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224 : 남편 요리를 만든다


남편은 요즘 틈만 나면 요리를 만든다

→ 곁님은 요즘 틈만 나면 밥을 한다

→ 짝꿍은 요즘 틈만 나면 밥을 차린다

《시의 숲에서 삶을 찾다》(서정홍·청년농부와 이웃들, 단비, 2018) 24쪽


임금이나 벼슬아치나 나리가 아닌, 함께 살림을 짓고 논밭을 지으면서 아이를 돌보는 자리에 선 수수한 사람은 높낮이 없이 말을 나누었습니다. 수수살림이기에 서로 수수하게 어깨동무하는 말씨로 나란히 선다고 하겠습니다. 오늘날은 이제 새롭게 들려줄 이름 한 자락을 놓을 만하니, ‘아내·남편’보다는 ‘이보·여보’를 가다듬어 ‘곁님·곁사람’처럼 이를 만합니다. 어느 쪽에서나 허물없이 주고받을 이름인 곁님이자 곁사람이고 곁사랑에 곁짝입니다. 틈을 내어 밥을 하고, 틈이 있으면 옷을 짓고, 틈이 밭아도 즐겁게 살림을 돌보면서 함께 웃고 노래합니다. ㅍㄹㄴ


남편(男便) : 혼인하여 여자의 짝이 된 남자 ≒ 부서·장부

요리(料理) : 1. 여러 조리 과정을 거쳐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주로 가열한 것을 이른다 2. 어떤 대상을 능숙하게 처리함을 속되게 이르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