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기원 起源


 생명의 기원 → 첫 숨결 / 첫빛 / 첫싹

 인류의 기원 → 첫사람 / 사람이 태어나다

 민주 정치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에서 출발한다 → 들꽃나라는 옛 그리스에서 비롯한다


  ‘기원(起源/起原)’은 “사물이 처음으로 생김. 또는 그런 근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처음·첨·첫길·첫나들이·첫걸음·첫발’이나 ‘첫손·첫빛·첫꽃·첫삽·첫일·첫코·첫사람’으로 손봅니다. ‘나다·나오다·돋다·돋아나다’나 ‘솟다·솟아나다·솟아오르다·솟구치다’로 손보고, ‘비롯하다·태어나다·태나다·생기다·삼기다’로 손보지요. ‘모·싹·싹눈·느자구·움·단물·뿌리’나 ‘싹트다·싹나다·움트다’로 손봅니다. ‘트다·트이다·틔우다’나 ‘-부터·-에서’로 손볼 만하고, ‘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일으키다’로 손봐요. ‘밑·밑동·밑빛·밑거름·밑바탕·밑절미’나 ‘밑꽃·밑짜임·밑틀·밑판·밑받침·밑밭’으로 손보고, ‘밑밥·밑뿌리·밑싹·밑씨·밑자락·밑줄기’나 ‘바탕·바탕길·바탕꽃·바탕틀·바탕짜임·바탕판’이나 ‘엄지·엄지가락’으로 손볼 수 있지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기원’을 일곱 가지 더 싣지만 다 털어냅니다. ㅍㄹㄴ



기원(技員) : 이전의 기술직 8급 공무원의 직급. 지금의 서기에 해당한다

기원(祈願) :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빎

기원(祇園) : = 기원정사

기원(紀元) : 1. 연대를 계산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해. 우리나라는 정부 수립과 동시에 단군왕검이 즉위한 해인 기원전 2333년을 원년으로 하는 단군기원을 쓰다가 5·16 군사 정변 후에 이것을 폐기하고 예수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하는 서력기원을 쓰게 되었는데, 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2. 새로운 출발이 되는 시대나 시기

기원(基源) : 어떤 사건이나 원인의 처음

기원(棋院/碁院) : 1.  바둑을 두는 사람에게 장소와 시설을 빌려 주고 돈을 받는 곳 2. 바둑을 즐기는 사람들이 조직하는 단체

기원(冀願) : = 희망(希望)



저 옛날 백제의 도읍이던 이곳에서 우리는 시인의 탄생, 신동엽 시의 기원起源을 묻는다

→ 저 옛날 백제 서울이던 이곳에서 난 노래님, 신동엽 노래가 비롯한 길을 묻는다

→ 저 옛날 백제 서울이던 이곳에서 태어난 노래님, 신동엽 가락이 싹튼 길을 묻는다

《시인 신동엽》(김응교·인병선, 현암사, 2005) 11쪽


인류 문자의 기원이라고도 할 수 있는 다섯 개의 문명권은

→ 사람들 첫 글씨라고도 할 수 있는 다섯 삶터는

→ 우리가 쓰는 글이 비롯했달 수 있는 다섯 삶자리는

《외국어 전파담》(로버트 파우저, 혜화1117, 2018) 32쪽


측은한 언사가 곱다면 인사의 기원부터 읽기로 하자

→ 가엾은 말이 곱다면 고갯짓 뿌리부터 읽기로 하자

→ 딱한 말곁이 곱다면 절하는 밑동부터 읽기로 하자

《겨를의 미들》(황혜경, 문학과지성사, 2022) 82쪽


탐험 여행을 하며 관찰하고 연구한 모든 것들을 책으로 출간했는데, 이 책이 바로 《종의 기원》입니다

→ 찾아보면서 살피고 캐낸 모든 이야기를 내놓는데, 이 책이 바로 《첫씨앗》입니다

→ 찾아다니며 보고 살핀 모든 이야기를 펴내었는데, 이 책이 바로 《뿌리찾기》입니다

《도도가 있었다》(이자벨 핀/전진만 옮김, 시금치, 2023)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