울림스페셜, 2004) 19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