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외지인 外地人


 외지인의 발길이 → 손님 발길이 / 뜨내기 발길이 / 다른이 발길이

 외지인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 밖에서 더 옮겨오면서 / 이웃이 더 들어오면서


  ‘외지인(外地人)’은 “그 고장 사람이 아닌 사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손·손님·길손·길손님’이나 ‘남·남남·남나라·남누리’나 ‘낯선이·설다·놈·놈팡이’로 손질합니다. ‘아무·아무나·아무라도·아무도·아득사람’이나 ‘이웃·이웃사람·이웃꽃’으로 손질할 만하고, ‘이웃하다·이웃마을·이웃고장’이나 ‘다른이·다른사람·다른놈·다른짝’으로 손질하지요. ‘딴곳사람·딴뎃사람’이나 ‘떠돌다·떠돌이·떠돌아다니다’로 손질해요. ‘떠돌별·떠돌새·떠돌님·떠돌빛·떠돌꽃’이나 ‘떠돌이별·떠돌이새·떠돌뱅이·떠돌깨비·떠돌꾸러기’로 손질하고요. ‘뜨내기·뜨내기꾼’이나 ‘겉돌다·굴러다니다·굴러먹다·제돌이’로 손질하며, ‘맴돌다·맴돌이·맴돌별·맴돌이별’이나 ‘맴돌꽃·맴돌빛·맴돌마당·맴돌판’으로 손질해도 됩니다. ‘바깥사람·바깥돌이·바깥순이·바깥이’나 ‘바깥손·바깥손님·밖사람’으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옆마을·옆고을·옆고장’이나 ‘옆사람·옆님·옆꾼’으로도 손질하지요.



풍수 좋다는 소문이 돌자 외지인들이 경쟁적으로 바닷가의 임야를 사들여 묘를 지었다고 한다

→ 땅빛 좋다는 말이 돌자 뜨내기가 앞다퉈 바닷가 들숲을 사들여 무덤을 지었다고 한다

《아내와 걸었다》(김종휘, 샨티, 2007) 133쪽


심포항은 일찍부터 횟집타운이 형성되어 많은 외지인들이 찾고 있다

→ 삼포나루는 일찍부터 고깃집길이 생겨 손님이 많이 찾는다

→ 삼포나루는 일찍부터 고깃집거리가 생겨 사람이 많이 찾는다

→ 삼포나루는 일찍부터 물살집골목이 생겨 바깥에서 많이 찾는다

→ 삼포나루는 일찍부터 물살집마을이 생겨 바깥손이 많이 찾는다

《새만금은 갯벌이다》(김준, 한얼미디어, 2006) 192쪽


소문이 돌기 전에는 외지인 대부분이 바다낚시를 하러 오는 사람들이었다

→ 말이 돌기 앞서 손님은 으레 바다낚시꾼이었다

→ 얘기가 돌기 앞서는 거의 바다낚시꾼만 찾아왔다

《보물섬의 비밀》(유우석, 창비, 2015) 12쪽


난 이제 외지인이고

→ 난 이제 남이고

→ 난 이제 바깥사람이고

《메이저 세컨드 3》(미츠다 타쿠야/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7) 102쪽


여전히 외지인끼리 붙어먹길 좋아하는구나

→ 아직 뜨내기끼리 붙어먹길 좋아하는구나

→ 아직 떠돌이끼리 붙어먹길 좋아하는구나

《미스 미소우 上》(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18) 15쪽


외지인으로 농촌사회에 빨리 안착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익혀야 하는 것이

→ 바깥사람으로 시골에 빨리 자리잡으려면 가장 먼저 익히는 길이

→ 손님으로 시골마을에 빨리 섞이려면 가장 먼저 익히는

《회사를 해고하다》(명인, 삼인, 2018) 20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