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측은지심



 측은지심도 우러나야 하거늘 → 불쌍한 마음도 우러나야 하거늘

 측은지심 없는 아이 → 불쌍히 여기지 못하는 아이

 측은지심이 필요한 시대 → 가여워하는 마음을 바라는 때

 흡연자들에 대한 측은지심이 생기다 → 담배 피우는 사람이 가엾어 보인다


측은지심(惻隱之心) : [철학] 사단(四端)의 하나.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인의예지(仁義禮智) 가운데 인에서 우러나온다 ≒ 측심(惻心)

측심(惻心) : [철학] = 측은지심

측은(惻隱) : 가엾고 불쌍함



  낱말책을 살피면 ‘측은’을 “가엾고 불쌍함”으로 풀이하는데, ‘가엾다·불쌍하다’를 더 살피면 ‘안되다’를 거쳐 돌림풀이입니다. 얄궂지요. ‘측은지심·측은’을 헤아린다면, 우리말로 ‘가엾다·갸륵하다’나 ‘눈물겹다·눈물나다·눈물꽃·눈물길·눈물바람’로 손질합니다. ‘눈물비·눈물빛·눈물구름·눈물앓이’나 ‘느끼다·울다·울먹이다·울멍이다’로 손질하고, ‘동동·동동거리다·종종·종종거리다·발종종’이나 ‘딱하다·불쌍하다·볼 수 없다’로 손질할 만합니다. ‘슬픔꽃·슬픔길·슬픔바람·슬픔빛’이나 ‘슬픔구름·슬픔비·슬픔앓이’로 손질해요. ‘아프다·아파하다·아픔꽃·아픔바람’이나 ‘아픔빛·아픔비·아픔구름’으로 손질하고요. ‘안되다·안쓰럽다·안타깝다’로 손질하며, ‘애잔하다·애처롭다·애절하다·애틋하다’나 ‘짠하다·찡하다·치받치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죽는 날에 철든다는 새털 같은 인간의 측은지심

→ 죽는 날에 철든다는 새털 같은 사람이 딱하다

→ 죽는 날에 철든다는 새털 같은 사람이 불쌍하다

→ 죽는 날에 철든다는 새털 같은 사람이 가엾다

→ 죽는 날에 철든다는 새털 같은 사람이 안됐다

→ 죽는 날에 철든다는 새털 같은 사람이 애처롭다

《밥 하는 여자》(한복선, 에르디아, 2013) 59쪽


측은지심과는 다른 경우이지만

→ 가여울 때와는 다르지만

→ 불쌍할 때와는 다르지만

《동무론》(김영민, 최측의농간, 2018) 299쪽


사람들에게 온몸을 바치는 닭의 희생에 측은지심을 느끼는 듯했다

→ 사람한테 온몸을 바치는 닭을 딱하게 느끼는 듯했다

→ 사람한테 온몸을 바치는 닭을 가엾게 느끼는 듯했다

《못다 핀 꽃》(이경신, 휴머니스트, 2018) 110쪽


서로를 향한 측은지심이 있어야 한다던

→ 서로 갸륵해야 한다던

→ 서로 느껴야 한다던

→ 서로 눈물지어야 한다던

《시의 숲에서 삶을 찾다》(서정홍·청년농부와 이웃들, 단비, 2018) 35쪽


허용과 측은지심이 성장의 시간에 필요한 것처럼

→ 베풀고 눈물을 흘리며 자라듯

→ 빗장을 열고 가엾게 여기면서 자라듯

《사주 인사이트》(하나사주, 혜윰터, 2025)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